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포츠 생리학 : 운동강도에 따른 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아포프로틴의 변화

        이용수(LeeYoung-Soo) 한국체육학회 1996 한국체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acute effects of exercise of different intensities on plasma lipoprotein and apoprotein profiles: triglyceride(TG), free fatty acid(FFA), total cholesterol(TC), HDL-C, LDL-C, apo A-I, and apo B,Te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20.2±0.6yrs) completed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familiarization session, a maximal aerobic test, and two experimental exercise test sessions. A maximal test of aerobic capacity was administered by the ramp treadmill test. After the VO₂max had been measured,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port to the laboratory two times on the same weekday of a successive week at 7 a. m. Two exercise tests (50%, 80% of VO₂max) were randomly scheduled by draws. On each condition the subject had fasted overnight and ran on the treadmill for 30 min at the assigned intensity.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the antecubital vein at pre-exercise, post-exercise, 30 min, 1 hr end 2 hr post-exercise. All concentrations were corrected for plasma volume changes.A Repeated Measures ANOVA indicated that TG was changed significantly with exercise at 50% of VO₂max and that plasma FFA, apo A-I and apo B were changed significantly with exercise at 80io of VO₂max. T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30 min, 1 and 2 hrs post-exercise with exercise at 50% of VO₂max. Plasma FFA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2 hrs postexercise with exercise at 80% of VO₂max. Plasma apo A-I was lower at post-exercise(p<0.01) and increased slightly at 2 hr post-exercise. Plasma apo B was lower at post-exercise<p<0.05) and returned to pre-exercise level in 2 hr post-exercise. Plasma TC, HDL-C, and LDL-C levels were nor changed significantly with exercise at 50% or at 80% of VO₂max.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nsity of 50% and 80% VO₂max may enough to affect the acute transient modification of TG, FFA and apoprotein concentration.

      • KCI우수등재

        일반 대학생과 지구성 훈련선수간의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 비교

        이용수(LeeYoung-soo),오동근(OhDong-Keun) 한국체육학회 2000 한국체육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변인을 분석하여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방연소를 최대화할 수 있는 적정운동강도를 설정하는데 있다. 실험대상은 평균나이 20세의 일반 대학생과 평균 17세의 지구성 훈련에 장기간 참여한 선수를 선정하였다.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는 호흡교환율과 Lusk Table을 이용하여 산소섭취링을 분당지방연소량(fat kilocalorie per minute: Fkcal/min)으로 1분 단위로 변환하여 지방연소량이 최고치를 나타낼 때의 운동강도로 결정하였으며, VO<sub>2</sub>max50%운동강도와 비교하였다. 피험자는 실험 전날 저녁식사 이후 12시간 이상 금식한 후 10분간 스트레칭과 준비운동을 실시하고 Bruce protocol로 측정하였다. 호흡순환계변인은 Quinton Metabolic Cart 자동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test 분석결과,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는 지구성 훈련선수그룹(52.99%)과 일반 대학생그룹(38.99%)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t=4.5401, p=0.008). 일반 대학생그룹의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38.99%)는 VO<sub>2</sub>max50%운동강도(49.96%)보다 낮게 나타났다(t=6.251, p=0.000). 지구성 훈련선수그룹의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52.99%)는 VO<sub>2</sub>max50% 운동강도(50.03%)보다 약 3%정도 높게 나타났다.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의 지방연소량은 두 그룹간(endurance athletes; 6.6938kcal/min, college students; 5.1038 kcal/min)에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VO<sub>2</sub>max50% 운동강도의 지방연소량과는 유의하게(endurance athletes: t=-2.473, p=.043 college students: t=-5.228, p=.001)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및 분석결과, 심ㆍ폐 능력중진을 위해 ACSM에서 권장하는 VO<sub>2</sub>max50~60%운동강도와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는 적용목적에 따라 구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지구성훈련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 VO<sub>2</sub>max50% 보다 높은 강도의 운동강도에서 지방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지 방연소가 주목적인 대다수의 비만인들은 운동시작 초기에 VO<sub>2</sub>max40%운동강도가 적절하며, 신체능력 향상에 맞춰 점진적으로 운동강도를 높여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metabolic variables in motion and to compare maximal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MFOEI).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age 20 years) and endurance athletes(age 17 years). The MFOEI was defined at the intensity which resulted in maximal Fkcal as determined by converting VO<sub>2</sub> to Fkcal/min at each treadmill stage using RER and a Lusk table.Following an overnight fast, each subject finished stretching and warm-up for ten minute, followed by a maximal BRUCE protocol treadmill test.Expired g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ach 60 seconds using the Qainton metabolic cart. The date was analyzed by using t-test to compare MPOEI between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FOEI(p<0_05) between endurance athletes group(52.99%) and college students group(38.99%).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in the MFOEI of college students group(38.99%) and VO<sub>2</sub>max 50% exercise intensity (49.96%). The MFOEI of endurance athletes group(52.99%) was higher(approximately 3%) than VO<sub>2</sub>max 50% exercise intens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energy expenditure from fat oxidation(endurance athletes group; 6.6983 kcal/min, and college students group; 5.1038 kcal/min), but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between Fkcal in the VO<sub>2</sub>max 50% exercise intensity and college students group and endurance athletes group(p<.0.05).These resultants of this study were follow.It may be distinguished between exercise intensities to improve cardiopulmonary capacity and to oxidate maximal fat. It was found that the capacity of maximal fat oxidation(Fkcal) was improved in the exercise intensity which is over VO<sub>2</sub>max 50% by continued endurance training. However, because of fat oxidation it seems that people should begin to exercise at intensity of VO<sub>2</sub>max 40% for fat oxidation.

