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형성의 원리로서의 반복

        임병덕(Byung-Duk L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18 道德敎育硏究 Vol.30 No.4

        교육은 인간형성을 위한 실천인 만큼 인간형성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일은 교육학의 기본 과제에 해당한다. 키에르케고르의 「반복」은 인간형성에 관한 서양철학의 담론이 입각해 온 형이상학적 관점을 비판하고 대안적 관점을 제시한 문헌이라는 점에서 교육학의 주목과 관심을 요구한다. 플라톤의 ‘회상’과 헤겔의 ‘매개’로 대표되는 형이상학적 접근의 문제는 인간형성을 시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실존의 운동이 아니라 내재성의 논리에 따라 일어나는 관념의 운동으로 취급한다는 것이다. 「반복」에서 인간형성은 시간 속에서 자아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차원이 다른 존재로 이행하는 초월적 과정으로 간주되며, ‘반복’은 이 과정을 규정하는 데에 적합한 ‘새로운 범주’로 제안된다. 반복에 관한 출중한 이론가인 가명저자 콘스탄틴을 비롯하여 등장인물 중의 누구도 진정한 반복, 즉 종교적 반복에 몸소 이르지는 못한다는 사실은 반복에 관한 그의 탁월한 이론과 현격한 대비를 이루면서 반복이 인간형성의 원리로서 당사자적 참여를 요구하는 실존적 과제라는 것, 그리고 그 과제는 인간적 노력에 의하여 완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신의 조력과 섭리에 의하여 부단히 추구되어야 할 초월적 과제라는 것을 시사한다. 인간형성의 원리로서의 반복에 관한 키에르케고르의 설명은 메타프락시스와 문제의식 또는 관심을 공유한다. 그 설명은 ‘중층구조’와 ‘순환론’과 ‘당사자적 자세’라는 메타프락시스의 세 가지 의미 요소를 단순히 포함하기만 할 뿐 아니라 그 ‘요소들 사이의 정합된 체계’까지 시사하는 만큼 양자의 관련에 대해서는 한층 더 심도있는 고찰과 논의가 필요하다. It is required for those professionally concerned with education to probe what human becoming is and how it is possible in that the very meaning of education is to be constituted by human becoming. Kierkegaard’s insights on human becoming implies very helpful suggestions for that issue. He opened the new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ontology to metaphysics which had dominated peoples’ thought on human becoming by introducing the term of “repetition”(Gjentagelse) as “the interest of metaphysics, and also the interest with which metaphysics founders.” In contrast to the immanent movement of Platonic recollection and Hegelian mediation(“the beginning and end of metaphysics”), Kierkegaardian repetition features the movement of transcendence in temporality. In spite of his brilliant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repetition, the pseudonymous author of Repetition, Constantin, as well as his young friend and Job, fails to achieve the genuine repetition, religious repetition. This means that repetition is to be construed as the existential task which needs the wholehearted personal participation and the transcendental task which needs God’s saving act for the individual to transit from sin to atonement. Kierkegaard s discourse on repetition shares its concern with “metapraxis” as an alternative form of discourse to metaphysics in relation to elucidating the praxis for self-cultivation. That comes close to the idea of metapraxis as the coherent whole of its three constituents: “the two-fold structure,” “the principle of circularity,” and “the standpoint of personal participation.” Repetition as the movement of transcendence presupposes “the two-fold structure”; repetition means a kind of circulation; the wholehearted personal participation implied by Interesse is the ardent feature of repetition. The relation between repetiton and metapraxis requires deeper probe and discourse than tried in this paper.

