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율적, 통제적 동기와 학업태도 관계에서 학교환경의 조절효과:학습시설만족도, 교사전문성, 수업분위기를 중심으로

        은주희 ( Eun Ju Hui ),최진실 ( Choi Jin Si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태도의 관계에서 학교환경 변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습동기는 자율적 동기와 통제적 동기로 구분하였고, 이와 상호작용하는 학교환경 변인으로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사전문성, 수업분위기, 학습시설만족도를 상정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고용패널II(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율적 동기 및 통제적 동기는 학업태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절효과 검증결과에서는 자율적 동기와 학업태도의 관계에 세 가지 변인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설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전문성이 높을수록, 수업분위기가 좋을수록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가 학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통제적 동기와 학업태도 관계에서 조절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 무엇보다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학습환경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특히 교수학습과정에서 교사전문성과 수업분위기를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중심의 물리적 환경 설계와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 The motivation for learning was divided into 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s, and the factors for the school environment that interacted with them were teacher professionalism, class atmosphere, and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facilities. To do thi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KEEP) data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s a result, autonomous 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ttitudes. The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s showed that all variabl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facilities, the higher the class atmosphere and teacher professionalism,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ed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s, the moderating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results. It shows that should consider the need to establish a learning environment that enhances learners' autonomous motiv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class atmosphere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it suggested the need for a learner-centered physical environment design and operation.

      • KCI등재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 탐색 : G 광역자치단체의 평생학습마을학교 운영위원을 중심으로

        은주희(Eun Ju Hui),정홍인(Jeong Hong In),이 성(Lee S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G광역자치단체 내 평생학습마을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주민평생학습활동가는 자신이 거주하는 마을에서 평생교육사의 역할을 자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지역공동체 내 평생학습문화를 확산하기 위하여 적극적이며 주도적인 활동을 펼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의 참여동기를 탐색하기 위하여 현재 평생학습마을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G광역자치단체 내 평생학습마을학교 위원들을 대상으로 개인별 심층인터뷰와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의 참여동기는 거주지역에 대한 문제인식, 마을리더의 필요성 인식, 마을이 가진 문제해결에 대한 의지표출, 주변의 기대와 요구충족이 참여동기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평생학습을 통한 주민들의 변화, 학습마을 공동체의식 강화, 마을의 가치를 통한 내적 동기 강화가 참여의 지속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평생학습마을을 하나의 조직으로 이해하고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를 도출하였다는 점과 그것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떻게 전략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지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in G-local government.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are engaged in active and pioneering activities to promote the lifelong learning culture within the communities in which they live by choosing to perform the lifelong educator’s role. To investigate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terviews with community member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schools located in G-local government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actors of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include recognition of the local problem, awareness of the need for community leaders, and desire to meet the expectation of community and residents.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ir continuous motivation for activity includ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senti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cohesion among c ommunity members, and strength of participation’s intrinsic motivation.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were derived, and strategies for how local authorities can support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were proposed.

      • KCI등재

        평생교육환경에서 인지적흥미와 학습자역할몰입의 조절효과

        임규연(Kyu Yon LIM),은주희(Ju Hui EUN),박민정(Min Jeong PARK)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요인과 학습지속의지 간 관계를 인지적흥미와 학습자역 할몰입이 조절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지속의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환경 맥락에서의 학습자 특성과 학습 상황 및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환경의 교수-학습상황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인지적흥미, 그리고 다양한 역할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보여주는 요인으로서 학습자역할몰입에 주목하였다. 이를위해 평생교육기관의 학습자 10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인지적흥미와 학습자역할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적흥미는 자기결정성 요인 중 유능감과 학습지 속의지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지적흥미와 유능감은 대립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인지적흥미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능감이 학습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약하게 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역할몰입은 자기결정성 요인 중 유능감, 관계성과 학습지속의지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대립적인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의 인지적흥미 및 학습자역할몰입이 학습지속의지에 의미있는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자기결정성 요인이 학습지속의지를 예측하더라도 인지적흥미 및 학습자역할몰입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그 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평생교육 학습자가 인지적흥미를 느낄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학습자로서 최선을 다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구축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의 인지적흥미는 새로움, 도전, 탐구의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interest and learner role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etermination factors(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in a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were 101 learners enrolling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certificates for specific job skills, and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earner's cognitive interes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with antagonistic interaction effect.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cognitive interest, the les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mpetence on learning persistence. Also, learner role commit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related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 had also antagonistic interaction effect. It shows that the higher the learner role commitment, the les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mpetence on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and instructor should consider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 strategies which can enhance cognitive interest(such as novelty, challenge, exploration intention). The results also imply that strategies to facilitate learners to perceive the identities as learners are required.

      • KCI등재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임고운 ( Im Kowoon ),은주희 ( Eun Ju-hu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2

        청소년부모란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모두 만 24세 이하로, 이들은 아동이 있는 가구이면서 아직 부모가 미성년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취약한 대상이다. 이 연구는 삶에 필수적인 주거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부모가 주거지원을 받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주거지원 전후로 인식하는 삶의 변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민간단체에서 연계한 주거지원제도와 서비스를 경험한 청소년부모 10가구(부부 2가구, 미혼모 8가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론에 따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총 3개의 영역, 11개의 범주, 그리고 4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주거지원 이전에 주거환경, 경제적,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정서적 이유에서 불안정하게 정처 없이 떠도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모바일 검색이나 지인 활용, 행정기관 문의 등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를 스스로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민간단체의 도움으로 주거지원을 받아 안전하고 주거환경에서 살게 되었다. 주거지원 이후 정서적ㆍ사회적 변화, 경제적 상황의 변화도 경험하며 장래를 계획하고 도전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지만, 이들의 도전과 시도를 가로막는 장애와 한계도 여전히 있었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한부모 또는 미혼모 복지시설의 부부 입소, 공공임대주택 보급 확대와 주거보증금 대출지원 기준 완화, 청소년부모 대상의 특수성에 대한 행정기관 담당자의 이해 역량 강화, 기타 양육 및 교육 지원 간의 서비스 연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young mothers and fathers in the blind spot of residential welfar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housing support. Plus, it aims to explore what life change they perceive before and after housing support are.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consisting of 2 couples and 8 unmarried mothers, who have used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the private organizatio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olog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alyzed data were classified into 3 domains, 11 categories, and 42 subcategories. Results showed that young parents had not stably settled down becaus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 situation, social relations, and emotional reasons before the use of housing support service. Also, they looked for stable housing by themselves through mobile search use, acquaintances, and information gained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As a result of these behaviors,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a private organization enabled them to live in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after the use of housing support, they had changes in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s, and also, a plan for the future.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till obstacles and limitations on their challenge and attempt.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ed that welfare facilities for a single parent or an unmarried mother would allow couples to use them,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ould be expanded, the criteria for loan support on housing deposit would be lowered, the capability that allows public official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adolescent parents would be strengthened, and parenting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al support service would be lin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