      • KCI우수등재

        운동생리학 : 청소년기 축구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 요인별 발달에 관한 종단적 연구

        이용수(LeeYoung-Soo),하민수(HaMin-Soo)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축구 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의 변화를 3년간의 종단적 연구를 통해 선수들의 개인차와 트레이닝 방법에 따라 변화하는 체력 요소들의 성장률을 비교 조사하여 개별적이고 적절한 트레이닝 방법을 제시하고 청소년 축구 지도자들의 선수관리에 참고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종단적 연구의 1차 실험(1997년 12월)에 참여한 중학교 3개팀의 41명과 고등학교 3개팀 34명 중 부상이나 운동을 중도에 포기한 선수를 제외한 중학생 32명과 고등학생 25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청소년기 축구선수들의 체격 및 축구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체력요소인 스피드, 민첩성, 근지구력, 전신지구력 및 순발력 그리고 심폐기능을 위한 최대유산소성 능력을 검사하여 연령대에 따른 체력요소들의 성장률을 비교하였다.청소년기의 축구선수들의 연령별 신장의 변화는 14세에서 15세, 체중도 비슷한 연령 시기인 14세에서 15세 까지는 약 7㎏ 정도의 커다란 증가를 보였다. 또한 체지방율은 14세에서 가장 크게 감소(20.8%)하였고, 좌고는 13세에서 14세 사이에서, 흉위는 14세(7.4%)에서 15세(6.0%)까지 가장 큰 성장을 보였다. 대퇴위(좌·우)는 15세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좌:7.9%, 우:7.9%), 하퇴위(좌·우)도 15세(좌:6.7%, 우:5.9%)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기 축구선수들의 체력 변화에 대한 측정 결과에서 스피드는 14세에서 5.8%로 가장 많이 단축되었으며, 민첩성은 15세에서 5.7%로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과 전신지구력(800m달리기)은 14세와 18세에서 가장 크게 발달하였고, 순발력은 13세에서 15세까지 크게 향상되었다. 각근력은 60 °/sec에서는 좌측 굴근력이 13세에서 14세 사이, 우측이 17세에서 18세 사이에 그리고 신근력은 좌·우측 모두 14세에서 15세 사이에 가장 크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180 °/sec에서는 17세에서 18세 사이에 굴근력(좌=38.9%, 우=22.8%)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으며, 신근력은 14세에서 15세 사이에 좌측이 24.5%, 우측이 15.4%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최대유산소능력은 15세에서 15.8%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최대산소섭취량의 자료를 토대로 측정하는 환기역치 수준은 17세에서 18세 사이에 5.2%로 가장 크게 높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development of young soccer players for providing the valuable data to prescribe training program Fifty-seven young soccer players(middle school group=32; high school group=25) volunteered to be measured for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for 3 consecutive years.1. The growth rate of the physique variables of ages each as followed, respectively; height(14∼15yr=3.9%), body weight(14∼15yr=7.0%), %fat(14yr=20.8%), sitting height(13∼14yr=3.8%), girth of chest(14yr=7.4%), girth of thigh(15yr:left=7.9%, right=7.9%), and girth of calf(15yr:left=6.7%, right=5.9%).2. The rate of development in the physical fitness variables of ages each were as followed, respectively;1) Speed : 50m run(14yr=5.8%)2) Agility : Side step test(15yr=5.7%)3) Muscular endurance : Sit-up(13∼14yr=8.8%)4) Cardiopulmonary endurance : 800m run(17∼18yr=5.5%)5) Power : Vertical jump(13∼14yr=7.0%), Five-bounding jump(15yr=9.0%), Long jump(15yr=1.2%), 25m Hopping(18yr:left=5.3%, right=2.8%)6) Isokinetic strength of knee at 60 °/sec(13∼14yr:left=extensor(33.9%)/flexor(24.3%) and (17∼18yr:right=extensor(16.0%)/flexor(30.3%)) and 180 °/sec(17∼18yr:left=extensor(38.9%)/flexor(24.5%) and (right=extensor(22.8%)/flexor(15.4%))7) Maximal oxygen uptake(15yr=15.8%)8) Ventilatory threshold(17∼18yr=5.2%)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physique variables were increased at age 14∼15 and that the physical fitness of power, agility, speed are increased at age 14∼15, endurance are at age 16.

