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막만의 저서환경과 다모류군집 특성

        윤상필,정래홍,김연정,김성수,이재성,박종수,이원찬,최우정,Yoon, Sang-Pil,Jung, Rae-Hong,Kim, Youn-Jung,Kim, Seong-Soo,Lee, Jae-Seong,Park, Jong-Soo,Lee, Won-Chan,Choi, Woo-Jung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4

        본 연구는 정화되지 않은 생활하수 유입과 활발한 어패류 해상 양식으로 유기물 오염이 국지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가막만에서 다모류군집의 구조적 특성과 서식처 교란 정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1999년 9월과 2000년 2월에 실시되었고 퇴적물의 입도, 유기물 함량, 산휘발성황화물, 용존산소 등을 포함한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1999년 하계 조사에서 북서내만역과 국동항 인근정점의 표층퇴적물내 유기물 함량은 만의 중부나 입구역에 비해 최대 3배 가까이 높았다. 특히 해수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북서내만역의 저서환경은 빈산소 수괴 형성과 황화물의 고농도 발생에 의해 극도로 악화된 상태였다. 2000년 동계 조사에서 북서내만역의 용존산소농도는 정상적으로 회복된 상태였지만 표층퇴적물 내에는 여전히 많은 양의 유기물과 황화물이 존재하였다. 하계에 조사된 28개 정점 가운데 북서내만역의 5개 정점에서는 생물이 전혀 출현하지 않았으며 이를 제외한 23개 정점에서 총 119종의 다모류가 평균 900 $ind./m^2$의 밀도로 출현하였다. 전반적으로 종수는 만의 입구와 중앙부에서 높았고 개체 밀도는 유기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동항 인근과 만 입구의 가두리 양식장 근처에서 높았다. 하계 밀도 분포를 좌우한 우점종은 잠재적 유기물 오염 지표종인 Aphelochaeta monilaris와 Lumbrineris longifolia 등이었다. 동계에 조사된 북서내만역과 만 중부의 12개 정점에서는 총 81종의 다모류가 채집되었고 평균 개체 밀도는 2,802 $ind./m^2$로 하계에 비해 다소 증가한 양상이었다. 하계에 무생물구역이었던 정점들은 선소에 인접한 정점을 중심으로 Capitella capitat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와 Dipolydora socialis 등에 의해 우점되고 있었으며 만의 중상부와 중앙부에서는 Euchone alicaudata와 Praxillella affinis 등이 우점하였다. 하계와 동계 다모류군집 각각에 대한 다차원척도법(MDS) 분석 결과, 두 계절 모두 채집 정점의 지형학적 위치에 따라 그룹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그룹의 형성은 퇴적물 특성과 같은 자연적 요소보다는 빈산소수괴의 발생과 소멸, 유기물 함량의 상대적 농도 분포와 같은 교란적 요소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서 인위적 교란의 정도가 가막만 전체에 분포하는 다모류군집의 구조적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in Gamak Bay where excessive organic matters from untreated sewage effluents and fish and shellfish farming activities have been accumulated in certain regions. Such environmental variables as sediment composition, organic content, acid volatile sulfide and dissolved oxygen content etc. were measured and polychaete specimens were taken in September 1999 and February 2000. In September 1999, organic contents were up to three times higher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bay and the area closed to Gukdong harbor than in the rest of the bay. In particular, benthic environment of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bay was extremely deteriorated by the occurrence of hypoxia and highly concentrated sulfide. Of 28 stations investigated in summer, 5 stations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were azoic. In the rest of the stations, a total of 119 polychaete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900 $ind./m^2$. While species richness was higher in the entrance and central part of the bay where water exchanges with open sea were relatively active, density was higher in the moderately enriched stations neighbouring Gukdong harbor and fish farms where such potential indicators of organic pollution as Aphelochaeta monilaris, Lumbrineris longifolia were largely dominant. In February 2000, a total of 81 polychaete species appeared with a mean density of 2,802 $ind./m^2$ from 12 stations sampled in winter. Azoic areas were recolonized by Capitella capitat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and Dipolydora socialis which showed maximum density in the innermost st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the stations were dominated by Euchone alicaudata and Praxillella affinis.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ions sampled in summer and winter on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plots reflected the position of each stations within the bay in which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in organic content, sulfide concentration and oxygen content rather than in sediment composition. Therefore, heterogeneities in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in Gamak Bay were primari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the disturbance depending on the position within the bay.

