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와(芸窩) 홍중성(洪重聖)의 금강산 유람시 연구

        유명석 ( Yoo Myeong-seok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본고는 운와(芸窩) 홍중성(洪重聖, 1668~1735)의 금강산 유람시에 대한 여타 문인들의 평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강산 유람시 작품들을 살핀 뒤 그의 금강산 유람시가 지닌 의의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운와는 정치적으로 그다지 현달하지 못했지만 문학적으로는 인정을 받았다. 운와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조선의 시경향을 변화시키는 데 앞장섰던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에게 시를 배웠다. 최창대(崔昌大)·조유수(趙裕壽)·이병연(李秉淵)·홍세태(洪世泰) 등 당대의 명사들과 시사(詩社)를 열어 교유하였으며 이들에게 시로서 인정받았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운와는 문학, 특히 한시 측면에 있어서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18세기가 되면 농암(農巖)과 삼연을 중심으로 산수유람문학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그 작품들은 사실성(寫實性)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운와 역시 산수유람을 즐겼고 금강산 유람 후 당시 지은 시를 모아 <풍악록>으로 엮었다. 1722년, 운와는 금강산 유람을 다녀왔는데, 운와에게 산수유람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취미이자 기(氣)가 담긴 문학 작품의 창작하기 위한 한 가지 방편이었다. 그리하여 운와는 금강산 유람을 하며 지은 시를 모아 <풍악록>을 엮었는데 현재 운와의 금강산 유람시는 12제 17수가 남아 있다. 이 작품들을 보면 운와는 자신이 마주한 금강산의 장엄하고 웅장한 풍경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포착하여 이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거나 호방한 기세를 담아냈다. 운와의 금강산 유람시는 기본적으로 노론 계열의 농암이나 삼연의 산수 유람과 동일한 궤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표현법을 좀 더 세부적으로 보면 소리를 배제하고 감정을 직접 드러내지는 않는다. 이 표현법은 금강산 유람시에서만이 아니라 운와의 여타 유람시에서도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Unwa(芸窩) Hong JoongSung(洪重聖)'s poems on Geumgang mountain travel poems and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poems on Geumgang mountain travel poems through this. Hong Joong-sung did not reach a high political position, but he was recognized literaryly. Unwa learned poetry from Samyeon(三淵) Kim ChangHyeop(金昌翕), who took the lead in changing the poetry trend of Joseon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He opened poems and exchanged poems with famous people of the time such as Choi ChangDae, Jo YuSoo, Lee ByeongYeon, and Hong SeTae, and was recognized as a poem by them. In this respect, Unwa can be said to be a person who must be dealt with in terms of literature, especially Chinese poetry. Therefore, if Unwa and his literary works become known to the academic world, we can confirm the character Unwa and his specific literary works, and furthermore, we can understand the trend of Chinese poetry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more clearly. Moreover, in the 18th century, the number of Sansu-uram literature exploded, centering on Nongam(農巖) and Samyeon, and the works are developed in a direction that values realism. Unwa also enjoyed to travel and collected the poems he wrote at the time after visiting Geumgang Mountain and weaved them into Pungakrok. In 1722, Unwa went on a tour of Geumgang Mountain, and for Unwa, travel was his favorite thing and a way to create literary works containing spirit. Thus, Unwa collected poems written during his tour of Geumgang Mountain, compiled the Pungakrok, and asked Choi SeokHang, Lee HaGon, and Hong SeTae to write a postscript, and was evaluated by Choi Seok-hang and Lee Ha-gon as realistic and spirited, respectively. Currently, 17 poems in 12 titles remain in Geumgang Mauntain travel poems. Looking at these works, Unwa captured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majestic and magnificent scenery of Geumgang Mountain he faced, depicting them realistically or capturing their grandeur. Unwa's cruise to Geumgang Mountain and his cruise poetry seem to be basically in the same trajectory as Noron's Nongam or Samyeon's landscape cruise activities. However, if you look at the expression method in more detail, you can see that it does not exclude sound or directly reveal emotions. These expressions can be seen not only in the poems of Geumgang Mountain travel, but also in Unwa's other travel poems.