      • KCI등재

        신과 인간 : 키에르케고르의 탕자 이야기 해석

        임병덕(Byung-Duk L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3

        키에르케고르의 사상에 비추어 볼 때 탕자 이야기는 인간 형성의 가능성과 지향점을 심오한 수준에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의 실존에 대한 경험과 통찰을 바탕으로 인간이 신과의 관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여실하게 그려내는 저작들을 써 내고, 그것을 통하여 독자를 신과의 관계라는 인간 형성의 최종 국면으로 이끌려고 하였다. 이 점에서, 그의 저작과 삶은 탕자 이야기의 모범적인 해석을 예시한다. 그 해석에 의하면, 신인 동시에 인간이라는, 그 이야기 저자의 파라독스적 존재는 독자를 신과의 관계로 이끌려는 교육적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독자를 신과의 완전한 관계, 즉 신앙으로 이끄는 간접전달의 조건이 된다. 이 파라독스와 대면은 개인이 상심과 신앙 중 어느 쪽으로든 나아가지 않을 수 없는 상태, 즉 상심의 가능성에 놓이게 된다는 것을 뜻하며, 이 점에서 간접전달은 상심의 가능성을 겨냥한다고 말할 수 있다. 신과의 관계는 생명에 상응할 만큼 가치가 크며, 따라서 그것의 회복에는 ‘공포와 전율’이 수반되지 않을 수 없다. 인간 형성의 가치는 그것에 수반되는 ‘공포와 전율’의 강도에 비례한다.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shows that God wills to forgive the sinned people and give the chance to recover their relation to Him. Man, as God s prodigal son, is destined to rewrite the parable into his own story of life. In this regard, Kierkegaard s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 can serve as an worthwhile example for us to follow, in that he lived as a prodigal son for a while in his young time, translated that experience into a vivid story of human-becoming and exercised a most brilliant authorship which was designed for suggesting a way of the return home and for leading his readers to restore their relation to God. For Kierkegaard, Jesus can be seen as the teacher who helps the learners relate to God. Jesus s paradoxical being as both God and man was to be required in order to practice the most perfect form of ‘indirect communication’. The paradox permits no rational understanding and arouses inevitably the ‘possibility of offence’, which functions as some repellent force to lift us up to faith. Indirect communication, as a method needed for leading us to the possibility of offence, consists in the core of practice for having the human self ‘grounded transparently’ in God. Kierkegaard s idea of indirect communication presupposes that our relation to God does not dispense with the most expensive cost of one’s own life. The psychological response to that cost is the ‘fear and trembling’ by virtue of which Abraham can be respected as ‘the father of faith’. The value of human-becoming depends simply and solely on the magnitude of the fear and trembling.

      • KCI등재

        인간형성의 조건으로서의 불안

        임병덕(Byung-Duk L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4

        불안은 인간의 존재 그 자체에서 비롯되는 정서이다. 그것은 자유 또는 정신의 정서적 대응물로서, 무구에서 죄책을 거쳐 신앙에 이르는 인간형성의 조건으로 간주될 수있다. 인간형성은 절망 또는 죄에서 신앙으로의 이행이며, 이 이행은 ‘질적 도약’을 필수적 요소로 하는 과정이다. 불안은 질적 도약에 가장 가까운 그것의 ‘심리학적 근사치’ 에 해당하는 만큼, 그것에 대한 고찰은 인간형성의 해명에 결정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불안은 부정적인 정서로서 심각한 질병으로 간주되기도 하고, 심지어 ‘악마적인’ 양상을띠기도 하지만, 그것은 ‘자유의 가능성’으로서 ‘시간성과 영원성의 종합’으로서의 자아가‘그것이 있게 한 힘’으로서의 신과 관계를 맺도록 이끄는 안내자가 되기도 한다. 인간형성 과정에서 불안은 ‘신앙의 도움으로 개인을 섭리에 귀의하도록 교육하는’ 역할을 한다. ‘불안에 의한 교육’은 개인에게서 유한하고 사소한 것들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제거함으로써 ‘그가 가기를 원하는 곳’으로 이끈다. 키에르케고르는 그의 저작 전체가 그 자신의 자기교육을 위한 것이었음을 분명하게 밝혔으며, 이 점에서 그 저작들은 그 자신이 몸소 경험한 ‘불안에 의한 교육’을 기술한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불안에 의하여안내되는 그의 저작활동은 신에 의한 교육을 지향하는 자기교육의 기록이라고 말할 수있다. 불안이 무엇인지를 배우는 것은 지고의 존재로부터 지고의 것을 배우는 것이다. In his monumental study on anxiety, The Concept of Anxiety, Kierkegaard approaches to anxiety in relation to the dogmatic issue of hereditary sin. He denies any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Adam and subsequent individuals, in that both of them sin by a ‘qualitative leap’ as an individual’s free act. The psychological approach to anxiet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qualitative leap which does not permit any rational explanation, for anxiety is the psychological state that precedes and follows sin. Though it cannot explain sin, ‘which breaks forth only in the qualitative leap’, can serve as “the closest psychological approximation.” Anxiety is rooted in the very being of man as a ‘synthesis of the psychical and the physical’ sustained by spirit as the third term. Spirit posits this synthesis along with the synthesis of the temporal and the eternal. Human becoming can be construed as spirit’s movement constituted by the relation’s(synthesis’) relating itself to “the Power that posited it.” Spirit express itself as anxiety in the process of human becoming. Anxiety leads the individual to ‘rest in providence.’ Kierkegaard opene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nxiety as ‘a serving spirit’ that help the individual relate himself to God. When he is educated by anxiety, it leads him to faith. It means that anxiety get rid of everything finite and petty out of him and make him free. Kierkegaard’s works can be seen as documents to describe his own self-education by anxiety. His authorship as the true autodidact is also a theodidact. An individual who has learned to be anxious in the right way has learned ‘the ultimate.’