      • KCI등재

        굴 양식장 밀집해역인 거제한산만의 저서동물군집 구조와 저서환경의 시.공간적 변동

        윤상필,정래홍,김연정,홍석진,오현택,이원찬,Yoon, Sang-Pil,Jung, Rae-Hong,Kim, Youn-Jung,Hong, Sok-Jin,Oh, Hyun-Taik,Lee, Won-Chan 한국해양학회 2009 바다 Vol.14 No.4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굴 양식지인 거제한산만에서 저서동물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 및 구조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를 위해 굴 양식지와 비양식지를 포함하는 총 15개 정점을 선정하였으며 2008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표층퇴적물은 평균입도 $9.0\;{\Phi}$ 전후의 극세립실트로 구성되었으며 총유기탄소는 평균 1.9%이었다. 용존산소농도의 평균은 8.1 mg/L이었으며 사계절 중 가장 낮은 값은 보인 8월에는 해역 수질환경기준 II등급에 해당하는 농도가 관찰되었다. 저서동물군집의 총 종수는 351종, 평균 개체밀도는 3,675 개체/$m^2$ 이었으며 두 가지 변수에서 모두 다모류가 가장 우세한 동물군이었다. 출현종수와 개체밀도는 시 공간적으로 크게 변하였으며 계절적으로는 5월에 그리고 공간적으로 내만역 보다는 수로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주요 우점종은 Lumbrineris longifolia(21.3%), Aphelochaeta monilaris(17.8%) 그리고 Ericthonius pugnax(6.1%) 등으로 모두 유기물이 풍부한 해역을 대표하는 종들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전체군집은 내만역과 수로역으로 구분되었다. 전체군집의 시 공간적 변화와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요인은 총유기탄소와 산휘발성황화물이었다. 저서동물군집 구조와 주요환경요인의 특성은 거제한산만에서 유기물 오염의 징후가 있음을 의심하게 하였으며 그러한 현상은 특히 내만역의 굴 양식지에서 뚜렷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patio-temporal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eoje-Hansa Bay, which is the greatest oyster producing site in Korea. Field survey for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os was seasonally carried out at 15 stations covering oyster farming sites and non-farming sites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8. The grain size of surface sediments was dominated by very fine silt with the mean phi of about $9\;{\Phi}$ and TOC was 1.9% on average. Mean dissolved oxygen content was 8.1 mg/L and lowest in August corresponding to the 2nd degree in seawater quality criteria. Total species number was 351 and mean density was $3,675\;ind./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polychaete worms. Spatio-temporal variation in above two biological variables was great with higher values seasonally in spring and spatially in channels rather than inner bay. Dominant species were Lumbrineris longifolia (21.3%), Aphelochaeta monilaris (17.8%) and Ericthonius pugnax(6.1%), all of which are typical species of organically enriched area. From the multivariate analyses, the whol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of channel and inner bay group. Spatio-temporal changes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Geoje-Hansan Bay were related to those of TOC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Our results showed that Geoje-Hansan Bay should be intermediately affected by organic pollution, and that such organic enrichment was more remarkable at farming stations in the inner bay.

