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의 적합성에 대한 분석 연구

        옥일남 ( Il 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시민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선택 과목인 ``정치``의 교육과정 내용 체계가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제7차 및 새 정치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가 내용 적합성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내용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로 교과 목표 적합성, 학문적 내용 타당성, 사회적 내용 타당성, 학습의 적정성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각 정치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가 구성 항목별로 어떤 준거를 만족시키고 있는지 분석하여 내용 체계의 선정 배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치 교육과정 내용 체계가 정치학의 기반 학문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교과 목표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치 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와 내용을 고찰하여 판단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학문적 내용 타당성을 분석하는 근거로 정치학 기본서 3-6권에 분포되어 있는 중심적인 개념을 이용하였으며, 이 개념들이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고찰하였다. 사회적 내용 타당성을 분석하는 근거로 국가적, 시대적, 사회적 요구 사항과 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하였다. 학습의 적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학습을 희망하는 요소를 조사하여 학습자의 흥미 분석 근거로 이용하였다. 내용의 적정화 판단 근거로 내용 요소의 개수도 학습량을 판단하는데 이용하였으며, 학습 수준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고등학교급의 학습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내용 요소가 선정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정치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내용 적합성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교과목표 적합성이 가장 많이 반영되었으며, 학습의 적정성 또한 많이 고려되었다. 학문적 내용 타당성은 보편적인 개념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제7차(29.41%), 새정치 내용체계(38.71%)로 나타나 새 정치 내용 체계에서 보다 더 학문적 내용 타당성이 만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정치학의 기반 학문과 관련성이 적으나 고등학생들의 정치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내용 요소도 제7차(27.45%), 새정치 내용체계(22.58%)로 나타나 내용 체계 구성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정치 내용 체계는 정치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거시적인 구성 논리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 학습자의 학습 수준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고 학문적으로 보편성이 높은 개념 위주로 구성되며 한국의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여 선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ppropriateness of ``politics`` in the 7th national and the new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I analyzed the 7th and the new ``politics`` curriculum. Analytic criteria are scientific content validity, social content validity, subject goal appropriateness, learning appropriateness. Content appropriateness is composed of these elements. I analyzed universal political concepts in six university materials for politics instruction. These universal concepts were used in the evaluation of scientific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All most of ``politics`` contents in the 7th and the new curriculum attained subject goal appropriateness. Most of ``politics`` contents in them attained learning appropriateness. But limited elements of ``politics`` contents in them attained social content validity. With regard to scientific content validity, the 7th ``politics`` curriculum meet 29.41%-universal political concepts and the new ``politics`` curriculum meet 38.71%-universal political concepts. So they prove the new ``politics`` curriculum reflects more universal political concepts than the 7th ``politics`` curriculum. The relation between ``politics`` curriculum and these concepts displays ``politics`` characteristics. ``Politics`` curriculum stands in standard political concepts, but other elements far from them in ``politics`` curriculum are selected for ``politics`` goal attainment. ``Politics`` goal is in accomplishment of political knowledge, skills, value and attitude to become a democratic citizen. So all ``politics`` contents in the 7th and the new curriculum are selected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Learners wanted to learn the elements of korean political phenomena and the political history, political situation. Learners` interests were reflected in the new ``politics`` curriculum partially. The number of contents decreased in the new ``politics`` curriculum for learning. With regard to learning appropriateness, it was attained partially.