      • 도덕교육에서의 교과와 생활의 관련

        임병덕 ( Lim Byung Duk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9 No.-

        Moral knowledge as subject matter tends to be construed as a means for moral action in life. This tendency associate with Dewey’s antischolastic conception of subject matter that theoretical knowledge has educational value as far as it can serve as means for the practical problem solving in life. Many scholars and practitioners think that the motivation for moral action is the key to overcoming ‘the discrepa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This approach reveals a most serious defect that they disregard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of morality which make possible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 a deeper sense. Neo-Confucian theory of self-cultivation, as interpreted by Professor Hong-Woo Lee, can shed light on the connection of subject matter and life in moral education. He suggests that Investigation of Principle(窮理) and Self-Cultivation(涵養) are to be understood as the two channels of moral self-cultivation, constituted by their proper media: Concept and Symbol. Both of Concept and Symbol are the manifestations of the Realty, but mediate it in a different way; the former conceptually or mediately and the latter intuitively or immediately. The connection of subject matter and life as the proper channels of moral education corresponds exactly to the relation of Concept and Symbol as the media for moral self-cultivation.

      • KCI등재

        간접전달로서의 증언

        임병덕(Byung-Duk L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道德敎育硏究 Vol.31 No.4

        키에르케고르 자신이 밝힌 바와 같이, 그의 저작 활동은 시종일관 ‘기독교인의 형성’을 위한 것이었다. ‘코르사르 사건’으로 인하여 가명저작술이 더 이상 그 목적에 기여하기 어렵게 된 상황에서 그는 저작술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라우리는 간접전달을 가명저작술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관점에서 그 전환을 간접전달에서 직접전달로의 이행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기독교인의 형성」에 가명저작술로 예시되는 ‘2중반사’에 의한 전달 이외에 또 다른 유형의 간접전달, 즉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으로 예시되는 ‘복제’에 의한 전달이 제시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키에르케고르의 저작술의 제2국면이 후자로 규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한 것이 아니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그 국면에서 키에르케고르가 ‘복제’에 의한 간접전달을 구사하며, 거기서의 간접전달의 특징은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을 실천하는 데에 있다는 풀의 통찰은 간접전달의 의미를 더 깊은 차원에서 조명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간접전달은 기독교의 진리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그리스도의 방법이며, 차라리 그 진리 자체이다. 키에르케고르의 저작술의 제2국면은 그리스도의 간접전달에 대한 증언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것 또한 간접전달의 한 유형으로 해석될 수 있다. As Kierkegaard himself stressed repeatedly, his life-long activity as an author was aimed at leading the readers to Christianity. When his pseudonymous authorship was made inoperable by the attack of the Corsair, he had to change over his older strategy of indirect communication exemplified by pseudonymity. Lowrie, as a most famous Kierkegaard scholar and translator, characterized the turn as the shift from indirect communication to direct communication. But his view on the second phase of Kierkegaard’s authorship needs to be reexamined, in that it overlooks the mode of ‘indirect communication by reduplication’,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Kierkegaard used this mode of indirect communication in the second phase of his authorship. Poole tries to show that Kierkegaard executed that mode of indirect communication in order to embody the doctrine of Imitatio Christi. Poole’s insightful findings can throw light on the meaning of indirect communication in the deeper dimension. Indirect communication must be construed as the way to the truth suggested by Christ and rather the truth itself. The second phase of Kierkegaard’s authorship can be characterized as his own witnessing to the indirect communication of Christ, and interpreted as a form of indirect communication.