      • KCI등재

        울산만의 저서환경 구배에 따른 저서동물군집 구조

        윤상필,정래홍,김연정,김성길,최민규,이원찬,오현택,홍석진,Yoon, Sang-Pil,Jung, Rae-Hong,Kim, Youn-Jung,Kim, Seong-Gil,Choi, Min-Kyu,Lee, Won-Chan,Oh, Hyun-Taik,Hong, Sok-Jin 한국해양학회 2009 바다 Vol.14 No.2

        본 조사는 유기물과 미량금속 오염이 의심되는 울산만에서 저서환경의 교란 유무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울산만 안팎에 선정된 9개 정점에서 2006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동물군집에 대해 동시에 이루어졌다. 유기물 함량(TOC)은 평균 1.7% 이었으며 미량금속 중 As, Cu, Pb, Zn의 농도는 거의 모든 정점에서 최소영향수준(ERL)을 초과하였다. 저서동물군집의 총 출현종수는 199종, 평균 서식밀도는 4,578 개체/$m^2$ 이었으며 다모류가 가장 우세한 동물군이었다. 주요 우점종은 Aphelochaeta monilaris(22.6%), Ruditapes philippinarum(17.1%), Magelona japonica(12.2%), Lumbrineris longifolia(9.9%) 등이었으며 정점별 환경 특성에 따라 뚜렷이 다른 분포 양상을 보였다. 다변량분석 결과, 울산만 상단, 내만역, 내만역 중 태화강과 고사천이 만나는 지점 그리고 외해역에서 서로 다른 4개의 군집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울산만 내의 군집 이질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SIMPER 분석 결과, 4개 군집에서는 각각 R. philippinarum-Capitella capitata, A. monilaris-Balanoglossus carnosus, Sinocorophium sinensis-Cyathura higoensis 그리고 M. japonica-Ampharete arctica가 특징적으로 출현하였다. 전체 군집의 종조성과 밀도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해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 요인은 수심, 입도, 유기물 함량이었으며 중금속 중 Zn도 주요 항목에 포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benthic environment of Ulsan Bay was disturbed by organic materials and trace metals from the megacity and industrial complex. Field survey for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y was seasonally conducted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6 at nine stations cover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y. TOC was on average 1.7% while four (As, Cu, Pb, Zn) out of seven trace metals measured exceeded the Effects Range Low (ERL) in most of the stations.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199 and mean density was 4,578 ind./$m^2$, both of which were greatly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Dominant species were Aphelochaeta monilaris (22.6%), Ruditapes philippinarum (17.1%), Magelona japonica (12.2%), Lumbrineris longifolia (9.9%) and their distribution was ruled by the difference in the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 of each station. From the multivariate analyses, four stational groups were identified: northern part of the bay, middle and lower part of the bay, the intersection of Taewha River and Gosa stream and outside of the bay. As a result, the community heterogeneity of inner bay was much more greater than that of outer bay. SIMPER analysis showed that four groups were represented by R. philippinarum-Capitella capitata, A. monilaris-Balanoglossus carnosus, Sinocorophium sinensis-Cyathura higoensis and M. japonica-Ampharete arctica, respectively. Spatio-temporal changes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Ulsan Bay we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depth, mean grain size and organic content, and Zn was also a meaningful factor in that context.

      • KCI등재

        바지락 치패발생장 조성을 위한 모래살포가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 태안군 고남면 모래톱 갯벌 사례 -

        윤상필,송재희,김연정,안경호,Yoon, Sang-Pil,Song, Jae-Hee,Kim, Youn-Jung,An, Kyoung-Ho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4

