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영색시(詠色詩)에 나타난 색채관과 특징

        이선이 ( Syun-yi Lee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61

        고려시대의 시격과 체는 당시 문인들의 시론 가운데 하나였으며, 이규보의 시는 화려하게 운을 활용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목에 있는 색명으로는 시문(詩文)에서 색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색명인청(靑)자로 운을 사용하여, 제목과 함께 백 - 청, 흑 - 청, 황 - 청, 홍 - 청, 청 - 청의 대비효과와 방향성을 가지게 하였다. 평면에서 공간구조로 전한시킨 것이 영색시의 구조적 특징이다. 황홍청을 노래한 시의 공통점은 동식물이 자라고 뛰노는 자연에서 색을 찾으려고 하고 있다. 영홍시에는 적은 청과 대응하는 것은 뜻에 맞지 않는다고 하여 홍을 쓴 이유를 밝혔다. 기존의 사유와는 다른 면이며, 빛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규보의 영색시는 전통 오방색 청·황·적·백·흑이 아닌 청·황·적·백·흑의 오색을 쓴다. 홍은 빛을 상징하며, 적은 청과 무늬를 이룰때 쓰인다. 때문에 홍과 적은 서로 의미가 다르고 색의 운용방식도 달라진다. 고려청자의 색은 청색 또는 비색이 아니라, 녹색으로 인식되었다. 옥석과 같은 돌의 색을 현재는 청색계열로 분류하지만, 고려는 백색계열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청과 녹을 구분할 수 있었던 것은 청자가 생활 깊숙이 스며들어 있던 결과이다. 이것이 영색시를 통해서 나타난 이규보의 색채관 특징이라 할 수 있다. Forme poetique and adonien in the Goryeo Dynasty were among the Poetics, and Lee Kyu-bo's poems have structural features that utilize their luck with splendor. The color name in the title is not used as the color name in the verse. Using rhyme as the color name "靑(blue)", the contrast effect and direction of 白 (white)-靑(blue), 黑(black)-靑(blue), 黃(yellow)-靑(blue), 紅(magenta)-靑(blue), and 靑(blue)-靑(blue) were given along with the title. Translated from a plain into a spatial structure is a structural feature of Colored poetry. The common thing about poems that sing about 黃(yellow)-紅(magenta)-靑 (blue), and 靑(blue) is that animals and plants are trying to find color in nature, where they grow and run. Magenta(紅) poetry revealed why he used magenta because he said it was not right to react to red. It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reason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ight. Lee Kyu-bo's poetry sang the five color(blue(靑), yellow(黃), magenta(紅, or orange), white(白) and black(黑)) in five colors(blue, yellow, red, white and black). Hong(紅) symbolizes light, and is used to make blue patterns. Because of this, the magenta(紅) and the blue(靑) have different meanings and different ways of operating colors. The color of Goryeo celadon not recognized as blue or celadon green(翡色), but It was recognized as green(綠). Although the colors of stones such as jade are now classified as blue, Goryeo tended to recognize them as white. It was in the daily life of the celadon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blue and green was made. This can be said to be the colorimetric characteristics of Lee Gyu-bo through a poem sung in colors.

      • KCI등재

        한국전통색의 범위와 正間色 구조에 관한 연구

        이선이(Syun-yi Lee),박연선(Yon-sun Park)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한국전통색연구는 오방색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청황적백흑 5가지 오방색과 사이에 만들어지는 간색은 유교의 예서(禮書)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국문화 중심에는 1700년의 불교가 있다. 그러나 불교사상과 문화로 전통색을 바라보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제기하며 오방과 간색의 개념을 설정할 수 있는 관계 문헌을 분석하였다. 한국에서 색을 논하는 《이수신편》과 《규합총서》, 중국 《구고록예설》의 간색설을 비교하였다. 《이수신편》에는 약 80여 가지 색명이 있으며, 병치혼합의 인식을 보인다. 《규합총서》는 상생간색의 색명을 언급하고 있다. 이 색명은 한국문헌에서만 등장하지만, 한글로된 자료를 한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그대로 인용하는 2차 연구에서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한다. 相次의 개념으로 색이 공간적 확장을 한다. 《구고록예설》에서는 靑黑黃赤사행(四行)으로 모든 간색을 상생의 색으로 화합시킨다. 분석결과에 따라 오방, 상극간색, 상생간색 등의 개념을 적용하여, ‘한국전통색의 오방과 간색 구조’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향후 전통문화를 이어나갈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Researching subjects of the traditional color of Korea are mainly from Obangsak, literally colors from five directions. Obangsak ? blue, yellow, red, white, and black- along with the compatible neutral color and the complementary neutral color can be illustrated from the Classic of Rites in Confucianism. At the center of Korean culture lies 1700 years of Buddhist history. We do not see our traditional color from the perspectives of thought of Buddhism and culture. Addressing these premises, we have analyzed related literatures to build the concept of the Obang and the neutral color. We have also compared the theory of neutral color with reference to Korean texts such as 《ISUSINPEUN》 《GUHAPCHONGSE》 and a Chinese text, 《GUGOLOGYESEUL》. Around 80 categories of color were introduced and the awareness of juxtapositional mixing was found in the text of 《ISUSINPEUN》. The naming of the compatible neutral color was mentioned in the text of 《GUHAPCHONGSE》. These names of color were found in the Korean literature only and inevitable translating fallacies arise from the process of translating Korean into Chinese characters. Any secondary researches citing the translational fallacies were not free from the same error. The concept of the ideal spatial incorporation makes the spatial expansion of the color possible. Seen from the text 《GUGOLOGYESEUL》, the four elements - blue, black, yellow, and red ? harmonize every neutral color to compatible colors. Along this line of thought, we present the Obang and the structure of neutral color of Korean traditional color by employing the concepts of Obang, complementary neutral color and compatible neutral color, which are mainly from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concerned. We also suggest some guidance on the prospective researches regarding traditional culture and its trans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