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個人의 革新性과 情報化 水準이 인터넷뱅킹 使用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이해청 漢陽大學校 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상거래가 확산 일로를 걷게 됨에 따라 금융업과 같이 표준화의 정도가 높은 서비스시장은 전자상거래 시장에 급속히 편입되고 있다. 특히 은행권의 경우 인터넷뱅킹은 개방적인 네트워크의 특성과 저렴한 거래비용에 힘입어 향후 은행의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금융업무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은행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기술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의 성향과 접근능력 또한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작용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은행으로부터 제공되는 새로운 정보기술로서 인터넷뱅킹을 이용함에 있어서 고객들의 성향 및 정보기술 접근 수준 즉, 정보화 수준과 실제사용과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인터넷뱅킹 현황을 조사하고 관련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들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인터넷뱅킹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142개의 설문자료를 수집,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뱅킹이 정착되지 않은 현재의 시점에서는 인터넷경험이 많을 수록, 보안성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새로운 것에 대한 혁신성이 높을수록 인터넷뱅킹의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터넷뱅킹의 사용의 용이성과 실제 사용과는 무관함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고객들은 새롭고 편리한 정보기술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은행업무의 특성상 정보기술사용 발생빈도가 한정적이거나 , 사용 하므로써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익과 무형의 유용성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들은 인터넷을 통한 은행거래는 개인의 성향과 정보화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정보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자인 은행은 정보기술 서비스를 제공 할 때에는 고객의 정보화 수준과 성향에 따른 요인들을 고려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인터넷뱅킹의 정착을 위하여 기존의 은행영업 방식과 다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비슷한 정보 및 거래 욕구를 가진 고객들을 중심으로 하는 커뮤니티(community)형성, 각분야에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의 전략적 제휴, 비용우위전략보다는 상품차별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마가복음서의 이야기의 성격에 관한 연구 : 가족 및 빵 담론을 중심으로

        이해청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가의 이야기가 최초로 쓰였다는 논의가 바이쎄(C.H. Weisse)에 의해 제기된 이후로 한동안 사람들은 마가의 이야기에 기초해 역사적 예수의 생애를 써왔다. 하지만 마가의 이야기가 역사적 사실이 아닌 마가의 신학적 관심이 투영된 이야기라는 브레데(William Wrede)의 주장에 의해 자유주의 예수전은 치명상을 입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여전히 마가의 이야기에 따라 역사적 예수의 생애를 그려내고 있다. 즉, 마가의 이야기들에 깔린 문학적 전략을 고려치 않고 마가의 이야기들을 곧바로 하나의 역사적 정보로 간주해 역사적 예수의 생애에 관한 다양한 글들을 아직도 써내고 있다는 점이다. 하여 이제 가난하고 배고픈 자를 먹인 예수, 가족개념에 내재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혁파한 예수, 이방인의 유입을 미리 내다본 예수 그리고 여성들과 아이들을 중시한 예수라는 다채로운 예수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다채로운 결과물로 인해 역사적으로 재구성한 결과물이 예수를 한 가지 방식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연구자의 욕구에 이끌린 투사물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아야 하는 막다른 골목에 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학비평적인 관점에서 마가의 이야기를 살피고 난 후에야 역사적인 질문으로 화두를 돌리라는 메이트라의(Frank Matera) 지적을 따르고자 했다. 이에 마가의 이야기 전략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13:9~13을 출발점으로 삼아 논의를 전개했다. 우선 막13:9, 11, 13은 박해를 받는 상황에서 제자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즉, 예수따름은 박해를 동반하는 일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다가오는 고난을 피하기보다는 짊어지고 묵묵히 따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 따름에는 막13:12에서처럼 가족과의 분열이 수반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막13:10은 복음이 만방으로 전파되어야 할 것을 설파하고 있다. 