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총독부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의 분류와 평가

        이송순,Lee, Song-Soon 한국기록학회 2006 기록학연구 Vol.0 No.14

        현존 총독부 공문서는 이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영구보존문서로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 문서의 실태는 부분적이고 불균등하여 기록(archives)으로서의 가치평가와 활용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고에서 살펴본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 역시 이를 통해 일제 시기 진행된 시가지계획의 모든 상을 도큐멘테이션하는 데는 상당한 한계를 갖는다. 이에 이러한 불균형 잔존 행정기록에 대해서는 당대의 정책 제도 변화에 대한 컨텍스트를 파악하고, 이를 수행한 조직의 핵심기능을 종합하여 거시 평가의 틀을 만들어, 여기에 현존 문서를 배치하는 도큐멘테이션 과정, 이 과정에서 가치가 높은 기능과 관련된 기록이 소수라는 점, 즉 기록의 재현성이 불완전한 것을 보충하기 위한 다른 역사적 자료의 적극적 이용과 적극적인 기록수집 방안을 함께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일제시기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 중에서도 시가지계획관련 문서라는 하나의 문서군(series)에 대한 기록 평가를 시도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총독부 공문서 전반에 대한 평가 방법을 도출하기는 한계가 있으나, 시가지계획이라는 총독부 식민정책의 집행과정에서 생산된 문서의 맥락을 이해하여 기록의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문서 활용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총독부 공문서와 같이 이미 영구보존기록으로 결정되어 보존되고 있는 역사기록에 대한 평가는 처분을 위한 평가로서의 기능은 갖지 못한다. 이에 역사기록에 대한 평가는 향후 기록의 접근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DB화나 정보콘텐츠화와 연계하는 방안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historical value of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on preserved as permanent archived documents has long been recognized. However, the fact that only parts of the overall documents were preserved and that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documents is not uniform, results in many problems regarding the evaluation and usage of such documents as archives. This study attempts to appraise a series of archival documents related to urban district planning compiled during the colonial era. Although limited in terms of its applicability to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on as a whole, by evaluating the value of these documents based on the background of the documents produced during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on's implementation of its colonial policy, 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indicator of how such documents should be used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e assessment of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on which have already been designated and preserved as permanent archived documents should not be perceived as an attempt to dispose of the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appraisal of historical archiv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asures to link such documents with existing databases or information contents in order to heighten access to and usage of the relevant docum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일제말 전시체제하 ‘국민생활’의 강제와 그 실태 : 일상적 소비생활을 중심으로

        이송순(Lee Song-Soon) 고려사학회 2011 한국사학보 Vol.- No.44

        This study analyzes the daily life of Korean in times of Japanese colonization, especially during the Japan’s wartime which “Total (all-out) War system” was undertaken. Life in Japan after the China- Japan war was forced to follow a specific life style referred to as ‘national life’ and this concept of ‘national life’ was used to control the daily life of civilians. The concept of ‘national life’ was advocated by Okouchi Kazuo, an authority in Wartime social policy theory. Following this concept. civilians had to prioritize ‘public interest’ over liberty and individual interests during wartime on their daily basis. Extravagance was strongly suppressed meanwhile consumption of commodities was to be kept to the minimal level. The consumption of commodities was strictly restricted to the minimal level even when people were unable to satisfy the very basic needs. Due to this policy, the Koreans and Japanese weren’t even able to sustain their lives to the minimal level and the ‘national life’ policy failed. First, the restrictive policy on daily life consumptions emphasized ‘rice saving’ in the food lif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took a various ways to reduce rice consumption. Consequently, the Korean had to survive by consuming ‘substitutes’ which barely contained enough nutrition necessary to sustain their lives and therefore, suffered great starvation. Nex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forced to wear the ‘national costume (gukminbok) and ‘momppe’ because of the shortage in textile and fabric. By controlling the clothing life, it also intended to control the ideology of civilians. Culture-wis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eliminated luxury, pleasure. recreation, entertainment. and pop culture and forced ‘wholesome’ cultural life. This policy ultimately aimed at inspiring Fascist ideology and promoting physical fitness such as the shrine(Jinja) worship and group camping which were necessary during the wartime for people to bear in min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military sacrificed everything in their homeland and their colony for their invasion war. As a result, ‘national life’ was destroy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인 식생활의 지역성과 식민지성

