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韓)ㆍ중(中) 일기체(日記體) 유산기(遊山記) 문학의 한 비교 - 김종직(金宗直)의 <유두류록(遊頭流錄)>과 송렴(宋濂)의 <유종산기(游鐘山記)>의 경우 -

        왕결청 ( Jieqing Wang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7

        <遊頭流錄>과 <游鐘山記>는 한ㆍ중 두 나라에서 遊記文이 발달했던 시기인 조선시대와 明代의 초기 작품들인데다가 모두 일기체 유산기라는 점에서 유사성이 발견되는 작품이다. 나아가 두 작품은 전개와 진행 방식면에 있어서도 遊山의 대상인 山의 위치 소개와 遊山동기, 그리고 일행의 소개 등으로 시작하고 있으며, 유산 과정을 일기체로 기술하고 말미에 이르러 유산 후기를 붙이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측면에서 흡사하다. 노정을 기술하고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살필 때 두 작품 사이에 존재하는 현격한 차이점은, <遊頭流錄>에서는 유가적 사유방식의 관념이 작품 속에 존재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游鐘山記>의 경우는 ‘遊山’의 대상물에 대한 가치와 유산의 목적이 典故的가치나 역사적 가치와 밀접히 연결되어 기술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游鐘山記>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또 다른 면모는, 단순한 ‘遊山의 기록’ 차원을 넘어 인사들이 자연간에서 교유하는 모습으로 승화시키고 있고 이것은 은일 생활을 동경하는 지식인의 탈속적 욕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遊記文學에서 거론되는 사물자연을 ‘인문경관’과 ‘자연경물’로 나눌 때<遊頭流錄>은 인물경관에 대한 기술보다는 자연경관에 대한 묘사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游鐘山記>는 ‘산’ 그 자체보다는 산에 있는 인공적 건축물이나 산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 전설 등과 같은 人文的경관에 주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游鐘山記>에 드러나는 인문경관 중심의 기술방법은 경물 세계에 대한 독자의 상상을 자극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遊頭流錄>에 보이는 김종직의 입세 관념과는 반대로, 송렴의 <游鐘山記>에서는 탈속적 분위기가 뚜렷하게 드러난다는 점을 본고를 통해서 탐색해 낼 수 있었다. 또한 송렴의 이런 피세은둔의 지향성은 불교와 도교에 경사된 그의 삶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도 발견해 낼 수 있었다. So far,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travel literature had been conducted mainly focused o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the late Ming Dynasty’s author and their works. In the field of comparative studies, it has been mainly reviewed in the aspect of impact relationships with China and the adaptation of Chinese work of literature, but it lacks full-scale analytical study on the works itself.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travel notes of hills during Choson Dynasty and the early times of Ming Dynasty when both Korea and China’s travelogues had advanced the most, by comparing < Yuduryurok >, written by a civil official in the early Choson Dynasty named Kim Jongjik, and < Yujongsangi >, written by a civil official in the late Yuan and the early Ming dynasty named Song Lian. Furthermore, I review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riter’s psyches that are shown in the works. Both the two pieces are travel notes of hills that are written in the form of diary style and begin with introducing the party and the motives for traveling the hills in a structural aspect. It is followed by the course of the travel also written in the form of diary style, and it describes five days of travel in the case of < Yuduryurok > while three days in < Yujongsangi >. Closing the descriptions of travel processes, both two works added a travel review as a postscript and spoke out of their personal feelings. Likewise, the two works show many structural similarities. When it comes to the content aspect, however, I was able to find where the works’ description placed emphasis on and the human psyche it aimed for are quite different. While < Yujongsangi > puts emphasis on the folklores and historical events, or human landscape of various cultural relics of Zhong Zhongshan rather than Zhongshan itself, < Yuduryurok > is mainly composed of detailed descriptions of natural sceneries and Kim Jongjik used rhetoric like metaphors and parallelisms in it. In addition, < Yuduryurok > looks through the aspects of how Kim Jongjik revealed the responsibility as a local magistrate and the will to go into the society to awaken the people. In contrast, < Yujongsangi > reveals Song Lian’s longing for living in seclusion and the determination to retire from the world which is due to Song Lian’s experience of secluded life and the influence of Buddhism and Taoism on him.

      • KCI등재

        중국 화훼 설화의 전승적 의미와 고전소설과의 교접 양상

        王潔淸 ( Wang Jieqing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중국의 화훼 설화는 화북, 동북, 화동, 화중, 화남, 서남, 서북 등지에 보편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설화이다. 본고에서는 『중국민간고사집성』을 대상으로 삼아 화훼 설화의 분포 양상과 그 분류를 시도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고전소설에 드러나는 화훼 관련 에피소드를 화훼 설화와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중국에서 화훼 설화가 가장 많이 전승되고 있는 지역은 화동에 위치한 복건성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다음으로는 동북 지역에 속한 길림성이고, 그다음으로는 화동 지역에 속한 안휘성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특정 화훼를 소재로 한 관련 설화의 분포는 그 화훼의 식물학적 분포와 동일하지만 각 성에서 조사된 화훼 설화의 편수의 다소와 전승 지역 간에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국 화훼설화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유형은 ‘기원설명형 화훼설화’로 이 유형의 화훼 설화가 가장 많이 전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유형의 화훼 설화를 다시 ‘지상화신 화훼담’과 ‘천상유래 화훼담’ 그리고 ‘복합유래 화훼담’으로 하위분류하여 각각의 설화군이 갖는 서사적 특징을 분석했다. 둘째 유형은 ‘여성변신형 화훼설화’였다. 이런 다양한 화훼설화와 유사한 에피소드들은 소설에서도 그 흔적들을 찾을 수 있었다. 고전소설에서도 화훼설화에서 드러난 것과 같이 꽃은 순수한 여성만을 상징하는 이미지이고 소설에서 여성 인물의 내력을 설명할 때 그 초월적이면서 아름다운 형상을 구축하기 위해 전생에 仙草였다거나 사후에 花神이 되었다고 묘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원설명형 화훼설화에서는 화훼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인물이 등장하는 것이고 화훼 관련 소설에서는 인물의 내력을 설명하기 위해 화훼 화소가 삽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훼가 소재로 등장하는 설화와 소설 사이에는 같고도 다른 문학 소재적 운용미가 반영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Chinese flower related folk tales are commonly handed down in multiple regions of China. In this paper, we tried to classif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flower tales by targeting the 『Chinese folk tales collection(中國民間故事集成)』. Based on this, the flower-related episodes in classic novels were compared and reviewed with flower stor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gion where flower stories are most widely handed down in China is Fujian Province, located in East China. The next is Jilin Province, which belongs to the northeast region, and then Anhui Province, which belongs to the East China region. The distribution of related stories about specific flowers is the same as the botanical distribution of the flowers,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pecial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lower stories surveyed in each province and the transmission region. Chinese flower folk tale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type is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certain flower species Type', which shows that this type of flower story is most widely handed down. This type of flower story was further subdivided into 'Transformed into flower on the earth Type', 'Originally came from heaven Type' and 'Compound Type', and analyz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of stories. The second type was 'Female transform into flowers type'. These various flower stories and similar episodes could also be found in novels. As revealed in the classic novel, flowers are an image that symbolizes only pure women, and when explaining the history of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described as fairy herbs in the past or as a flower god after death to build a transcendent and beautiful shape. It was found that in the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certain flower species Type' flower tales, characters appeared to explain the origin of flowers, and in the flower-related novels, floral elements were inserted to explain the previous life of the characters. It was found that between the folk tales and novels in which flowers appeared as the subject, the same but different literary aspects were refl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