      • KCI등재

        淸陰 金尙憲의 文學論 硏究

        유명석(Yoo, Myeong-Se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1 No.-

        淸陰 金尙憲(1570~1652)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중반까지 활동했던 인물로, 문학적·정치적으로 확고한 입지를 닦아 가문의 명성을 이룩하였다. 이 글에서 청음의 文學論에 주목한 이유는 그가 詩文에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18세기에 접어들면 청음의 증손인 김창협과 김창흡의 문학론이 노론의 중심 문학론으로 정착되기에 이르는데, 청음부터 김수항을 거쳐 김창협·김창협 형제에 이르기까지 家學으로 학문이 전승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발언들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김창협과 김창흡이라는 인물들에 의한 새로운 문학론의 출현이 단순히 문학사 논리에 따른 경향성의 필연적 변화만으로는 설명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청음의 문학론 관련 글들을 살핀 결과 청음은 육경을 바탕에 둔 주자학을 학문의 기초로 삼아 詩에 있어 溫柔敦厚를 실천하고자 하면서도 문예적 측면에 주목해 事實性을 중시했다. 文에 있어서는 성리학적 辭達을 중시했으며 한유를 추숭하여 비지문에서 簡嚴美를 추구하였다. 한유를 추숭하며 비지문에 특장을 지녔던 모습은 조선 후기 김창협 계열 문인들이 표방했던 韓歐正脈의 특징과 유사하게 보이는 측면이 있다. 청음과 김창협의 문학 성향에 동일성이 있고 가학의 영향이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 영향관계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를 통해 엄밀히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Kim Sangheun(1570-1652), who was active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built up a literary and politically sound location and achieved the fame of the family. The reason why this paper focused on Cheong-eum’s literary theory is that he received high praise in poetry. But a little more fundamentally, in the 18th century, the literary theories of his great-grandchildren Kim Chang-hyup and Kim Chang-heup became established as the central literary theory of Noron. And it is due to the existence of the materials that the study of Cheung-eum was received by the Kim Chang-hyup·Kim Chang-heup brothers through the family studies. Such a fact means that the emergence of a new literary theory by Kim Chang-hyup and Kim Chang-heup in the 18th century cannot be clarified only by the inevitable change of the tendency that accompanies the logic of literary histor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literary theory of Chung-eum, it is found that Zhu-Xi studies, which is based on the Classical Literate Style of Yuk-Kyung, is the basis of the literary writing, reveres Han Yu, and has features in Epitaph. Such a figure is one of the Ming dynasty prose schools, and has an aspect similar to the special feature of the Hangujungmaek, which was advocated by Kim Chang-hyup affiliated literati. There is a one-sided similarity in the literary tendencies of Cheong-eum and Kim Chang-hyup, but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whether this is the influence of family inheritance through a follow-up study.

      • KCI등재

        謙齋 趙泰億의 樓亭詩 硏究

        유명석(Yoo, Myeong-Seok)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5 No.-

        본고는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에 활동했던 소론 계열의 관료이자 문인이었던 謙齋趙泰億(1675-1728)의 누정시를 대상으로 하여 조태억에게 있어 누정이 지닌 의미와 그의 누정시가 지닌 문학적 특징 및 의의를 살펴본 글이다. 겸재 조태억은 18세기 조선의 혼란했던 정계에서 활동한 관료이자 문인이었다. 그는 우의정과 좌의정에 오를 만큼 정치적 수완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겸재는 어린 시절부터 漢詩를 바탕으로 문학적으로 두각을 드러냈다. 문집인 『겸재집』에 남아있는 3,600여 수에 이르는 시작품은 그의 문인적 기질을 증명해준다. 겸재의 누정시는 그가 남긴 시문학 작품 가운데 양적으로 아주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겸재는 평생에 걸쳐 고르게 누정시를 창작하였다. 따라서 겸재의 누정시는 겸재의 시문학 세계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작품 작품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겸재에게 있어 누정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어 그가 실제 창작한 누정시를 ‘逼眞한 경물 묘사와 想念의 해소’, ‘靜的인 분위기를 활용한 여유의 高調’, ‘聯句詩창작을 통한 정감의 공유’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겸재의 누정시가 지닌 문학적 성취를 확인해 보았다. 겸재의 누정시 작품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가치를 탐색하는 작업은 단순히 겸재라는 하나의 문인의 시작품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누정 문학의 일면을 확인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for Jo Tae-eok, who was a literary writer and a literary scholar who was active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It is a sentence that explains the meaning of Jo Tae-eok and the literary special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his poetry. Jo Tae-eok was active in the politics of Joseon in the 18th century, but he was politically skilled enough to move up to Uuijeong and Jwauijeong. Not only that, Jo Tae-eok made a literary prominence based on Chinese poetry from an early age. The poetry works of more than 3,600 remaining in the collection “Gyeomjaejip” prove his literary temperament. Jo Tae-eok"s pavilion poetry does not occupy much of the poetry work he left behind. However, Jo Tae-eok created the Pavilion poem all his lif. Therefore, Jo Tae-eok"s pavilion poetry can be seen in his works that penetrate the world of poetry and literature. In this way, I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pavilion for Jo Tae-eok. Next, he divided the poems he created into three types: “Pavilion drawing and elimination of thoughts”, “Harmoniousness of Pavilion utilizing the atmosphere”, and “Sharing emotions through the creation of Successive Lines of Verse”. Through these processes, I will confirm the literary fulfillment of Jo Tae-eok"s pavilion poetry. The task of confirming Jo Tae-eok"s poetry and searching for the value for it is a course that confirms not only the poetry work of one literary man named Jo Tae-eok, but also one aspect of the pavilion literature. It can be said that it is significant in that re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