한데 막13:9~13이 그리스도교 예언자에 의해 작성된 로기온들이고 특히 13:10이 마가의 편집구임을 감안하면 마가의 다른 본문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제자됨, 가족, 그리고 복음에 관한 말들 역시 마가 그 자신의 신학적 관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니까 이야기들에 대한 편집구절 뿐만 아니라 이야기 구성자체에 있어서도 마가의 신학적 관점은 잘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한 예로 13:10의 복음이라는 용어가 14장의 베다니에서 기름부음을 받는 이야기에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것도 식탁교제를 배경으로 말이다. 때문에 복음이라는 용어가 이미 마가의 이야기에선 식탁교제와 긴밀하게 엮여 있는 일임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엮음은 막3:20~35의 예수와 그의 가족들 간의 적대에 관한 이야기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즉, 3:20은 식사를 배경으로 전개되는 일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또한 막13:12와도 연결된다. 왜냐하면 막13:12도 가족 내부의 적대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14장의 유다의 배신의 이야기에서처럼 식사/빵이 배신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는 일이라면 이는 제자들의 몰이해의 문제와도 만난다고 할 수 있다. 바로 두 개의 급식사화가 보여주듯이 말이다. 제자들은 두 번의 기적을 통해서도 식사/빵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파악해내지 못하고 있지만 이방인이자 그것도 여성, 즉 어쩌면 배제된 소수자들의 극한이라 할 수 있는 수로보니게 여인이 식사/빵의 의미를 간파해내고 있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이 수로보니게 여인에 관한 이야기는 13:10을 이미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아무튼 이처럼 막13:9~13은 제자들의 몰이해, 가족, 식사, 그리고 배제된 소수자를 논하기엔 좋은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또한 제자들의 몰이해, 가족, 식사 그리고 배제된 소수자인 이방인에 관한 이야기들은 역사적 예수의 맥락에다 바로 대입할 수는 없는 것들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더군다나 이 이야기들이 식사/빵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고 급식사화에서 볼 수 있듯 빵을 의례적 문맥에서 쓰이곤 했던 수수께끼/비밀로 제시하면서도 제자/독자에게 그 의미를 깨닫도록 요청하고 있기 때문에 마가가 독자를 일종의 의례에 입문한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 때문에 막13:14가 의미하는 바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구절은 마가가 제자들뿐만 아니라 독자들도 깨달음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가의 이야기를 의례와 문학이 서로 통섭된 이야기로 보더라도 별 탈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교차대구가 통과의례의 시퀀스와 상응한다는 리치(Edmund Rich)의 견해가 타당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우리 역시 그의 논의에 기초해 마가의 이야기를 분석해 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마가는 복음이라는 용어를 식탁교제와 긴밀하게 엮어 놓음으로써 유대교의 정결례와 대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제된 소수자들인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이러한 대결을 받아들이지 않는 집단 내의 구성원들에 대해서

      • 독일 교양 이데올로기와 슐라이어마허의 예수상 연구

        이해청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Bildung is often referred when indicating the German Neoclassicism, called Goethe period, that took place between the 1750s and 1830s. It contains the ideal of modern whole person education that combines Enlightenment, German tradition of pursuing the inner world, and Western humanism handed down since ancient Greece and Rome. As a cultural ethos of the educated middle class in Germany, it was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through freedom and solitude without unconditionally following the system, custom, and other people's view. This shows that Bildung is a term that reveals the core values that modern german culture has sought to pursue. However, this