        본 연구는 바지락 치패발생장 조성을 위한 모래살포가 저서동물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모래살포 전 후 저서동물군집과 퇴적환경의 시.공간 변화에 초점을 맞춰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래살포 작업은 2010년 7월에 태안군 고남면 모래톱 갯벌에서 이루어졌으며, 현장조사는 모래살포구역(실험구)과 비살포구역(대조구)에 각각 3개 정점을 선정하고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모래살포 후 실험구의 표층퇴적물은 극조립사로 변했으나 약 4개월 후부터 계절적인 세립화가 진행되어 약 8 개월 후 모래살포 이전과 동일한 극세립사로 되돌아갔다. 모래살포 직후 실험구 저서동물군집의 출현종수 및 개체밀도는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주로 Apocorophium acutum, Photis sp. 등의 갑각류에서 피해가 컸다. 그러나 감소된 출현종수와 개체밀도는 기존종의 회복과 주변 서식종의 재점유 과정을 통해 점차 증가하였으며, 출현종수는 모래살포 후 약 3개월 뒤에, 개체밀도는 약 4개월 뒤에 본래의 수준을 회복하였다. 저서동물군집의 우점종은 모래살포 전에 A. acutum, Photis sp. 등이었으나, 모래살포 직후 Heteromastus filiformis, Macrophthalmus japonicus 등을 거쳐, 가을 이후 Musculista senhousia, Ruditapes philippinarum, Mediomastus californiensis 등으로 변해갔다. 모래살포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서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생태지수는 모래살포 전과 유사한 수준을 회복하였으나 군집의 구조는 지속적인 종조성 변화로 인해 연구 후반까지도 모래살포 전의 구조를 회복하지 못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and addition to an intertid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nila clam habitat o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For this, we focused on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surface sediment condition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event. Study site was an sandbank in Gonam-myeon, Taean-gun where sand added to on July 2010. We set three stations at each of sand adding area (experimental plot) and non sand-adding area (control plot) and did sampling works ten times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1. Directly after the event, surface sediments changed to very coarse sand, but the state was not maintained over four months because of seasonal sedimentation and finally got back to very fine sand in eight months.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temporarily reduced right after the event and crustacean species such as Apocorophium acutum, Photis sp. were most negatively affected by the event. However, the number of species recovered from the reduction in three months and density did in four months due to the recolonization by the existing species and species in the vicinity of the plot. During the study period, dominant species continuously changed from the species such as A. acutum, Photis sp. at the time before the event, through the species such as Heteromastus filiformis, Macrophthalmus japonicus at the time right after the event, to the species such as Musculista senhousia, Ruditapes philippinarum, Mediomastus californiensis in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period. Although surface sediment properties and ecological indices recovered within a certain period after the event, the recovery of community structure has never been observed up to the end of the study.