        이송순(Lee, Song-Soon)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5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한반도 식생활의 지역성과 일본으로 이주한 재일조선인의 식생활 양상을 통해 식민지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조선총독부 농업관료였던 히사마겐이치(久間健一)의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 한반도 식생활의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주식은 전체적으로 쌀만을 섭취하는 경우는 13%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보리 및 다양한 잡곡을 혼용하였다. 이를 지역적으로 나눠보면 쌀·보리(米麥)를 중심으로 하는 남선 7도와 잡곡을 중심으로 하는 서북선의 6도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주식은 자연적 조건에 따른 농업생산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고 있다. 일제시기 조선의 쌀 생산량은 증가하였지만 1인당 소비량은 감소했다. 결코 쌀이 주식이 될 수 없었던 식민지배하의 한반도의 상황과 대면하게 된다. 부식은 뚜렷한 자연적 지역성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동물성 단백질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식생활이 무려 30%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를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자연적 조건이 나쁜 평안남도 및 함경남북도가 남부지역에 비해 오히려 부식물의 소비 패턴에서는 더 ‘고급스러운’ 면을 보인 것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지주제에 의한 수탈이 가중된 남부지역에 비해 척박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미곡 상품화가 적게 진행된 서북선 지역에서 오히려 개별 농가 경제는 숨을 쉴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재일조선인의 식생활 양태를 살펴보았다. 일제 식민지기 조선인 일본 도항의 가장 큰 이유는 농업부진과 생활난이었고, 일본으로 이주한 조선인은 일본의 도시지역에서 노동자나 날품팔이의 하층 계급으로서 살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재일조선인의 식생활은 한반도 거주 조선인에 비해 더 열악한 상황은 아니었다. 특히 재일조선인은 주식으로 ‘백미’를 섭취하고 있었다. 1920년대 이후 일본의 ‘백미Boom" 시대는 식민지 수탈을 통해 가능했다. 조선총독부는 쌀증산을 외쳤지만, 조선인의 밥상에는 쌀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일본의 가난한 노동자도 먹을 수 있는 쌀밥을 한반도 거주 대부분의 조선인은 먹을 수 없었다는 것은 일본제국주의의 조선 식민지배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regional differences of dietary habit i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Imperial Japan and the dietary habit of Korean in Japan of that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at time, only 13 percent of the population consumed rice as staple, and the restconsumed the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rains including barley. Those living in the 7 Do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primarily had rice and barley, while those in the 6 Dos in the north western region had the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rains. Staple food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ffected by the natural circumstances. Under the Imperial Japanese rule, the gross production of rice in Joseon increased but individual consumption of rice decreased. There is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side dishes. However, 30 percent of the population consumed no animal protein whatsoever. Pyungannam-do and Hamkyungnam/Hamkyungbuk-do, the two regions with relatively less favorable natural conditions, in fact showed a more “sophisticated” dietary pattern when it came to the consumption of side dish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south. And such pattern is related to socioeconomic circumstances of each region. The southern regions were subjected to exploitation by the colonial landlord system whereas the north was able to develop with the industrialization effort. The dietary habit and pattern of the Koreans in Japan were analyzed. The biggest reason that the Joseon people migrated to Japan during that time was due to famine and financial struggles, and the Joseon people who relocated to Japan lived in the urban areas as the lowest class. However, the dietary pattern of the Koreans in Japan were not as bad as those remained in the peninsular despite being in the lowest class. Most of the Koreans in Japan ate rice as their staple. The fact that the poor laborers in Japan could still consume rice while most people in Joseon could not portrays the stark reality of Joseon under the control of the Imperial Japan.