Bildung revolved around a certain cultural heritage: ancient Greece. Kant, Herder, and Humboldt, who founded German Bildung, revered ancient Greece and despised other cultures and religions, especially Jew/Judaism, reversing Tertulian question who asked What does Athens have to do with Jerusalem. This means that traditional religious anti-semitism has been transformed into racial and cultural anti-semitism backed by culture during the period of Neoclassicism. Even Enlightenment, which pursued universal humanity, failed to overcome traditional religious anti-semitism toward Jew/Judaism. Unfortunately, during the Romantic period, it became more acute, with the discovery of William Johnson's Indo-European language and Napoleon's invasion of Germany leading to exclusive racial and nationalistic tendencies. Although different from later biological racism, the educated middle class in Germany, including Schlegel, took a racially and nationalistic attitude that considered Britain, France, Jew/Judaism hostile. This means that racial and cultural anti-semitism in Enlightenment Bildung has been transformed into racial and nationalistic anti-semitism in Romantic Bildung. This tendency of German Bildung is evident in Schleiermacher whom this thesis will study. In particular, The life of Jesus was the pinnacle of this tendency. However, the The life of Jesus shows traces of On Religion and Hermeneutics and Criticism, so On Religion and Hermeneutics and Criticism cannot be omitted. As the subtitle of On Religion, A Lecture for Cultivators Who despise Religion, suggests, nothing is more evident than On Religion that Schleiermacher seriously considered German Bildung in reflecting on religion. Accordingly, it is natural that a negative attitude toward Jew/Judaism, like German Bildung, is permeated here. Christianity implies the possibility of turning itself into a religion worthy of the ideals of German culture, but Judaism is only a mechanical and extinct religion of letters.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Christian understanding that killing is writing and saving is spirit, along with the organic understanding of romantic German culture, was based on On Religion of racial and cultural anti-Semitism that estranged other religions. The traditional Christian understanding that killing is writing and saving is spirit, along with the organic understanding of Romantic German Bildung, was predicated in On Religion in the form of racial and cultural anti-Semitism subjugating other people's religion, Judaism. Hermeneutics and Criticism also seems to be a continuation of this understanding. An example is the author's concept as a genius. The genius, who was elevated to a divine position by Romantic Bildung, was a person who independently spread his understanding to the text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means that the text was treated as a product of the author's original mind, not as a fabrication of quotations from other people or other cultures. The understanding or meaning of the text depended solely on the author's understanding. The same was true of Hermeneutics and Criticism. For Schleiermacher, who argued for author-centered Romantic Hermeneutics, the New Testament was produced by the