      • KCI등재

        가막만의 2005년과 2006년 동계 저서환경 및 대형저서다모류군집구조

        윤상필,김연정,정래홍,문창호,홍석진,이원찬,박종수,Yoon, Sang-Pil,Kim, Youn-Jung,Jung, Rae-Hong,Moon, Chang-Ho,Hong, Sok-Jin,Lee, Won-Chan,Park, Jong-Soo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1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한 환경개선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막만에서 저서환경과 대형다모류 군집구조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는 2005년 2월과 2006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생물학적, 무생물학적 변수들을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측정된 총 10개의 환경변수 가운데 연간 차이가 유의하였던 변수는 용존산소(DO), 강열감량(IL), 그리고 산휘발성황화물(AVS)이었다. 특히, 강열감량은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1.5배, 산 휘발성황화물은 3배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북부내만역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저서다모류는 두 번의 조사에서 총 95종이 채집되었다. 출현종수, 개체 밀도, 그리고 다양도의 연도 간 변화 양상은 만 내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북부내만역에서는 2005년 보다 오히려 2006년에 더 적은 수의 다모류가 채집되었지만 일부 우점종의 우점도가 2006년에 현저히 감소함으로써 다양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만의 중부역에서는 출현종수, 개체 밀도, 그리고 다양도가 2006년에 모두 증가하였다. 만의 입구역에서는 이러한 변수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2005년의 우점종은 기회종 또는 유기물 오염지표종으로 알려진 Lumbrineris longifolia, Capitella capitata, Mediomastus californiensis,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등으로 주로 북부내만역에 분포하였다. 한편, 2006년에는 Euchone alicaudata, L.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Flabelligeridae sp. 등이 우점하였으며 주로 만 중앙부에 분포하는 종들이 많았다. 전체자료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저서다모류군집은 크게 5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이는 채집 정점의 지리적 위치 그리고 북부내만역 정점들에서 관찰된 2005년과 2006년 사이의 변화가 반영된 결과였다. BIO-ENV 분석을 통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적 구조 변화와 연관성이 가장 높은 환경변수를 알아본 결과, 단일변수로는 총유기탄소(TOC; ${\rho}=0.52$), 산휘발성황화물(${\rho}=0.49$) 등이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총유기탄소, 산휘발성황화물, 분급도, 그리고 수온의 조합(${\rho}=0.60$)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가막만의 저서환경 및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연간 비교 결과는 최근의 집중적인 환경개선 노력이 만 전반에 걸쳐 그리고 특히 북부내만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in Gamak Bay where various environmental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in recent years.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in February, 2005 and February, 2006 and twenty stations were selected to explore whether or not there were between-year differences in biotic and abiotic variables. Of 10 environmental variables measured, only three variables including dissolved oxygen (DO), total ignition loss (IL), acid volatile sulfide (AVS) showed significant between-year differences. Specifically, IL and AVS were, on average, 1.5 and 3 times lower in 2006 compared to those in 2005, respectively, which was more pronounc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A total of 95 polychaete species was sampled from the two sampling occasions. Between-year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diversity were varied from place to plac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fewer species were found in 2006 rather than in 2005, but diversity increased in 2006 due to the reduction in dominance of a few species. On the contrary,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diversity prominently increased in 2006. In the southern part of the bay, all the biological indices maintained similarly during the two years. Dominant species in 2005 were such opportunistic or organic pollution indicator species as Lumbrineris longifolia, Capitella capitata, Mediomastus californiensis,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etc. and most of them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and in the proximity of it. In 2006, however, Euchone alicaudata, L.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Flabelligeridae sp., etc. were dominant and distributed mainly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Multivariate analyses showed that the whole polychaete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5 groups reflecting the geographical positions of the sampling stations and temporal variation particularl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IO-ENV procedure, TOC (${\rho}=0.52$) and AVS (${\rho}=0.49$) as a single variable best explained the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The best combination was made by such variables as TOC, AVS, sorting coefficient, and water temperature (${\rho}=0.60$). In conclusion, between-year differences in biotic and abiotic variables imply that recent efforts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duc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benthic environment of Gamak Bay, particularly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 KCI등재

        외해가두리 양식이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래홍,윤상필,김연정,이원찬,홍석진,박성은,오현택,Jung, Rae-Hong,Yoon, Sang-Pil,Kim, Youn-Jung,Lee, Won-Chan,Hong, Sok Jin,Park, Sung-Eun,Oh, Hyung Taik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4