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한반도 식생활의 지역성과 일본으로 이주한 재일조선인의 식생활 양상을 통해 식민지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조선총독부 농업관료였던 히사마겐이치(久間健一)의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 한반도 식생활의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주식은 전체적으로 쌀만을 섭취하는 경우는 13%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보리 및 다양한 잡곡을 혼용하였다. 이를 지역적으로 나눠보면 쌀·보리(米麥)를 중심으로 하는 남선 7도와 잡곡을 중심으로 하는 서북선의 6도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주식은 자연적 조건에 따른 농업생산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고 있다. 일제시기 조선의 쌀 생산량은 증가하였지만 1인당 소비량은 감소했다. 결코 쌀이 주식이 될 수 없었던 식민지배하의 한반도의 상황과 대면하게 된다. 부식은 뚜렷한 자연적 지역성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동물성 단백질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식생활이 무려 30%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를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자연적 조건이 나쁜 평안남도 및 함경남북도가 남부지역에 비해 오히려 부식물의 소비 패턴에서는 더 ‘고급스러운’ 면을 보인 것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지주제에 의한 수탈이 가중된 남부지역에 비해 척박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미곡 상품화가 적게 진행된 서북선 지역에서 오히려 개별 농가 경제는 숨을 쉴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재일조선인의 식생활 양태를 살펴보았다. 일제 식민지기 조선인 일본 도항의 가장 큰 이유는 농업부진과 생활난이었고, 일본으로 이주한 조선인은 일본의 도시지역에서 노동자나 날품팔이의 하층 계급으로서 살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재일조선인의 식생활은 한반도 거주 조선인에 비해 더 열악한 상황은 아니었다. 특히 재일조선인은 주식으로 ‘백미’를 섭취하고 있었다. 1920년대 이후 일본의 ‘백미Boom" 시대는 식민지 수탈을 통해 가능했다. 조선총독부는 쌀증산을 외쳤지만, 조선인의 밥상에는 쌀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일본의 가난한 노동자도 먹을 수 있는 쌀밥을 한반도 거주 대부분의 조선인은 먹을 수 없었다는 것은 일본제국주의의 조선 식민지배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regional differences of dietary habit i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Imperial Japan and the dietary habit of Korean in Japan of that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at time, only 13 percent of the population consumed rice as staple, and the restconsumed the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rains including barley. Those living in the 7 Do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primarily had rice and barley, while those in the 6 Dos in the north western region had the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rains. Staple food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ffected by the natural circumstances. Under the Imperial Japanese rule, the gross production of rice in Joseon increased but individual consumption of rice decreased. There is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side dishes. However, 30 percent of the population consumed no animal protein whatsoever. Pyungannam-do and Hamkyungnam/Hamkyungbuk-do, the two regions with relatively less favorable natural conditions, in fact showed a more “sophisticated” dietary pattern when it came to the consumption of side dish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south. And such pattern is related to socioeconomic circumstances of each region. The southern regions were subjected to exploitation by the colonial landlord system whereas the north was able to develop with the industrialization effort. The dietary habit and pattern of the Koreans in Japan were analyzed. The biggest reason that the Joseon people migrated to Japan during that time was due to famine and financial struggles, and the Joseon people who relocated to Japan lived in the urban areas as the lowest class. However, the dietary pattern of the Koreans in Japan were not as bad as those remained in the peninsular despite being in the lowest class. Most of the Koreans in Japan ate rice as their staple. The fact that the poor laborers in Japan could still consume rice while most people in Joseon could not portrays the stark reality of Joseon under the control of the Imperial Japan.