authors as a genius, and the Old Testament was treated as a literature that had no effect on the New Testament. In traditional understanding, the New Testament was a literature with continuity with the Old Testament, but it has now become a unique and independent (Sui Generis) literatur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Old Testament. The Old Testament, on the other hand, was excluded from the scriptures. In fact, this treatment of the Old Testament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On Religion that treated Jew/Judaism as the religion of the extinct letters. His statement that hermeneutical interest disappears if universal religious interest declines confirms this point. Of course, the exclusion of the Old Testament was not only done on a religious and hermeneutical level. It seems that the agony of Schleiermacher, living in a world where Old Testament was gradually becoming obsolete not only in scripture but also in understanding Germany's cultural identity, was melted into it. Was he trying to prove that Christianity can stand firm with the New Testament alone by raising the German Bildung class'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Old Testament to the extreme? In any case, the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Jew/Judaism and the Old Testament in the On Religion and Hermeneutics and Criticism influenced the understanding of Jesus in the life of Jesus. For example, the author's concept as an original genius of Hermeneutics and Criticism can be recalled from the argument of the life of Jesus that Jesus understood not only God's revelation but also his mission by realizing himself without any influence from the Jewish environment. In addition, we can read the traces of On Religion that despise letters from the argument that Jesus had nothing to do with the prophecy described in the Old Testame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is is because the life of Jesus did not bring the interests shown in On Religion and Hermeneutics and Criticism without any modification. The author's concept as a genius and contempt for letters can be seen as being projected to Jesus in combination with the racist and nationalistic perspective that the German Bildung class of the time was enthusiastic about. For example, in the life of Jesus, Jesus was described as a genius hero who was favored by so-called nationalism that dominated the situation rather than being dominated by the situation. Furthermore, Schleiermacher was not only a preacher who committed himself to German nationalism, but also regarded the Gospel of John, which was favored by German nationalists, as the best gospel to understand Jesus.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rajectory of the study of Jesus' life from Reimarus to Schleiermacher in understanding Jesus in the life of Jesus. Looking through the history of the study of Jesus' life, we see that the Jewish Jesus of Reimarus was lost through Lessing, and instead Jesus represented the universal humanity of Enlightenment, and to Schleiermacher Jesus was understood to represent German race and nationalism. This means that the non Jewish Jesus of Lessing had some influence on Schleiermacher. If Lessing removed the Jewish