        반폐쇄적 연안역에서의 해상 어류 가두리 양식은 잉여 유기물로 인해 주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 해류의 흐름이 강하고 수심이 깊은, 외해적 성격을 보이는 제주 연안에서 외해 가두리 양식 기법이 시범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이 도입한 외해 가두리 양식이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료 투입 열흘 후 첫 조사를 실시하여 양식 종료 3개월 후까지 28개월간 10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 연안에 설치된 가두리 양식장의 평균 유속은 50~70 cm/s로 매우 강하였다. 퇴적물의 총유기탄소량은 조사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으며, 값 자체도 낮았다. 사료 공급이 시작된 후 3개월 만에 저서다모류군집의 종 수와 밀도가 모든 정점에서 증가하여 초기와는 다른 군집으로 빠르게 변화하였다. 양식시작 후 18개월 까지 가두리로부터 0 m와 10 m 지점 저서다모류군집의 종 수와 밀도는 사료 공급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 후 가두리로부터 10 m 범위 내의 저서다모류군집은 사료 공급량이 감소하고, 퇴적물내 유기물함량의 증가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기회종이 우점하는 교란된 군집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양식 종료 시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양식 종료 후 3개월 만에 기회종은 일시에 사라져 군집이 교란으로부터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제주 연안에서의 해상 가두리 양식은 외해적 성격과 빈영양의 해역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고영양성분의 유기물이 과잉으로 유입됨에 따라 저서다모류군집을 빠르게 변화시켰으며, 유입되는 사료량과 양식기간은 군집의 교란과 뒤이은 천이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연구는 외해 환경에서의 가두리 양식 전후 저서생태계의 변화 양상을 퇴적물에 대한 지화학적 분석 결과보다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xcessive input of organic matters from fish cage farming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disturbing benthic ecosystem, especially in semi-enclosed coastal waters. Recently offshore aquaculture in the vicinity of Jeju-do has been introduced to minimize that kind of negative imp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impacts of offshore aquaculture on the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A total of ten sampling works were carried out for 28 months, spanning from 10 days after starting giving feed to 3 months after stopping giving feed. During the study period, mean current velocity was quite strong with the range of 50 cm/s to 70 cm/s. TOC of surface sediment was constantly low. Significant changes in polychaete community were detected just three months after starting giving feed, which were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at all stations. Up to 18 months after the start of farming, the amount of feed provide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luctuation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especially at 0 m and 10 m stations. After reducing the amount of feed provided, dominance of some opportunistic species within 10 m distance from fish cages still lasted to the end of aquaculture. However, opportunistic species disappeared 3 months after the end of farming, which indicated the sign of recovery from the disturbance. From these results, the amount of food input and the period of cultivation were critical factors disturbing polychaete community and ensuing changes in this offshore and oligotrophic waters as well. In addition, study on the changes of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before and after fish farming showed more detailed changes in benthic ecological state than geochemical approach did.

      • KCI등재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래홍,윤상필,권정노,이재성,이원찬,구준호,김연정,오현택,홍석진,박성은,Jung, Rae-Hong,Yoon, Sang-Pil,Kwon, Jung-No,Lee, Jae-Seong,Lee, Won-Chan,Koo, Jun-Ho,Kim, Youn-Jung,Oh, Hyun-Taik,Hong, Sok-Jin,Park, Sung-Eun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3

        가두리 양식으로 인해 과잉 공급된 유기물은 연안의 저서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주요인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2003년 6월과 8월 가두리 밀집해역인 통영연안의 두 양식장(A, B)에서 가두리 양식으로 인한 유기물 오염이 저서동물군집, 특히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모류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 조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 조사선에서 $81%{\sim}87%$로 매우 높았다. 가두리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다모류군집의 종 수, 밀도, 다양도 그리고 우점종의 분포 양상은 현격히 변하였다. 가두리로부터 10 m 이내에서는 유기물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apitata가 우점하였으며, 종 수도 가장 낮아 군집이 유기물에 의해 심하게 교란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 capitata는 가두리 양식장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지형학적으로 보다 은폐된 양식장 A에서 최대 $18,410\;ind.m^{-2}$의 고밀도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두 양식장의 거리에 따른 개체밀도와 다양도 패턴의 전체적인 차이를 좌우하였다. C. capitata의 개체수가 급감한 10 m 지점 이후 15 m까지 구간에서는 종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런 종 수 및 밀도의 급격한 변화는 이 구간이 심한 유기물 오염 상태(highly polluted)에서 약한 유기물 오염 상태(slightly polluted)로 전환되는 추이점(ecotone point)임을 말해준다. $15{\sim}60m$ 구간에서는 종 수와 밀도의 추가적인 증가와 유지가 관찰되는 약한 유기물 오염 상태의 점이역(transitional zone)이 형성되었으며 군집의 주 구성원은 Lumbrineris longifolia, Aphelochaeta monilaris 등과 같은 잠재적 유기물 오염지시종들 이었다. K-우점도 곡선과 다차원 척도법의 결과도 앞의 군집변화와 일치하였다. 이 연구에서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유기물 오염의 영향은 가두리로부터 떨어진 거리, 가두리가 위치한 해역의 지형학적 특성 및 가두리 양식장의 밀집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Excessive input of organic matters from fish cage farms to the coastal waters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disturbing their benthic ecosystem. Sediment samples were taken from around the two fish cage zones (A and B) in Tongyeong coast in June and August 2003, to evaluate the ecological impacts of fish cage farming activity on the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Polychaete accounted for $81{\sim}87%$ of the total macrofauna individuals from each of the sampling stations.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diversity and dominant species of polychaete were rapidly chang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fish cages. Within 10 m from the fish cages, Capitella capitata, which is a bio-indicator for the highly enriched sediments, was a dominant species and the lowest diversity was recorded. In particular, the maximum density (${\sim}18,410\;ind.m^2$) of C. capitata was found at Farm A where fish cages were more densely established within a semi-enclosed bay system. The sampling zone between 10 m and 15 m showed a rapid decrease of C. capitata with a rapid increase of the numbers of species, implying that this zone may be an ecotone point from a highly to a slightly enriched area. In the sampling zone between 15 m and 60 m, a transitional zone, which represents slightly enriched condition before normal one, was observed with additional increase and maintenance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of polychaete. In addition, the potential bio-indicators of organic enrichment, such as Lumbrineris longifolia and Aphelochaeta monilaris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in the sampling zone.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ordination plots and k-dominance curves confirmed the above results on the gradual changes in the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magnitude of impact of fish cage farming activity on polychaete communities is probably governed by a distance from fish cage, density of fish cage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ound fish cage farm.