      • KCI등재

        해방 전후 전쟁기(1937~1953년) 사무직(White-collar) 여성의 형성과 사회진출, 젠더 인식 - 조선식산은행 여자행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송순 ( Lee Song So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2 No.-

        본 연구는 일제의 침략전쟁과 식민지로부터의 해방, 분단과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전쟁기(1937~1953년) 한국의 새로운 여성 주체 중 사무직 여성의 대표적 사례인 조선식산은행 여자행원을 중심으로 이들의 사회적 진출과 존재 양상, 젠더 인식을 살펴보았다. 조선식산은행 여자직원은 고원으로 채용되기 시작했고,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본인 남자행원의 징병〔입영〕으로 인한 인력 부족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여자직원의 대폭 증원이 이루어졌다. 1943년 6월 1일 ‘여자행원’ 직급이 새로 만들어졌고, 여자행원의 신규 채용도 늘어났다. 여자행원 직급은 해방 이후에도 존속되다가 1991년에 폐지되었다. ‘여자’라는 생물학적 성차(sex)가 사회적 성적 차별(gender)의 기제로 자리잡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식산은행 여자행원은 중등학력 이상의 고학력 ‘엘리트’ 여성으로 대부분 재조 일본인 여성이었다. 이들은 식산은행이라는 사회와 안락한 가정의 울타리 안에서 전쟁·계급·민족·젠더의 모순구조를 잠시 접어두고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었다. 해방 이후 식산은행은 과도기적 상황에 놓여 있었고 1949년까지는 본·지점의 필요에 따라 임의채용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여자행원 채용이 증가했다. 일제말 전시체제기 여성의 사회진출이 확대된 분위기는 해방 후에도 연장되었고, 인플레이션과 산업의 단절로 경제적 상황이 악화되면서 취업요건을 갖춘 여성들은 취업전선에 나서야 했다. 독립국가 건설과정에서 ‘보통선거권’ 문제, 임금 불평등 문제, 봉건적 가족제도 등을 둘러싼 논의에서 여성의 각성과 능력 향상을 전제로 남녀평등권의 실현을 주장하는 소극적 인식을 가졌고, 임금 불평등에서의 남녀 차별을 인정했지만 봉건적인 가족·사회질서에 대해서는 저항의식을 가졌다. 한국전쟁기 식산은행의 여자행원수는 다시 증가했다. 전쟁으로 남성의 퇴직이 많아지면서 그를 대신한 것은 여성이었다. 전쟁기 식산은행의 여자행원들은 전쟁 일선에서 싸우는 장병을 위해 매진하자는 결의를 보였지만 그들은 언제든지 다시 가정으로 복귀하여 현모양처의 역할을 다하고자 했다. 식산은행 여자행원의 위상과 존재 양태는 한국 근대 여성의 성장과 한계를 보여주는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일본제국주의가 만들어낸 전시하의 여성상 ‘모성과 열등노동력’의 역할을 수용하였다.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 시기에는 유능한 보조인력으로서 ‘현모양처’라는 목표를 수용하면서 사회적 차별을 무마하고 합리화했다. Emergence and Social Advancement of White-Collar Women and Gender Perception in Pre- and Post-Independence wartime period(1937~1945)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social advancement and patterns of female clerks at Joseon Shiksan Bank, who were the typical cases of white-collar women in the wartime period (1937-1953) that consists of the Japanese imperial invasions, independence, division and the Korean War. Joseon Shiksan Bank began employing women as Gowon. After the Second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Bank employed more women to make up for the vacancies created by the Japanese man who had to leave for military conscription. In June 1st of 1943, the Bank created a position called "female clerk", a lower-level position differentiated from the regular clerk, and subsequently hired more women as female clerks. The "female clerk" position was abolished in 1991. The biological difference of women became the base of the gender discrimination within the society. Most of the female clerks at Shiksan Bank during the colonial era were "elite" Japanese women residing in Joseon, who have completed a minimum of middle school education. Shiksan Bank hired a greater number of female clerks after the independence.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became a trend in the late colonial war time era, and more women had to secure employment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The female clerks of the Shiksan Bank argued for gender equalit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omen build their capacities and enlighten themselves in the context of the newly established nation. They conformed to the wage gap between the male and female employees but resisted feudalistic familial and societal orders. The number of female clerks increased greatly due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owever, the female clerks were determined to return to domesticity once the war is over and fulfill their role as wise and diligent housemakers. The status of Shiksan Bank's female clerks and the varieties amongst them embody the advancement of modern Korean women and the limits they had faced.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의 식량관리제도와 해방 후 양곡관리제도의 비교 : 식량관리법령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송순(Lee Song-soon)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2

