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A Causal Model of Overtraining, Stress Appraisal, Burnout, and Mood States in JuniorHigh School Varsity Athletes: A Preliminary Study

        유생열(YooSeang-Leol),송우엽(SongWoo-Yeob)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Smith (1986)와 Maslach과 Leiter (2000)가 제안한 모형을 스포츠 현장에서 확인하는 예비적 연구를 실시하는 일이었다. 312명의 중학교 선수들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이중 과 훈련 점수에서 평균점수 이상인 선수 142명만이 본 연구에서 피험자로 선정되었다. 과훈련, 지각된 스트레스, Maslach의 탈진 질문지, 기분상태 질문지 (POMS)가 본 연구에서 도구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은 과훈련은 지각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또한 탈진에 영향을 미치고, 탈진은 개인의 기분 상태와 인과적 관계가 있는 모형이었다. 구조 방정식 모형이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이 연구의 통계적 분석은 AMOS 3.62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자승을 비롯한 다양한 지수들이 참조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모형은 데이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훈련과 지각된 스트레스간의 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스트레스가 탈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탈진과 기분상태는 .05 수준에서 인과적 관계를 보여 주었다. 전체적으로 회귀계수는 신뢰할만한 수준이었으나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변인들이 포함되어 지도록 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erform a preliminary research to confirm the model Smith (1986) and Maslach and Leiter (2000) proposed in athletic context. Three hundreds and twelve junior high school varsity athletes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the participants, 142 athletes who got more than average overtraining score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e study. Overtraining, Perceived stress, Maslach Burnout Inventory, and Profile of Mood States inventories were used as instruments. Th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was that overtraining contributed perceived stress, which in trim affected burnout. Burnout has a causal relationship to mood stat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assess the hypothesized model. The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utilizing procedures from AMOS 3.62 program. From the model-fitting statistics including chi-square, goodness-of-fit test, and the various fit indices for the specified model, the model did comparatively fit the data. The path between overtraining and perceived stress reached significance. The direct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burnout was also significant. Burnout also significantly affected mood states. Overall, the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acceptable. However, more variables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spective study.

      • KCI우수등재

        스포츠심리학 : 초등학생의 신체 유능성 지각이 체육수업에서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정호(ShinJeong-Ho),유생열(YooSeang-Leol),송우엽(SongWoo-Yeob)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신체 유능상 지각이 체육수업에서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인천광역시 소재 5개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780명을 대상으로 '신체 유능성’ 지각과 체육 수업에서 내적 동기 검사를 하였다 초등학생의 '신체 유능성’ 지각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Harter(1982)의 아동용'신체 유능성’ 검사지(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Subscale for Children; PPCSQ를 초등학생의 독서 수준에 맞게 우리말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내적 동기의 검사는 유생열(1999)이 McAuley 등(1991)의 내적 동기 질문지를 대학의 체육 실기 수업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초등학생의 독서력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신체 유능성’ 지각 검사를 토대로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표준편차 +1이상인 아동을 '신체 유능성’ 지각이 높은 집단으로, -1이하인 아동을 '신체 유능성’ 지각이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이 두 집단의 내적 동기 요인별 평균차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신체 유능성’ 지각이 높은 아동들이 '신체 유능성’ 지각이 낮은 아동들보다 체육수업에서 내적 동기 3가지 요인(노력-중요성, 지각된 유능감, 흥미-즐거움)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한가지 요인인 긴장-입력요인에서는 '신체 유능성’ 지각이 높은 아동들이 낮은 아동들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핀별분석 실시결과 종속변인의 수준별 각 독립변인의 평균차이에 대한 집단 구분의 가능성에 있어서 원래의 집단 사례수중 86.9%가 올바르게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신체적 유능성이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신체적 유능성 신장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이 논의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on Intrinsic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780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Korea version of PPCSC(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Subscale for Children) was utilized as a tool to obtain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other Korean version of IMI(Intrinsic Motivation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tension-pressure’, ‘effort-importance’, ‘perceived competence’, and ‘interest-enjoy’. The researchers divided subjec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Standard Deviation(SD) of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Scale. The subjects whose score was more than positive 1 of SD were assigned as ‘Higher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Group’(HPPCG) and The subjects whose score was less than negative 1 of SD was assigned as ‘Lower Perceived Physical Competence Group’ (LPPCG). MANOVA was utilized to see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HPPCG and LPPCG. There were significant(p<.05)mean differences in all 4 levels of IMI. HPPCG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effort-importance’, ‘perceived competence’, and ‘interest-enjoy’. However, LPPCG demonstrated higher mean score in ‘tension-pressure’. Discriminant function showed that the variables of IMI( 4 factors) may be used to predict significantly (p<.05) HPPCG and LPPCG. Percent of cases corretly classified was 86.9%. Some suggestions for higher physical self-competence are proposed.

      • KCI우수등재

        스포츠심리학 : 줄넘기 과제에서 목표설정이 초등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 성향에 미치는 영향

        임병걸(LimByeong-gill),유생열(YooSeang-leol)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수업 현장에서 목표설정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 적이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K시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58명을 대상으로 이미 편성된 학급을 실험집단 27명,통제집단 31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피험자들의 성취목표 성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검사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성취목표성향 질문지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질문지였다 목표설정을 위해 유생열(2000)이 제시한 사다리형 목표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5주 동안 비정규수업 시간을 이용하여 줄넘기 운동 을 실시하여,목표설정을 한 실험집단과 목표설정을 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평균점수의 차이를 ANCOVA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목표설정 적용 후 성취목표 성향에서 두 집단간에 사전 사후 종속변인에 대한 평균점수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성취목표 성향 중 과제 관여적 성향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평균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자아관여적 성향에ㅣ서도 실험집단의 평균점수는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실험처치 전. 후의 목표설정에 대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인지된 신체능력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평균점수의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점수는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p< .05). 그러나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영역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al-Setting in jump rope on psychological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wo classes (27 subjects for experimental group and 31 subjects for control group). A Korean version of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utilized to measure the task and ego orientation. Another Korean version of physical self-efficacy scale was used to measure perceived physical self-efficacy and physical self-expression efficacy. For goal-setting, Yoo's (2000) ladder goal-setting form was used to help subjects divide their goals into various stages of objectives.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showed that five weeks of goal-setting for jump rope improved task orientation, ego orientation, and perceived physical self-efficac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However, physical self-expression efficacy was not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