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출신지와 자녀의 정치적 지역 연고

        이재묵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미래정치연구소 2018 미래정치연구 Vol.8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s’regional background on their children’s region-based political behavior.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we explore how children’s political orientation can be shaped or influenced by their parents’ regional background during the process of political socialization. Utilizing online survey data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f Korea, we attempt to answer such research questions as 1) do voters have any regional orientation although they were not born in either Youngnam(Gyeongsang province) or Honam(Jeolla province) but their parents did? 2) which is more politically influential between maternal and maternal sides when their parents were from rival regions? 3) finally, do voters also have solid regional orientation even if their parents have never affiliated with any rival regions(i.e., Youngnam and Honam) but they were born in one of the region?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voters tend to have some regional ties if their parents were from those rival regions even if they do not have any direct links. In addition, we find that voters tend to hold different political attitude according to different regional backgrounds of their mother, when their fathers have same regional background. A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re are some important factors, mostly developed during the early stage of political socialization, that can influence one’s regional orientation, while the most of extant studies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regionalism have focused more on the macro side or micro factors associated with post-growing period. Yet, more appropriate data is necessary to address this issue and more future researches are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권자 정치 행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는 유권자의 출신 연고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모의 출신 연고가 그 자녀의 지역 연고와 연동하여 어떤 정치사회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19대 대선 전후로 실시된 300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는 본인의 출신 연고가 상대적으로 약할 때(비영호남 출신 자녀) 부모의 출신 연고(영호남 연고)는 어떤 정치사회적 영향을 자녀에게 행사할 수 있는가, 또한 부모의 출신 연고가 영호남으로 교차해서 나타날 때 자녀는 어떤 영향을 주로 받게 되는가, 그리고 부모는 영호남 이외의 기타지역 출신이지만 자녀는 영호남 출신연고를 갖고 있을 때 과연 개인은 어떤 정치 행태를 띄게 되는가 등의 다양한 경험적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인이 비영호남 지역 출신일지라도 부모의 출신 연고에 따라 특정 지역성향이 발현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같은 지역 출신 아버지를 두었을지라도 어머니의 고향에 따라 자녀의 정치 성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지역주의 연구가 주로 거시적 변수(지역 경제 발전 격차론 등)나 유권자의 성장기 이후의 다양한 정치사회적 요인(정치인의 선거전략적 동원 등) 위주로 설명되어 오던 관행에서 벗어나 청소년기의 차별화된 정치사회화 과정이 그들의 지역주의 정치성향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자료의 한계 등의 문제로 추후 이에 대한 보다 많은 후속 연구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2014년 지방선거: 지역주의는 완화되었는가?

        이재묵 세종연구소 2014 국가전략 Vol.20 No.4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region-based voting behavior of Koreans in 2014 local elections employing both aggregate-level voting record collected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the survey results conducted by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nd Korean Party Studies Association. Despite some signs of decreasing role of regional voting observed at provincial level elections, this study finds that region-based voting behavior has clearly appeared both in Youngnam and Honam. This study also uncovers that the effects of regional voting are heterogeneous across generations, and the older tends to exhibit stronger regional identity than the younger. The findings here thus require further future works that examine how regionalism will change as the younger gets older. 2014 지방선거에 나타난 유권자의 지역주의 투표행태를 분석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집계한 집합자료와 더불어 6.4 지방선거 직후 실시된 유권자 의식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해 표심에 나타난 지역주의 투표행태를 분석한 결과,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지역기반 투표행태의 변화 조짐이 조금 발견되었으나, 여타 선거에는 여전히 견고한 영호남 중심의 지역주의 투표 행태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유권자의 지역주의 투표 행태는 연령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띠며, 젊은 세대 보다는 나이든 세대일수록 지역주의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향후 한국의 유권자 투표 행태 분석에 있어서 지역주의의 영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선거관리위원회의 관리활동과 유권자 만족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이재묵,김기동,차보경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들이 선거관리위원회의 관리활동과 그것의 일환인 TV 토론회에 대해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평가가 유권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이는 민주주의에서 승자와 패자 간 만족도의 격차가 심화되는 현실에서 공정한선거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는 점에서 양자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유권자 정치의식조사’ 자료를 이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유권자들은 자유와 공정의 관점에서 선관위의 선거관리 전반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TV 토론회에 대해서도 그것의 공정성과 효과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리고 선거관리와 TV 토론회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의 선거과정과 민주주의에 있어서 선거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firstly, how Korean citizens evaluate electoral administrations and televised debates during the 7th nationwide local elections in South Korea, and secondly, we also delve into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s on their satisfaction. In particular, we argue that free and fair electoral administrations can reduce the gap between winners and losers in elections, which can cause severe crises of democracy. After analyzing survey data conducted during the 7th local elections, we show that Korean citizens have positive evaluations on electoral administrations and televised debates. And these evaluations can increase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se empirical result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lectoral administrations for the future of elections and democracy in Korea.