        본 연구는 식민지기 미곡 유통관리에 대한 법령과 8 · 15 이후 미군정 및 정부수립기 양곡관리법령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일본은 1921년 미곡법 제정을 시작으로 미곡 유통관련 법령과 생산조절을 위한 각종 법령을 마련하였다. 이는 1930년대 공황기를 거쳐 전시체제에 들어 국가에 의한 식량 관리라는 시스템으로 자리잡았고, 식민지 조선에서도 식량에 대한 전면적 관리가 이루어졌다. 일제 식민지기의 식량관리시스템은 해방 이후 남한의 양곡관리정책으로 이어졌다. 미군정은 일시적으로 식량의 자유시장 유통정책을 실시하였으나 곧 실패하고 미곡 및 하곡(맥류) 수집정책을 강력히 추진하였으며, 1948년 이승만 정권 수립 이후에도 양곡에 대한 국가관리 정책은 지속되었다. 농업이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식량에 대해서는 국가와 사회의 개입이 요구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 개입의 방향과 목표가 무엇인가에 따라 생산자인 농민과 소비 간에 이해관계는 다를 수 있다. 일제시기 식민지 조선의 식량관리는 식민본국으로의 식량 이출과 군수 조달에 포커스가 맞춰졌다. 이에 조선인들은 자가식량 확보도 불가능한 ‘적자공출’에 시달려야 했다. 이를 위해 일제는 강력한 식민행정 권력과 경찰력을 동원했다. 따라서 국가의 식량관리시스템인 공출은 식민수탈의 대명사로 각인되었다. 하지만 해방이 되었어도 식량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되지 못했다. 생산량과 인구 증가 등의 자연적 불평등문제도 있었지만, 시장은 결코 도덕적이지 않았다. 이에 식량은 관리통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고, 정책의 시행 주체인 국가는 여전히 농민의 이해관계를 우선시 하지 않았다.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governmental food supply control in the colonial period and the grain control laws of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fter 8.15. After going through economic breakdown in 1930s,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food supply control system during the wartime. The system was also applied to Chosun, Japanese colony of the time. The food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colonial period led to grain supply control in South Korea after 8.15.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strongly promoted collection of rice and summer grain, and the governmental control over grains continued during Rhee Syng-man Government. The main purpose of the food supply control system of the colonial period was for Japan to exploit foods from Chosun, providing their own citizens with food. In order to persue their system, the Japanese government called out Japanese police, which made harder for people in Chosun to even provide their own food. Consequently, delivery of rice to the government became a well-knows case of colonial exploitation. However, there always were issues on food supply, even in non-colonized countries. Yield of grains and increase of population were definitely a part of the problem, but equally importantly, food market system was never fair for both consumers and suppliers. As a result some people started to believe food market system should be under the control of government and government never stood for farmers.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산미증식계획 실행과 농업기술관료

        이송순 ( Lee Song-soo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4 No.-

        이 글에서는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시행된 산미증식계획의 기획자이자 실행 담당자였던 조선총독부 농업기술관료의 구성과 활동, 지방단위의 실무관료였던 지방비관리의 신설 및 활동을 살펴보았다. 조선총독부의 농업부서는 식민농정의 컨트롤타워로서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을 시행하기 위해 관련 부서의 확대가 있었다. 농무과 단일체제에서 ‘식산국 농무과-토지개량과’의 이원 체제, 나아가 ‘토지개량부’로의 분리 승격이 이루어졌다. 조선총독부 식산국 농무과와 토지개량 관련 부서 고등기술관리는 도쿄제대 농학부 출신으로 1910년대부터 연속적으로 조선에 부임해 있거나 새로 부임하더라도 대부분 10년 이상 조선에 머무는 정착형 관료가 많았다. 이들은 조선의 농업·식량문제의 최고 전문가로 기능하면서 1937년 이후 전시체제기까지 조선의 전시 식량증산과 통제 관리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1920년대 식민농정을 수행할 관리의 증원이 이루어졌다. 「조선도지방비령」-「조선지방대우직원령」에 근거하여 신설된 지방비 ‘대우관리’는 사회인프라 및 산업정책을 실행하는 기술관리 위주였다. 지방대우직원은 농업증산정책을 담당했던 산업기수가 가장 다수였다. 증원규모는 道의 경우 3배 정도 증가했고, 군에는 새로 기술관리(技手)가 배치되었다. 그러나 기술관료는 대부분 일본인이었고, 조선인은 군당 1~3인 정도였다. 1920년대는 조선 농민들의 식민지배와 식민지지주제의 모순을 체험하고 이에 대해 저항이 일어나자 총독부는 무단 행정으로는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일정 정도의 당근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세련된’ 관리가 농민과 직접 대면하며 정책을 실현하는 것이 지배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관리의 증원은 토지조사사업 이후 지세의 증징에 따른 지방재정 확충이라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식민지 내부의 자원을 동원하여 보다 세련되고 효율적인 식민정책을 실행하려는 방안이었다. 지방 기술관리의 증원과 이들에 의한 식민농정 실행은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가능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organized its agricultural technocrats, who oversaw 'Campaign to increase Rice Production' executed in the Colony Joseon during the 1920s, and the details of their tasks and achievements. Also, the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the supervisors at local level and paid with local tax revenue, will be discussed. The Bureau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at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was the control tower of the colony's agricultural industry, and the department in charge of 'Campaign to increase Rice Production' expanded in the 1920s. The department thus became 'SiksanGook(殖産局) NongmuGwa(農務課)-TojigaeryangGwa(土地改良課) and eventually was promoted and became "TojigaeryangBu(土地改良部) in 1926. The advanced-level technocrats of this department were alumni of Tokyo Imperial University's College of Agriculture. In most cases, these technocrats had been working in Joseon since the 1910s, and even if they were newly appointed, they remained in Joseon for more than ten years. As the most renowned expert in Joseon agriculture and food industry, these technocrats played a key role in controlling the rice production and executing the increase campaign even after 1937. The number of agricultural technocrats increased in the 1920s. Most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paid with local tax revenue, were mostly technocrats rather than administrative management officials. For the 道(Do) government, the number of these technocrat officials increased by tricefold, and for Gun government, a new positioned, titled Gisu(技手) was installed. Most of these technocrats were Japanese, and there were only one or three officials of the Joseon origin for each Gun(郡). As the Joseon people's resistance to colonial control increased in the 1920s, the Government-General had to strategically soften up their control. To make their governance more effective, the technocrats with professional expertise and skills were assigned to deal directly with farmers and implement policies. Real-estate tax was increased, so that the local government can obtain greater tax revenue to hire more of these officials. This was an effort to more effectively govern the colony by employing the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colony in a more sophisticated manner.