      • KCI등재

        부산항 주변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와 저서환경의 특징

        정래홍,윤상필,김연정,최민규,이원찬,Jung, Rae-Hong,Yoon, Sang-Pil,Kim, Youn-Jung,Choi, Min-Kyu,Lee, Won-Chan 한국해양학회 2011 바다 Vol.16 No.3

        본 연구는 부산항 주변 저서생태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 분포 패턴과 저서환경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는 북항, 남항 그리고 감천항 내 외측에 선정된 15개 정점에서 2007년 2월부터 12월 사이에 계절별로 진행되었다. 부산항 주변 저서환경요인 중 수온, 염분, 퇴적물 특성 등은 전반적으로 균일한 특성을 보였으나, 총유기탄소(TOC), 산휘발성황화물(AVS), coprostanol과 같은 유기물 함량 및 오염과 관련된 변수들은 부산항의 내 외측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저서다모류군집의 총 종수는 96종, 평균 개체밀도는 1,814 개체/$m^2$ 이었으며, 출현종수는 대체로 외측에서, 개체밀도는 내측에서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Aphelochaeta monilaris, Magelona japonic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등으로 다수의 유기물 오염지 표종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전체 군집은 부산항의 내측군집과 외측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계절성은 큰 영향을 마치지 못하였다. 전체군집구조와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요인은 coprostanol과 산휘발성황화물이었다. 생불과 환경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부산항 내측의 유기물 오염이 의심되었으며, 그러한 현상은 북항 내측에서 특히 뚜렷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nthic condition around Busan Port by analysing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community and some benthic environmental factors. Field survey was seasonally carried out at 15 stations covering in and outside of Busan Port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7.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he type of surface sediment showed little changes among the stations, but factors related to organic enrichment such as TOC, AVS, coprostanol showed an obvious contrast, especially between in and outside of Busan Port. A total of96 species occurred and mean density was 1,814 ind./$m^2$. Species richness was higher at outer port than inner port, but density was higher at inner port. Dominant species were Aphelochaeta monilaris, Magelona japonic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etc. and many of them were typical species of organically enriched area. From the multivariate analyses, the whole study area was composed of two distinct polychaete communities located 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ort, and seasonal changes didn't have any influential effects on the structure. Coprostanol and AVS, indicators of organically enriched condition, well explained the community structures of polychaete worms in the vicinity of Busan Port. In this context, the innermost area of North Harbor was in a highly enriched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