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팜맵 기반 농업농촌시스템 정보전략계획

        이병학 ( Byunghark Lee ),김종봉 ( Jongbong Kim ),정남수 ( Nam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현대사회는 정보화가 진행되며 모든 산업이 정보화산업으로 진입하였다고 불 수 있다. 각 산업별 정보화를 넘어 현재 정보화는 선택이 아닌 사회 및 산업의 전반에 필수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농업부분에서도 경작여건과 소비자의 관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의사결정이 가능한 정보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농업정보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변화되며 이에 맞춰 농업정보체계화의 필요성은 시장개방에 따라 대두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농업분야에서 2001년부터 정보화계획 사업을 시작하여 2006년에는 2차정보화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농촌지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농업농촌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시스템이 구축 운영 중이다. 농림부는 농산어촌지역개발 공간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개발 현황정보와 각종 우수마을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은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경작지 특성에 맞는 농작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지관리시스템과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농지정보, 농업생산기반시설, 재난재해, 수자원 등의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있다. 농경지 전자지도(이하 팜맵)는 고해상의 위성 항공 영상을 활용하여 농경지에 대한 면적 및 속성 정보(논, 밭, 과수원, 시설 등)를 구축한 것으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구축하고 운영중이다. 팜맵 서비스는 농경지 전자지도뿐만 아니라 농업기상정보, 병해충 발생 정보, 토양분석 정보 등 관련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팜맵을 중심으로 관련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실경작 여부, 작물 식재 면적 및 생산량 추정, 각종 투입자료의 평가 등 농업경영과 농촌정책에 혁신적인 변화가 예상되며, 특히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농업환경자원의 관리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정보전략계획(Information Strategy Planning)이란 조직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의 인식과 지향해야 할 목표를 조명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고찰하여 현행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밝히고, 팜맵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의사결정구조를 밝히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보전략계획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팜맵 기반 농업농촌시스템 정보전략계획

        이병학 ( Byunghark Lee ),김종봉 ( Jongbong Kim ),정남수 ( Namsu Ju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현대사회는 정보화가 진행되며 모든 산업이 정보화산업으로 진입하였다고 불 수 있다. 각 산업별 정보화를 넘어 현재 정보화는 선택이 아닌 사회 및 산업의 전반에 필수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농업부분에서도 경작여건과 소비자의 관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의사결정이 가능한 정보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농업정보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변화되며 이에 맞춰 농업정보체계화의 필요성은 시장개방에 따라 대두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농업분야에서 2001년부터 정보화계획 사업을 시작하여 2006년에는 2차정보화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농촌지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농업농촌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시스템이 구축 운영 중이다. 농림부는 농산어촌지역개발 공간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개발 현황정보와 각종 우수마을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은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경작지 특성에 맞는 농작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농지관리시스템과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농지정보, 농업생산기반시설, 재난재해, 수자원 등의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있다. 농경지 전자지도(이하 팜맵)는 고해상의 위성 항공 영상을 활용하여 농경지에 대한 면적 및 속성 정보(논, 밭, 과수원, 시설 등)를 구축한 것으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구축하고 운영중이다. 팜맵 서비스는 농경지 전자지도뿐만 아니라 농업기상정보, 병해충 발생 정보, 토양분석 정보 등 관련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팜맵을 중심으로 관련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실경작 여부, 작물 식재 면적 및 생산량 추정, 각종 투입자료의 평가 등 농업경영과 농촌정책에 혁신적인 변화가 예상되며, 특히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농업환경자원의 관리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정보전략계획(Information Strategy Planning)이란 조직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의 인식과 지향해야 할 목표를 조명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고찰하여 현행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밝히고, 팜맵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의사결정구조를 밝히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보전략계획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간척지 농지 범용화를 위한 지하배수 유공관 암거공법 매뉴얼 개발

        이병학 ( Byunghark Lee ),이보현 ( Bohyun Lee ),신범수 ( Bumsoo Shin ),구재혁 ( Jaehyuk Koo ),박영준 ( Youngjun Park ),김현태 ( Hyuntae Kim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간척농지의 경우 장마철 토양수분이 높고 지표잔류수가 지속되며 가뭄 시 재염화로 인해 농작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농지 논범용화 단지에서 발생하는 기상재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비용(무굴착식), 고효율(배수효율 증가) 지하암거공법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매뉴얼을 표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간척농지 논범용화에 적합한 저비용, 고효율 지하암거 공법의 실험변수를 결정하고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및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간척농지 논범용화 지하암거공법의 최적화를 달성하였다. 또한 간척농지 논범용화 지하암거 공법에 적용되는 유공관 암거의 품질시험을 통하여 간척지 농지 적용시 요구되는 품질기준을 제시하였다. 설계, 시공 매뉴얼은 모관수 저류 시트형 암거공법, 지표잔류수 지하흡수공 지하배수 암거공법, 고효율 심토파쇄 공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현장 실증시험(Test-Bed)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간척농지 논범용화 공법에 적합한 유공관 암거의 품질기준은 한국도로공사, 한국화학시험연구원 및 국내·외 농지 범용화 기술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보고서를 참고로 간척농지의 환경특성과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정립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간척농지 논법용화 공법(모관수 저류 시트형 암거공법, 지표잔류수 지하흡수공 지하배수 암거공법, 고효율 심토파쇄 공법)의 품질, 설계 및 시공 매뉴얼은 관련된 국가설계기준(KDS 67 45 40 등)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 통합대기환경지수와 지역내총생산에 의한 충청남도 지역매력도 분석

        이병학 ( Byunghark Lee ),김법수 ( Beopsu Kim ),박승기 ( Namsu Jung ),정남수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적 특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지역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결정한 국가수준의 지역개발 매력도를 충청남도 시·군 수준에 적용하고 유동인구 자료의 인구변화로 결과를 검증했다. 2020년 지역개발 매력도를 측정하기 위해 충청남도의 통합대기환경지수와 1인당 지역총생산을 수집했고 유동인구 자료의 인구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과거 5년간의 인구이동 자료를 사용했다. 지역개발 매력도는 1인당 GDP 자료에 의존하여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가 컸으며, 최근 5년간의 충청남도 시·군별 인구변화 증감률은 2021년 이후 크게 변화하여 그룹별 특성을 4개 그룹으로 묶었고, 지역의 환경과 경제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새로운 분석과 대상지 선정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단기종합계획, 장기종합계획, 개발계획 등 공간계획에서도 정책적 제언을 할 수 있습니다. 1인당 국내총생산이 상대적으로 큰 것에 의해 지역개발 매력도가 결정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이며 지역의 특성과 사회문제, 환경유해물질 배출 등을 면밀히 조사하여 지역개발 매력도를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