      • KCI등재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옥일남 ( Il 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글로벌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사회과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글로벌 시민성 교육의 내용 요소로는 김현덕 외(2005)에서 제시한 글로벌 시민 교육의 4가지 영역(① 세계적 시각, 관점 교육 ② 문화 간 이해를 위한 교육 ③세계 체제에 대한 교육 ④ 세계적 문제나 이슈 교육)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작하여 실제 교실 환경에서 글로벌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 몇 가지 종합적인 논의를 해 볼수 있었다. 첫째,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은 제한적이기보다는 주제의 내용 영역에 따라 다양하게 열려있다는 점이다. 기존에 사회 참여나 봉사 학습, 문제해결학습 등이 효과적이라고 강조되었으나, 교실 안에서 글로벌 시민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방법외에도 문답법, 토론학습, 탐구 학습, 협동학습, 개념학습, 웹기반 학습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둘째, 글로벌 시민상에서는 국제 사회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실천하는 책임감 있는 시민을 양성하고자 하므로 교실 속 수업만이 아니라 학교 밖, 평생 교육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글로벌 시민 교육은 규범적, 착한 시민성을 지향하는데 경제영역 등에서 소개되는 국제경쟁력 강화 등의 내용 부분에서는 자국의 이해관계와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어 글로벌 시민 교육과 국제 경쟁력 강화 내용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글로벌 시민 교육을 통해 오늘날 지구촌 사회에서 다른 국가, 다른 문화와의 관계에 관심을 갖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교사의 적극적인 수업의 구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gropes for strategi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o I used four global education content domains by Hyunduk Kim and et.(2005) which are global perspectives, cross-cultural awareness, global systems, and global problems and issues. And I developed four lesson plans in accordance with 4 content domains with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global citizenship. Through development of these lesson plans, I suggest as follows. Firstly, we can use various strategies such as the catechetic method, discussion learning, self-directed research study, cooperative learning, concept learning, web based learning as well as social participation, service learning, problem solving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Secondly, we should approach global education from continuing education including out of school as well as in school for responsible, practicing citizens. Thirdly, we should achieve harmony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good citizen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or national interests. So, teachers should prepare teaching materials and develop various strategies for global citizenship with active concerns.

      • KCI등재

        사회과 정치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연구

        옥일남(Ok, Il-Na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3

        본 연구는 사회과 정치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여 시기별 정치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고등학교 ‘정치’ 과목의 교육과정 중 내용 체계의 변화 과정에 중점을 두었는데, 역사적 변화 과정에서 사라진 내용 요소, 채택된 내용 요소, 시기별 채택된 분량, 채택의 의미, 과목의 통합·분리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창기 사회과 교수요목기에는 정치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제1차·제2차 시기에는 10개·11개의 요소를 선정하여 정치 교육의 기초를 체계적으로 마련하기 시작하였다. 제1차·제2차 시기에는 공산주의에 대한 방어교육을 위한 정치사상을 선정하여 보수적 정치 교육의 특성을 나타냈다. 사회과의 성숙 갈등기인 제3차 시기에는 정치·경제 통합과 ‘우리의 현실과 민족 중흥’ 단원 신설로 정치 내용 요소는 8개만 선정되어 최소한의 정치 교육이 이루어졌다. 제4차 시기에는 사회Ⅰ·사회Ⅱ 과목에서 10개가 선정 되고 제5차 시기에는 정치·경제 통합으로 11개가 선정되어 기본적인 정치 교육이 이루어졌다. 사회과의 성숙 갈등기에는 민주적 내용 요소가 많이 채택되지 못하고 최소한의 내용 요소로 국가 정책 위주의 제한된 정치 교육이 이루어져 정치 교육의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사회과의 본질 추구기에는 ‘정치’ 과목이 독자적으로 구성되어 체계적인 정치 교육이 이루어지고 민주적 정치 교육을 지향하기 시작했다. 제6차 시기에는 15개 요소가 선정되었으며, 민주적 정치 과정인 선거, 정당, 여론, 정치 문화, 이익집단 등의 요소가 2009개정 시기 이전까지 줄곧 선정되었다. 제7차 시기에는 17개가 선정되고 2007개정 시기에는 20개가 선정되어 체계적인 정치 교육의 경향이 확대되어 나갔다. 2009개정 시기에는 ‘법과 정치’의 통합으로 정치 내용 요소는 8개 선정되어 정치 교육의 본질적인 목표를 추구하지 못하고 있어 체계적인 내용 체계 선정이 요망된다고 본다. This is a study on ‘Politics’ curricular changes in Social Studies. I analyzed the elements of disappeared contents, adopted contents, contents’ quantity taken up, meanings of adoption, integration and independence with other subject in ‘Politics’ curricula of Korea historically. For it, I divided the curricula into early political curricular period(syllabu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1th, and 2th political curriculum), mature and conflicted political curricular period(3th, 4th, and 5th political curriculum), and essence-oriented political curricular period(6th, 7th, 2007 revised, and 2009 revised political curriculum). This study found some leading characteristics. Firstly, in early political curricular period, syllabus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authorities, first and second political curriculum laid the foundation of political education. Political ideas of communism in first and second political curriculum were adopted to fight communism, so conservative political education was designed by national intention. Secondly, in mature and conflicted political curricular period, democratic ‘Politics’ contents weren’t adopted a lot, and limited political education was designed by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 and conservative national policy. Thirdly, in essence-oriented political curricular period, ‘Politics’ subject was consisted of itself independently, at last it pursued democratic political education. So election, party, public opinion,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culture, interest group, etc. were selected in sixth curriculum and thereafter. But in 2009 revised curriculum, ‘Politics’ subject was integrated with ‘Law’ subject. So its political education was limited a little, but it is better than integration with any other subject.

