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세 이상 6세 미만 뇌성마비 아동의 MACS 평가자간 신뢰도 연구

        김흥수 ( Heung Su Kim ),유승복 ( Seung Bok You ),육진숙 ( Jin Sook Yuk ),변은미 ( Eun Mi Byun ),지은 ( Ji Eun Yu ),최인애 ( In Ae Cho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에게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를 평가했을 때 평가자간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이며, 아동의 연령별로 평가자간 신뢰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 31명을 대상으로 5명의 작업치료사가 MACS를 평가하였다. 연령에 적절한 과제를 제시하여 평가하기 위해서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 과제 참조표를 작성하고, MACS 평가 시 참조표를 참고하여 아동에게 과제를 제시하였다. 평가자간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weighted Cohen`s kapp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연령에서 평가자간 신뢰도는 κ=0.78 이었으며, 각 연령 그룹에서 평가자간 신뢰도는 1세∼2세 미만 아동이 κ=0.82, 2세∼4세 미만 아동이 κ=0.75, 4세∼6세 미만 아동이 κ=0.78 이었다. 결론: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에게 MACS를 평가했을 때 전반적으로 평가자간 신뢰도가 good 이상으로 높았으며, 특히 1세∼2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자간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본 연구는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를 과제를 선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참조표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 과제 참조표의 타당도 연구와 연령이 어린 아동에게 MACS를 평가할 때 참조표의 활용 여부에 따른 평가자간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and to compare inter-rater reliability according to age groups. Methods: 5 occupational therapists assessed 31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using MACS. The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was established and referred to during assessment. Inter-rater reliability was analysed using weighted Cohen`s kappa. Results: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was κ=0.78 for children aged 1∼6 years, κ=0.82 for children aged 1∼2 years, κ=0.75 for children aged 2∼4 years, and κ=0.78 for children aged 4∼6 years. Conclusion: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was beyond good. Especially,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for children aged 1∼2 years was the highest.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MACS for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nter-rater reliability according to whether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is used or not. Al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lidity of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표준화된 인지 평가 도구의 문헌 고찰

        육진숙 ( Jin Sook Yuk ),변은미 ( Eun Mi Byun ),유승복 ( Seung Bok You ),김흥수 ( Heung Su Kim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지 평가 도구를 확인하고, 각 평가 도구의 일반적인 특징 및 임상적 유용성, 심리측정학적 특성, 한국 표준화 현황을 확인함으로써 학령전기 아동의 인지 평가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PubMed에서 ``advanced search`` 검색 방법과 ``filter`` 기능을 사용하여 최근 10년 동안 학회지에 개제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인지 평가 도구를 사용한 논문을 검색하기 위해 평가와 관련된 검색 용어로 “assessment, evaluation, scale, test, inventory, battery, measurement”를 사용하고, 인지 기능과 관련된 검색 용어로 “attention, memory, visual perception, executive functions, cognition, intelligence, mental development”를 사용하였다. 검색된 논문에서 학령전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지 평가 도구를 확인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총 23개의 평가 도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학령전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지 평가 도구는 23개였다. 전반적인 인지 평가 도구는 11개였으며, 특정 인지 영역에 대한 평가 도구는 12개로 확인 되었다(주의집중 1개, 기억 4개, 시지각 4개, 실행기능 2개, 기타 1개). 대부분의 평가 도구는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었으며, 아동이 직접 평가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평가하였고, 신뢰도 및 타당도가 높았다. 한국에서 표준화된 평가 도구는 DSS-ROCF와 CAS였다. 결론: 전반적인 인지 평가 도구는 주로 2-3세부터 사용할 수 있으나, 특정 인지 영역에 대한 평가 도구의 경우 인지 영역별로 사용할 수 있는 연령이 다르므로 아동의 연령이나 인지 기능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평가 도구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standardized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and review general descriptions, clinical usefulnes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standardizations in Korea. We expect that it`s easy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for preschool children through the review. Methods: Papers using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and published in journals for the last ten years were identified in PubMED. For the key words related to assessment, “assessment, evaluation, scale, test, inventory, battery, and measurement” were used. “Attention, memory, visual perception, executive functions, cognition, intelligence, and mental development” for the key words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were used. Standardized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identified in papers were reviewed. Results: The number of standardized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identified in papers was 23. The number of comprehensive cognitive assessments and assessments measuring specific cognitive area(attention, memory, visual perception, executive functions) was 11 and 12 respectively(attention 1, memory 4, visual perception 4, executive functions 2, and others 1). Most of them can be used by directly purchasing them, assess children`s performance directly, and have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Standardized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which were standardized in Korea were DSS-ROCF and CAS. Conclusion: Because comprehensive cognitive assessments and assessments measuring specific cognitive area can be used to preschool children in different age groups, it is important to choose proper assessments according to age and cognitive function.

      • 한국형 아동 간이 정신 상태 검사 MMSE-KC(Mini-Mental Statue Examination-Korea Child)의 개발 및 내용타당도 연구

        육진숙 ( Jin Sook Yuk ),윤인진 ( In Jin Yoon ),송문성 ( Moon Seoug Song ),박지은 ( Ji Eun Park ),임송이 ( Song I Im ),변은미 ( Eun Mi Byun ),유승복 ( Seung Bok You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5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4 No.2

        목적: MMSE(Mini-Mental Statue Examination)는 간단하게 인지 정신 상태를 평가할 수있는 도구이다. 하지만 아동용은 그 사용이 미흡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한국형 아동MMSE가 소개된 바 없고, 임상에서 짧은 시간 동안 간단하게 아동의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한국형 아동 MMSE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기존에 보고된 성인 및 아동용 MMSE와 다양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한국형아동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ue Examination. Korea Child, MMSE-KC)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MMSE-KC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2015년 6월부터 동년 9월까지 25명의 작업치료 소아치료 전문가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2차에 걸쳐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1차와 2차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내용타당도 지수는 .75를 초과하는 항목들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총 35문항, 44점 만점으로 구성된 MMSE-KC 평가지와 평가지침서를 개발하였다. 결론: MMSE-KC의 문항이 아동의 인지 기능 평가라는 목적과 적절히 부합하고, 적절한 내용의 타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후로 MMSE-KC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다른 검사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와 정상 아동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한 표준화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 Child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ute Examination(MMSE) and to invest of content validity. Methods: We developed the MMSE-KC(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 Korea Child) based on the MMSE for adult and child and lots of literatures. The content validity index was identified by 25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ho had experience at least 5 years. The content validity was invested twice. Result: We selected itemts that content validity index is above .75. The MMSE-KC is composed 35 items and total score is 44. Conclusion: As a tool for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child, MMSE-KC’s content validity were confirmed. Further, studies about reliability, relationship with other test and standard data will be needed for better application of MMSE-K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