      • KCI등재

        1920~30년대 전반기 식민지 조선의 농가경제 분석

        이송순(Lee, Song Soon)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9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1920년대와 1930년대 전반기 농가경제를 분석한 것이다.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으로 토지소유권 확정과 지세제도를 정비한 후, 1920년대는 미곡 증산과 상품화를 추진하는 산미증식계획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식민지지주제가 강화되고 농촌 내부의 경제적 불평등, 즉 양극화가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1920년대 농가경제는 토지소유 여부와 경영규모의 크기와 분명한 상관성을 가졌다. 토지의 자본화가 확고해졌고, 그것은 부와 잉여의 원천이 되었다. 고미가 시기인 1920년대 전반기 지주경제 수지는 흑자규모가 커졌다. 반면 1정보 이하의 토지소유자나 무토지 소작농은 거의 적자상태를 면치 못했다. 이러한 계급간의 불평등과 양극화는 지역적으로도 차이를 보였다. 즉 논농사 중심의 남부지역이 북부지역보다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1920년대 후반부터 일본제국주의권의 미곡 수급에서 공급과잉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세계대공황과 이어진 농업공황으로 미곡 증산에 집중했던 식민지 조선이 직격탄을 맞게 되었다. 특히 경제적 기반이 허약했던 소토지 내지 무토지 소농민들의 몰락은 더욱 확대, 급속화되었다. 그나마 미곡상품화에 덜 노출되었던 밭농사 지역은 상대적으로 농가경제가 안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경제 파탄을 가져온 공황 극복과정에서 일본제국주의는 군국주의적 파시즘체제를 구축했고, 이는 침략전쟁 도발로 이어지면서 일본제국주의의 붕괴로 귀결되었다. This study compares farm household economy of the 1920s and the early 1930s in Jose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Cadastral survey project of the 1910s organized land ownership and land taxation system, and the subsequent rice production increase plan of the 1920s promoted increase and commercialization of produce. These projects and plans led to fortification of colonial landlord system, and economic inequality?polarization?rose within farm towns. Farm household economy of the 1920s had a definite correlation with land ownership and the scale of farming business. The trend of land capitalization became more prominent, and this trend became the source of wealth and surplus. However, farmers with land of less than 3,000 pyeong and farmers without land suffered from deficit. The extent of such inequality and polarization between classes differed from region to region. Southern parts of the peninsula, which relied more heavily on rice farming, experienced a greater polarization than the northern region. Starting in the late 1920s, the territories under Japanese imperial rule began to experience surplus in rice production, and the economy of colonial Joseon, which focused on increasing the rice production after agricultural depression that followed the Great Depression, underwent a severe hardship. Especially, farmers with small land or no land, who had a weaker economic base, failed more quickly and at a greater scale. Dry-field farming regions, which fortunately were exposed less to produce commercialization, saw a more stable farm household economy. Japanese imperialism transformed into militarism-fascism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Great Depression that brought economic disaster and embarked on war of aggression, which eventually resulted in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