      • KCI등재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양성평등교육의 구현 양상 탐색

        옥일남 ( Il 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오늘날 사회과 교과서에서 양성평등교육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양성평등교육과 밀접한 단원과 내용이 제시되는 초등학교 사회4-2, 중학교 사회2, 고등학교 사회문화, 법과정치 과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양성평등교육을 위해 선정된 주제나 소재를 보면 성 역할과 변화, 성 역할고정관념, 성차별 사례, 성차별의 원인,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노력이나 개선 방안 모색 등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 소재의 제시 방식을 보면, 생활 속 성차별이나 성 역할 고정관념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위해 가족 영역, 직장, 사회, 동화, 속담 등을 통해 삽화, 사진,통계 자료 등을 활용하여 구성하고 있었다. 셋째,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여성의 성차별 사례를 더 많이 제시하여 남성의 차별 사례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양성의 균형을 꾀하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였다. 넷째, 성 역할 구현 양상을 보면 전형적인 성 역할의 사례와 반대되는비전형적인 사례의 사진이나 삽화를 의도적으로 제시하여 성 역할 고정관념을 개선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양성평등교육을 통해 성의 제한을 받지 않고 남녀의 조화를 통해 인간의 행복을 추구하려는 목표가 제대로 구현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gropes for realized aspect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o I analyzed gender equality units of Social Studies 4-2, Social Studies 2, Society and Culture, Law and Politic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 found as follows. First, subjects and material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were changes in sex roles, examples of sexual discrimination, causes of sexual discrimination, improvement methods for gender equality. Second, presentation methods of learning matter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were illustrations, photos, graphs and tables in family relations area, workplace area, society, children``s classic stories, sayings, etc. Third, looking at sex distribution, sexual discrimination examples of female are much more than those of male. So the balance between female and male should be more equipped. Fourth, looking at realized aspects of sex role, the opposite examples of sex role, apart from a typical example were selected for improvement of sex role stereotype.

      • KCI등재

        초·중·고 헌법교육의 범위와 계열성 분석을 통한 현황 탐색 - 2015개정 사회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옥일남 ( Ok Il-nam ) 한국법교육학회 2017 법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2015개정 사회과교육과정에 나타난 초·중·고 사회과 헌법교육의 범위와 계열성을 분석하여 헌법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야 할 헌법교육의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분석 대상은 헌법 관련 내용이 제시되는 내용체계, 학습 요소, 성취기준, 성취기준해설이다. 이러한 대상을 통해 헌법교육을 위한 내용의 범위와 성취기준과 해설이 지향하는 구체적 성취영역을 살펴보고 이러한 것에서 나타나는 초·중·고 학교 급별 헌법교육의 계열성을 분석하여 헌법교육의 현황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중·고 헌법교육의 내용체계에서의 내용 범위를 고찰하면 초등의 경우 인권과 기본권, 의무, 국가기관을 다룬다. 중·고등의 경우 기본원리, 인권과 기본권, 정부 형태, 국가기관, 지방자치를 다루며 이 둘 간의 내용요소가 거의 동일하다. 둘째, 성취기준 및 해설에서의 구체적 성취 영역을 분석하면 지식과 기능 영역에 치우쳐 있다. 셋째, 초·중·고 헌법교육의 계열성 측면을 고찰하면 동일한 내용 요소가 반복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초·중·고의 경우 인권과 기본권, 국가기관이 반복된다. 중·고의 경우 기본원리, 권력분립, 정부 형태, 국회, 대통령, 정부, 법원, 헌법재판소, 지방자치가 반복된다. 성취기준의 구체적 성취 영역을 보면 초등의 경우 인식하고 실천하는 영역에도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나 중·고등의 경우 이해와 조사, 분석과 탐구 영역에 더 치중하고 있다. 그리하여 헌법교육의 개선을 위해 초·중·고 학교 급간에 발달 단계에 맞춰 나선형 교육과정의 원리를 제대로 구현하여 내용을 심화하여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헌법교육의 목표에 맞춰 헌법적 가치 질서를 내면 화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가치나 실천의 영역도 보강해 나가야 할 것이다. On the basis of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current scope and sequence for the constitution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explor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cribe the present constitutional education system in some detail, and to give you an overview of its improvement the scope and sequence of constitutional education.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elementary course of study was organized with the human rights, basic rights, duty, and national organization. Similarly, for the stud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he content was integrated with basic principle of constitution, human rights, basic rights, a form of government, national organization, and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The key contents of constitutional education were similar to each other and repetitiv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achievement index, students are skewed towards in-depth knowledge and skill.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e constitutional education to be re-organized in accordance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Moreover, the study argued that it should be the goal of the education to foster the internalization of value and attitudes of the constitutional system, and the practice of them in everyday life.