Jesus for the universal humanity of Enlightenment, there is no law that Schleiermacher should not remove the Jewish Jesus for the sake of German race. Unfortunately, the same was true of Strauss, who fiercely criticized Schleiermacher' Jesus as a dogmatic understanding. It got worse. Strauss's work on theology showed that the life of Jesus, written by Schleiermacher, was not an objective historical biography of Jesus, but a book written based on the certain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However, this was the height of German culture, which saw Judaism from a pedigree's point of view and later eliminated even Jesus and ultimately worshipped the German race. But let's think for a moment. Did only Germany do this in the 19th century? The same is true today. Whether Western or non-Western theology still projects traditional anti-semitism to Jesus with the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era. In other words, Jewish Holocaust experiences remain unconsidered in theology. The above brief consideration of the statue of Jesus by Schleiermacher showed that traditional anti-semitism continued to exert power in collusion with German cultural ideology in the origins of modern theology, which sought to understand Jesus based on objective scientific knowledge. It's not gone, it's just a transition. So isn't it impossible for theology to consider anti-semitism and get away from it? Marc Chagall's White Crucifixion, which understood Jesus anew by participating in the suffering of the Jews, could be hope. A complete escape may not be possible, but the interest in the holocaust may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ology to reflect on anti-semitic understanding of Jesus in its own tradition and renew its view of Jesus by engaging in dialogue with Judaism. 교양은 괴테시대라 불리는 1750년대에서 1830년대 사이에 일어난 독일 신인문주의를 가리킬 때 자주 언급된다. 여기엔 계몽주의와 내면을 추구한 독일 전통 그리고 고대 그리스 로마 이래로 전수된 서양의 인문주의를 융합한 근대의 전인교육의 이상이 담겨있다. 독일의 교육받은 중산층 교양 계급의 문화적 에토스로서 제도와 관습 그리고 타인의 견해를 무조건 따르지 않고 자유와 고독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능력이었다. 한 마디로, 교양은 근대의 독일문화가 지향하고자 했던 핵심적 가치를 드러내는 용어였던 것이다. 하지만 교양은 특정한 문화적 유산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데 바로 고대 그리스였다. 독일 교양을 정초한 칸트와 헤르더 그리고 훔볼트는 아테네와 예루살렘이 도대체 무슨 상관이 있는가라고 물었던 교부 테리툴리아누스의 질문을 역전시켜 고대 그리스는 높이고 타문화와 종교, 특히 유대인/교는 경멸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것은 전통적인 종교적 반유대주의가 신인문주의 시대에 문화를 등에 업은 인종·문화적 반유대주의로 전화(轉化)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편적 인류애를 추구한 계몽주의 교양조차도 유대인/교에 대한 전통적인 종교적 반유대주의를 극복하지 못한 셈이다. 불행히도 낭만주의 시대에는 더욱 심화되었는데 윌리엄 존슨의 인도-유럽어의 발견과 나폴레옹의 독일 침략으로 배타적인 인종·민족주의적 성향을 띠었다. 후대의 생물학적 인종차별주의자들과는 달랐을지라도 슐레겔을 비롯한 독일의 중산층 교양 계급들은 영국 및 프랑스와 유대인/교를 배격해야 하는 타자로 간주하는 인종·민족주의적 태도를 취했다. 이것은 계몽주의 교양의 인종·문화적 반유대주의가 낭만주의 교양의 인종·민족주의적 반유대주의로 변모해갔다는 것을 뜻한다. 독일 교양의 이러한 발자취는 본 논문이 고찰할 슐라이어마허에게서도 드러난다. 특히, 『예수전』은 이 발자취의 정점이었다. 하지만 『예수전』에는 『종교론』과『해석학과 비평』의 흔적이 나타나기에 『종교론』과 『해석학과 비평』을 빼놓을 수 없다. ‘종교를 멸시하는 교양인을 위한 강연’이라는『종교론』의 부제(副題)가 알려주듯 슐라이어마허가 종교를 성찰하는데 있어 독일 교양을 진지하게 고려했다는 것이『종교론』만큼 잘 드러나는 것은 없다. 그렇기에 독일 교양처럼 유대인/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여기에 스며있는 것은 자연스럽다. 기독교는 독일 교양의 이상에 걸맞은 종교로 변모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유대교는 기계적이며 사멸한 문자의 종교에 불과했다. 