      • KCI등재

        Mass Responses to Growing Elite Polarization in the U.S.: Ideological Extremism and Political Awareness

        이재묵 한국국제정치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3 No.3

        In recent years scholars of American politics have paid a great attention to party elites’ ideological polarization and the mass reactions to the changed political environment. Applying a novel empirical strategy,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this body of literature examining the mass consequences of party elites’ ideological polarization. More specifically, using the cumulative ANES (American National Election Study) survey (1972-2004), this paper examines how ordinary citizens have responded to the polarizing political environment in terms of changes in their ideological positions and levels of political awareness. In particular, assuming that mass effects of the polarized politics could be potentially heterogeneous in these two dimensions depending on citizens’ existing positions in the distribution of dependent variables (i.e., ideological positions and political awareness), this study utilizes a quantile regression model to account for differential responses of citizen strata in addition to the ordinary regression analyses of conditional mean effect for the general electorate. Empirical findings here suggest that the general electorate not only becomes to perceive mor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ties, but they also tend to adopt more extreme positions on the ideological self-placement. In addi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mass effects of growing congressional polarization are quite consistent across different strata of the electorate rather than being disproportionate. This result contrasts sharply with the claim of Fiorina et al. (2006) who argue that mass polarization is largely limited to the small subset of population with stronger ideological orientation.

      • KCI등재

        Another Look at Partisan Polarization in the South Korean Mass Public: Ideological or Affective Polarization?

        이재묵 한국학술연구원 2015 Korea Observer Vol.46 No.2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that explains why the degree of ideological conflict looms large in Korean people’s perception. I argue here that people tend to feel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s suffering from severe ideological conflict not because ordinary citizens became ideologically polarized, rather because a kind of emotional antipathy has substantially grown among partisans in Korea. That is, drawing upon a social identity theory developed in social psychology, this study suggests that people tend to perceive the level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among citizens larger than it actually is because the extent to which partisans dislike each other has significantly grown in Korea. This implies that affect-based partisan division could be another way of defining mass attitudinal polarization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political landscape.

      • KCI등재

        Studying Ideological Polarization in the U.S. Congress Using Relative Distribution Method

        이재묵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 of growing ideological polarization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using relative distribution method, a nonparametric tool designed for distributional analysis. Adopting DW-NOMINATE scores as measures of members’ ideological orientation in the House, this study suggests that elected officials are ideologically more polarized in later eras in comparison with the 1960s and partisan conflict thus became more intensified in the Congresses of 1990s and 2000s. One of the strengths that this article maintains is this study decomposes ideological polarization into shape change and location shif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By doing do, the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the great majority of congressmen shift their ideological positions toward one extreme compared to the previous congress, the opposite tail of the distribution also gains some density at the same time. Indeed, ideological polarization in terms of changes in distributional shape occurred simultaneously while the entire ideological distribution of the House members oscillated between the leftward and rightward shifts.

      • KCI등재

        Elite Polarization and Mass Political Engagement: Information, Alienation, and Mobilization

        이재묵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20 No.1

        Using the cumulative ANES survey (1972-2004),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elite polarization on various measures of mass political engagement when alienation, mobilization and informational factors are included together in the estimation model. I also focus on the conditional effect of existing cognitive ability of an individual as I explore mass engagement question because citizens can respond differently to changed informational environment depending on their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increasing elite polarization in the U.S. Congress on mass political engagement is rather ambiguous because the signs and the magnitudes of the effects are varying by measures of political engagement and levels of education. The ambiguity in findings might explain why previous research has provided conflicting empirical evidences regarding its effect on mass politics.

      • KCI등재

        연구논문 : 엘리트 정당 양극화와 유권자 투표 참여 및 정치 관심도: 18대 대선을 중심으로

        이재묵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4 의정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정치 엘리트들 사이에서 증대되는 정파적 양극화(partisan polarization) 에 대한 인식이 유권자의 정치 참여 혹은 관여(engagement)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치인들 간의 정파적 양극화 정도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이 그들의 참여 의지나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정치 엘리트들의 이념적 양극화에 대한 유권자들의 반응을 살펴본다. 한국사회과학데이터 센터(KSDC)가 수행한 ‘제18대 대통령 선거 유권자 의식조사’ 자료의 경험적 분석에 따르면, 한국 유권자들은 정치 엘리트의 이념적 양극화를 크게 인식할수록, 선거나 정치쟁점에 대해 더 높은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치 엘리트들 간 이념적 격차의 확대로 인해 증대된 유권자들의 정치과정에 대한 관심은 개인의 교육수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나타나는데,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력이 낮은 유권자들은 고학력 유권자들에 비해 정치인들의 이념적 격차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외견상 증대된 것처럼 보이는 경쟁 정파 간 양극화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지각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학력 유권자들은 경쟁 후보 사이에서 실질적인 정책 차이를 발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서 그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stakes)에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정치 엘리트들의 양극화가 심화될수록 시민들이 선거나 정치 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관심을 갖게 된다면, 그것은 양극화의 긍정적인 작용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정치 엘리트들의 정파적 양극화가 대의민주주의의 작동 측면에서 반드시 부정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