      • KCI우수등재

        Small-sided game 트레이닝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유, 무산소 능력과 경기 중 활동 형태에 미치는 영향

        오지우(OhJi-woo),이용수(LeeYoung-soo),성기운(SungKi-wo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5

        본 연구는 7주간의 small-sided game(SSG) 트레이닝이 중학교 축구선수의 유, 무산소 능력 및 경기 중 활동 형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력 3년 이상의 중학교 축구선수 16명을 비교집단인 인터벌 트레이닝 그룹(Interval training group, ITG, n=8)과 실험집단인 SSG를 수행한 SSGG(Small-sided game training group, n=8)그룹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각 그룹은 모든 기존의 팀 훈련은 동일하게 제한한 환경에서 7주간 주2회 60분씩 각각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7주간의 트레이닝의 결과, 트레이닝 전과 비교하여 유산소성 능력은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p<.05), 무산소성 능력의 지표인 평균 파워가 IT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SSGG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제 경기의 모의 형태인 SSG 트레이닝이 경기 중 선수들의 활동 형태의 변화를 유도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영상촬영을 통해 선수들의 움직임을 기록하고 트레이닝 전, 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7주간의 SSG를 통해 선수들은 경기 중 총 이동거리가 증가하였으며(p<.01) running (p<.05), HIR (p<.01)과 같은 고강도 형태의 움직임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SSG트레이닝은 유소년 축구 선수의 유산소성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경기 중 활동 형태를 더욱 활발한 형태로 변화시켰으며 총 이동거리 또한 증가시켰다. 따라서 기술과 체력의 균형적인 발달이 요구되는 유소년 선수들에게 SSG트레이닝이 체력 발달에 집중된 전통적 트레이닝 방법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effects of small-sided game (SSG) on aerobic, anerobic capacity and activity pattern in youth elite football players. 16 soccer p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interval training group (ITG, n=8) and small-sided game training group (SSGG, n=8). Participants performed interval and small-sided game training twice a week for 7 weeks in addition to regular football team training. Participants were performed Yo-Yo intermittent test to examine differences of aerobic capacity in ITG and SSGG.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erobic capacity (p<.05). In relation to anaerobic capacity, ITG showed improvement in mean power of the Wingate test (p<.05) whereas SSGG did not show any improvement. To examine the effect of SSG training on activity profile, we recorded and analysed the activities of players in SSGG during SSG. After SSG training for 7 weeks, the participants covered longer total distances (p<.01) and high intensity movement, such as running (p<.05) and high intensity running (p<.01). In conclusion, SSG training can be used as regular training to improve aerobic capacity and activity pattern in youth elite football p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