죽이는 것은 문자요 살리는 것은 영이라는 전통적인 기독교적 이해가 낭만주의 교양의 유기체적 이해와 만나 타자의 종교인 유대인/교를 하대하는 인종·문화적 반유대주의가『종교론』에 깔려 있었던 셈이다. 『해석학과 비평』도 이 같은 이해의 연속으로 보인다. 한 예로 천재로서 저자 개념을 들 수 있다. 낭만주의 교양에서 신적인 위치로까지 격상된 천재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자신의 이해를 텍스트에 펼치는 인물이었다. 이것은 텍스트가 저자 이외의 타자나 타문화에게서 온 인용들의 짜임이 아니라 저자의 독창적인 정신의 산물로 다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트의 이해나 의미는 오로지 저자를 파악하는데 달려 있었던 것이다. 『해석학과 비평』도 마찬가지였다. 저자중심의 낭만주의 해석학을 주장한 슐라이어마허에게 신약은 천재로서의 저자들이 생산한 것이며 타자인 구약은 신약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은 문헌으로 취급되었다. 전통적인 이해에서 신약은 구약과 연속성을 갖는 문헌이었지만 이제 신약은 구약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독창적이고 독자적인(Sui Generis) 문헌으로 도드라지게 되었다. 반면에 구약은 경전에서 배제되고 말았다. 따지고 보면 구약에 대한 이 같은 취급은『종교론』에서 유대인/교를 사멸한 문자의 종교로 취급한 것과 다를 바 없다. 보편적인 종교적 관심이 쇠퇴한다면 해석학적 관심도 사라진다는 그의 말은 이 점을 확인시켜준다. 물론 구약의 배제가 종교적이고 해석학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만은 아니었다. 여기에는 경전뿐만 아니라 독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구약이 점차 쓸모가 없어져가는 세계에 처한 슐라이어마허의 고민이 녹아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구약에 대한 독일 교양 계급의 부정적 이해를 극단으로 끌어올려 신약만으로도 기독교가 견고하게 설 수 있다는 것을 변증하고자 했던 것일까. 어쨌든 『종교론』과 『해석학과 비평』에 나타난 유대인/교와 구약에 대한 부정적 이해는 『예수전』의 예수 이해에도 영향을 끼쳤다. 한 예로, 예수가 유대의 환경으로부터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고 스스로 깨달음으로써 하느님의 계시뿐만 아니라 자신의 사명도 이해했다는 『예수전』의 주장에서『해석학과 비평』의 독창적인 천재로서의 저자 개념을 떠올릴 수 있다. 아울러 예수가 구약에 묘사된 예언과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는 것에서『종교론』의 문자에 대한 하대, 즉 목소리에 대한 선호의 흔적을 읽어낼 수 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한다. 『예수전』이 『종교론』과 『해석학과 비평』에 나타난 이해들을 아무런 수정 없이 그대로 차용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천재로서의 저자 개념과 문자에 대한 하대가 당대 독일 교양 계급이 열광했던 인종·민족주의적 관점과 뒤섞여 예수에게 투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예수전』에서 예수가 상황에 지배받기보다는 상황을 지배하는 소위 민족주의가 선호한 천재적인 영웅적 인물로 묘사된 것은 이 점을 보여주는 예이다. 더구나 슐라이어마허는 독일 민족주의에 투신한 설교자였을 뿐만 아니라 독일 민족주의자들이 선호했던 요한복음서를 예수를 이해하는 최상의 복음서로 간주하기도 했다. 물론 『예수전』의 예수 이해에 라이마루스에서 슐라이어마허까지 이어진 예수 생애 연구의 궤적을 빼놓을 수 없다. 예수 생애 연구사를 훑다보면 라이마루스의 유대인 예수상이 레싱을 거치면서 소실되고 그 소실된 자리에 계몽주의의 보편적 인류애가 그리고 슐라이어마허에 이르면 독일의 인종·민족주의가 들어서게 되는 것을 목도하게 된다. 이것은 레싱의 비유대인 예수가 슐라이어마허에게 일정 부분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레싱이 계몽주의의 보편적 인류애를 위해 유대인 예수상을 소거한 마당에 독일 인종·민족주의를 위해 슐라이어마허가 유대인 예수상을 소거하지 말란 법은 없다. 불행히도 슐라이어마허의 예수를 도그마적인 이해라고 격렬하게 비판한 슈트라우스도 마찬가지였다. 아니 더욱 심화되었다. 슈트라우스의 신학적 작업은 슐라이어마허의 『예수전』이 예수에 관한 객관적인 역사적 전기가 아니라 기독교의 특정한 신학적 이해를 토대로 써진 저서에 불과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었다. 하지만 유대인/교를 피라는 혈통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말년엔 예수마저 소거했으며 궁극적으로는 독일 민족을 숭배한 것으로 치달은 독일 교양의 절정이기도 했다. 그런데 여기서 잠시 생각해보자. 19세기 독일만 그랬을까? 오늘날도 마찬가지다. 서양이든 비서양이든 신학은 자기 시대의 이해와 함께 전통적인 반유대주의를 예수에게 여전히 투사하고 있다. 유대인의 홀로코스트 경험은 신학에서 사유되지 않는 무의식으로 남아 있는 셈이다. 슐라이어마허의 예수상에 대한 위의 간략한 고찰은 객관적인 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예수를 이해하려 했던 근대 신학의 기원에 전통적인 반유대주의가 독일 교양 이데올로기와 결탁해 계속해서 힘을 행사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사라진 것이 아니라 전이되었을 뿐이다. 그렇다면 신학이 애초에 반유대주의를 사유하기란 더군다나 벗어나기란 불가능한 것 아닌가? 유대인의 고통에 참여함으로써 예수를 새롭게 이해한 샤갈의「흰 십자가」는 희망일 수도 있다. 완전한 탈주는 불가능하겠지만 홀로코스트에 대한 관심은 신학이 자기 전통 안에 드리워있는 예수에 대한 반유대주의적 이해를 성찰하고 타자인 유대교와 대화에 나섬으로써 예수를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를 마련해 줄지도 모른다.