      • KCI등재

        사랑의 역사로서의 인격함양

        임병덕(Byung-Duk L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4

        「사랑의 역사」에서 인격함양은 사랑이 사랑이라는 기초 위에 사랑을 세우는 과정으로 규정된다. 사랑을 심어줄 수 있는 것은 오직 신뿐이며, 인간은 사랑이 있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을 뿐이다. 키에르케고르는 사랑의 존재를 가정하는 것이 다른 사람을 인격함양으로 이끄는 방안이 된다고 주장한다. ‘사랑의 존재를 가정하는 것’에는 신의 개입을 확신한다는 의미와 함께, 다른 사람이 홀로 서도록 전심으로 도와주면서 겸손한 자세로 자신의 역할과 존재를 감춘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인격함양을 위한 조력자의 실천은 ‘중복’의 원리를 따른다. 즉, 그것은 한 사람 안에서 형성되는 신-관계와 동일한 것이 다른 사람 안에 ‘복제’되고 그 과정에서 그가 베푸는 조력이 ‘무한히 증폭되어’ 그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그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학생을 인격함양으로 이끄는 교사의 활동은 그와 같은 실천을 예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격함양에 대한 설명의 타당성은 그 설명이 거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인격을 함양시켜줄 수 있는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 인격함양을 사랑의 역사로 설명하는 키에르케고르의 담화는 독자의 인격을 함양시켜주는 실천의 모범사례로 간주될 만하다. ‘To build up’ is used as a metaphorical expression in the New Testament. Upbuilding as love’s most characteristic specification means love’s building up love on the ground of love in Kierkegaard’s Works of Love. For him, one human being cannot implant love in another human being’s heart, in that it is only God who can implant love in each human being. The best that one can do is to presuppose that love is in the other person’s heart, and by this very presupposition the one who loves builds up love in him. It implies that by hiding his help the human helper can help him to stand by himself. The loving one’s self-annihilation is needed in order not to hinder the other person’s God-relationship. Upon God’s entering in, his presence and role must be erased, which nonetheless means his salvation. Kierkegaard’s concept of ‘redoubling’ applies in describing how the loving one’s practice for helping the other person’s upbuilding is possible. When the eternal redoubles in the loving one’s being, he helps the other person to ‘reduplicate’ what is redoubled in him, and receives what he gives to the other person by God’s repeating it ‘with magnification of infinity.’ The teacher who helps his pupil to upbuild exemplifies the principle of redoubling according to which the loving one practices for the one helped. This principle requires the teacher to take the role of ‘God’s co-worker.’ That a discourse on upbuilding itself is upbuilding can serve as the criterion which a discourse on upbuilding must meet, ‘for only the truth that builds up is truth for you.’ Kierkegaard’s discourse on upbuilding shows that a good discourse itself can help its readers to upbuild.

      • KCI등재

        자유교과의 교육과정적 지위

        김종건,임병덕 한국교육과정학회 1998 교육과정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자유교과의 성격과 가치를 규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유교과의 교육과정적 지위를 정당화하는 근거를 찾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 허친스, 허스트의 자유교과관을 검토하여 그 각각의 한계와 가능성을 밝힌 뒤에, 그 한계를 극복하고 가능성을 살리는 대안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되는 대안적 관점은 '실재'를 정당화의 근거로 해석하며, 자유교과로서의 지식의 형식을 실재의 다양한 표현양식으로 이해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관점에 의하면, 지식의 형식의 가치는 다른 무엇에 의존할 필요없이 그것이 실재의 다양한 표현양식이라는 점에 의하여 확립된다. 그리고 자유교과의 정당화에 필수적요소로 포함되는 마음과 지식의 관련은 그 양자가 모두 실재의 양상으로서 공적 전통은 그 자체가 시간 계열 속에 나타난 실재로서, 자유교육을 실재를 향한 여정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근거가 된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이 대안적 관점을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관심사로 부각시킨다는 데에 있다. Despite some predicaments which liberal education encountered in recent centuries, liberal studies has succeeded in maintaining its pivotal status in school curriculum. But this does not mean that liberal studies has been successfully justified with well-grounded discourses. Indeed, the status of liberal studies has been only provisionally stable, and the justification of liberal studies has been a everlasting concern in the field of curriculum studies. For our purpose of finding out a form of justification for liberal studies which are appropriate to the contemporary setting, it is very helpful to probe deep into the examplary conceptions of liberal studies: 'schole'(Aristotle), 'great works'(Hutchins), and 'forms of knowledgs'(Hirst). Schole(leisure)and theoria(contemplation) as epistemological aspect of it are the most decisive criteria by which the Greek and medieval scholars distinguish liberal arts from servile works. Schole has consisted in part of the raison d'e^tre of liberal studies by virtue of Aristotle' works. However, the very concept of schole hangs on the notion of reality as transcendent being, which forbids thye approach of modern minds. Hutchins endeavored to restore the liberal studies which had been overwhelmed with Progressive Education. He reinterpreted the Greek and mediaeval ideal of liberal education to the contemporary democratic society. What he porposed as a result of embodying his idea of liberal studies was 'Great Works'. But his proposal was little appealing to the public. Hutchins can not be said to do much for justification of liberal studies. For Hirst, liberal studies must consist of 'forms of knowledge'. Because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rational justification and the pursuit of knowledge, the justification of 'forms of knowledge' is the case in whcih the justification can be significantly asked only at the cost of self-contradiction. But Hirts's transcendental argument can not provide a successful justification for liberal studies in that it destitutes of the ideals and the passions caused by it, which is necessary to move peoples' mind and heart. As a result of such review, we have reached a form of justification made applicable to the contemporary setting. Liberal studies can be successfully justified by taking 'reality' as its ground. But it does not mean that we must retrogress toward Aristotle' conception of liberal studies. In this case, reality can be read as something like 'public tradition', meant by the activities of learning and teaching liberal studies, and construed as a common ground of mind and knowledge. Developing these findings into a theory of liberal education may be a promising task in the field of curriculum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