      • 마르코 복음서의 식사 모티프 이야기와 교회 정치학 : 음식 기적 및 시로페니키아 여성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해청 성공회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르코의 이야기에서 먹기/식사 모티프들은 자주 나타난다. 이 먹기/식사 모티들은 일종의 제의설화로서 종교적 신화나 의례에 등장하는 수수께끼의 기능을 갖는다. 빵과 관련한 두 번의 음식 기적에서 제자들을 향하여 아직 도 깨닫지 못하였느냐는 예수의 지적은 이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다. 그 리고 이 두 번의 음식 기적 이야기 사이에 마르코는 시로페니키아 여성에 관한 이야기를 끼워 넣는다. 여기에서 이 여성은 제자들이 깨닫지 못한 것 을 깨닫는다. 아니 예수를 설득하여 이방인 선교의 문을 연다. 어떻게 이방 인 여성이 제자들도 깨닫지 못한 먹기/식사인 빵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는 걸까? 하지만 잘 살펴보면 마르코의 이야기에서 이 여성뿐만이 아니다. 대 체로 마르코는 예수에 관한 이야기를 전개하는 데 있어서 음식과 먹기, 식 사예절을 다양한 여성들과 엮어놓는다. 특별히, 섬김이라는 주제를 동원하면 서 말이다. 더구나, 먹기/식사, 여성, 섬김을 이렇게 촘촘하게 연결함으로써 마르코는 외부인인 유대인뿐만 아니라 내부인인 1세대 남성 제자들 및 예수 의 가족/친척들의 경계를 넘어선다. 먹기/식사는 가족을 재정의하는데 있어 서 핵심적인 모티프로 쓰인다. 따라서, 조태연이 말한 바처럼 가히 빵담론/ 빵 기독론이라 할만하다. 커뮤니타스의 세계로서 빵담론/빵 기독론은 마르코의 이야기에서 기존의 것들이 뒤집히는 세계를 구성하는 서사적 핵이다. 이 서사적 핵인 빵은 헬라 파 유대계 그리스도인들의 전승을 이어받은 표지이며 마르코가 당대의 현실 에 개입한 교회 정치학적 생존의 수사학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생존의 수사 학이 마르코의 이야기에서 먹기/식사와 관련하여 어떻게 펼쳐지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 Green Fabrications and Applications of Organic/Inorganic Hybrid Nanomaterials with Well-Defined Architectures

        이, 해청 부산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83

        This thesis describes a collection works concerning the exploration of novel protocols to synthesize a variety of organic, inorganic and their hybrid nanomaterials with well-defined architectures. The suitable applications of such obtained nanomaterials were also explored. We have firstly developed a novel template-synthetic protocol to fabricate hollow inorganic oxide microspheres. In these fabrication routes, hydrophobic surfaces of polystyrene (PS) microspheres were firstly modified with hydroxyl moieties by plasma treatment technique. Using these plasma-treated polystyrene spheres as sacrificial templates, SiO2-coated PS, TiO2-coated PS and GeO2-coated PS composite microspheres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hollow SiO2, TiO2 and GeO2 microspheres with mesoporous textures have been successfully generated. This protocol not only demonstrated a facile, low-cost and environmentally benign way to fabricate hollow oxide structures, but also offered a feasible alternative to the fabrication of polymer/oxides composites by templating against polymer substrates with hydrophobic surfaces. As an extended work, carbon nanotube (CNT)/SiO2 and CNT/SiO2/silver nanoparticle hybrids have also been prepared based on the plasma-treated CNTs. Targeted to “green” synthesis of nanomaterials, biocompatible hyperbranched polyglycidols (HBPs) and their derivatives have been synthesized and applied to prepare various nanomaterials. Interestingly, HBPs have been demonstrated as effective reducing and stabilizing agents for the synthesis of a variety of monometallic (Au, Ag, Pt, Pd and Ru) and bimetallic (Au/Pt, Au/Pd and Au/Ru) nanostructures. The effects of a series of reaction parameter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precursor, reaction temperature, molecular weight of HBP, on the morphologies of resultant metal nanostructures have been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plausible formation mechanism of those metal nanoparticles was also tentatively proposed. Particularly, Au architectures with well-tunable morphologies ranging from nanospheres, hexagonal nanoplates and triangular nanoplates were successfully generated by simply changing the employed amount of metal precursor and the involvement of suitable amount of halide salts. Those obtained Au nanoplates provide excellent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substrates for the detection of organic species. Note that all the synthetic reactions were carried out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under normal pressure, and in absence of any additional surfactants, thus HBP-assisted protocol described in this thesis provides a promising “green” alternative for the fabrication of metal nanostructures. HBP were also proved to be an effective medium to prepare HBP-based inorganic oxides hybrids. For instance, HBP/TiO2 nanostructures with controllable morphologies ranging from solid spheres, capsules to nanotubes have been fabricated by means of HBP-mediated sol-gel process at ambient temperature. Moreover, assisted with HBP trapped within the HBP/TiO2 solid spheres, the Au nanoparticles can be in situ generated and incorporated into the matrix of HBP/TiO2 composites. The resultant HBP/TiO2/Au nanohybrids exhibited excellent catalytic performance to the reduction of 4-nitrophenol. Functionalized HBPs provide promising platforms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HBPs. Herein, novel pyrenyl moieties decorated HBP (pHBP) was synthesized and utilized for the functionalization of CNTs via a non-covalent (non-destructive) process. Mediated by pHBP layer on CNT sidewall, Au, Ag and Pt nanoparticles and uniform SiO2, GeO2 and TiO2 coatings are in-situ generated and deposited onto the as-prepared CNT/pHBP hybrids, forming versatile homogeneous CNT-based nanohybrid sols. The coverage of metal nanoparticles and oxide coatings is controllable simply by changing the employed amount of precursors. This easy synthetic strategy provides a general and convenient route to efficiently assemble a wide range of metal nanoparticles and inorganic oxide components on the sidewall of CNTs, and enables the construction of heterogeneous nanostructures with novel functionalities in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As a mean of demonstrating the versatility of the fabricated hybrid materials, the catalytic function of CNT/pHBP/Pt hybrids towards the reduction of 4-nitrophenol and the incorporation of dye molecules into CNT/pHBP/SiO2 matrix resulting in fluorescent nanofibers were also investigated. “Confined galvanic replacement (CGR) reaction”, the first definition termed by us, sets another effective route to fabricate alloy nanostructures-encapsulated hybrid materials. In this thesis, we presented the preparation of silica nanocapsules containing Ag/Au alloy nanostructures by CGR reactions between silver core nanoparticles within silica shells and aqueous HAuCl4 in a confined nano-space. The structure and morphology of the resulting hybrids are diversified by controlling the relative amount of Ag/Au, exhibiting tunable optical absorptions in visible region. The CGR reactions in a confined nano-space include alloying and de-alloying processes that determine the evolution of morphology and optical absorption of the resultant hybrids. This protocol also can be extended to other reaction systems for the fabrication of alloy nanoparticles-contained core/shell nanomaterials. Another simple yet efficient way were also presented to fabricated robust monodisperse poly[styrene-co-(divinyl benzene)] (PS-co-DVB) microcapsules that containing a single metal (Au, Ag and Pd) nanoparticle. Using the PS-co-DVB capsules as a microreactor, a single Au nanoparticle can be in situ generated within each polymer capsule by sequently infiltrating HAuCl4 and NaBH4 aqueous solutions into the capsule. Moreover, the size of Au nanoparticles was controllable by simply changing the infiltration circles of precursor and reducing agent. In this thesis, we have also presented a self-assembly route to fabricate α-diimine complex (DC) assemblies with tunable morphologies ranging from solid spheres, hollow structures and nanotubes through π-π stacking interaction and hydrogen bonds. These DC assemblies have been demonstrated as multifunctional hosts for in situ generation and encapsulation of Au nanoparticles, yielding novel solid and hollow DC/Au hybrid nanospheres. Hollow DC assemblies were also used to host NiBr2 to form hollow hybrid spheres. More fascinatingly, by using these obtained DC/NiBr2 spheres as bulky catalysts for ethylene polymerization, porous polyethylene beads insisting of numerous polyethylene microspheres produced. The corresponding formation mechanism was also elucidated as analogous “multigrai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