      • KCI등재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상호이해교육 방안 탐색

        옥일남(Ok, Il-Na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4

        본 연구는 남북한 초·중·고 사회과 관련 교과서의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일 논의 및 상대 체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초·중·고 교과서를 선정하였는데, 그 대상은 북한 교과서로는 도덕 및 지리 교과서이며, 남한 교과서는 도덕, 사회, 지리 교과서이다. 그리하여 상호 간에 통일 논의 및 상대방에 대해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 교과서에서는 김일성·김정일의 교시에 따라 핵심 내용이 소개되는 우상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또한 남한 사회에 대해 극단적인 비방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를 찬양하고 있었다. 남한 교과서에서는 특히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통일에 대해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이를 포함한 남한 사회과 관련 교과서에서는 통일의 필요성, 통일의 혜택, 통일을 위한 남북 교류의 과정, 지향하는 통일의 방향,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 등을 약간씩 담고 있으며, 북한의 이해를 위해 자연환경이나 북한의 개방지역, 비무장지대의 이점을 소개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남북한의 질적인 상호이해와 점진적인 소통을 위해서는 남북한의 시각을 교육하는 방안, 남북한 문화 이해 교육, 남북한 체제 이해 교육, 남북한 사회 이슈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내용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exploration of inter-Korean mutual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textbooks’ analyses. I analyzed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and the other system’s contents with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textbook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is study found some leading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textbooks. Firstly, idolization education with teaching by Kim Ilsung·Kim Jeongil in North Korea textbooks is suggested. Secondly, praise of the socialist system in North Korea is suggested through radical slander of capitalistic system in South Korea. This study also found some leading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textbooks. Firstly, most of all, unification contents of South and North is emphasized in elementary Morals textbooks.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outh Korea including Morals emphasized necessity of unification, benefit of unification, process of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expected direction of unification,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They also dealt with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Baekdusan, North Korean opening region, advantage of a demilitarized zone. Therefore, teaching of Southern-Northern perspectives, 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understanding education of Southern-Northern system, education of Southern-Northern social issues are required to develop inter-Korean mutual understanding.

      • KCI등재

        지역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사례 개발 - 초등 정치 단원을 중심으로 -

        옥일남 ( Il-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3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하기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학습의 단계를 구안하고 이 단계에 따른 수업 사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과정들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단계에 적합한 창의적문제해결학습 단계를 제시하였다. 적용한 단계로는 [문제의 도출 및 선정 → 문제의 파악 및 탐색 → 문제의 명확화 → 문제와 관련된 자료 찾기 → 문제의 원인 파악 →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탐색 → 문제해결책 모색 → 실천 방안 모색] 순이다. 단계의 적용을 위해 이 모형의 단계들을 초등 4학년 ‘함께 하는 주민 자치’ 중 ‘지역 문제의 해결’단원에 적용하였다. 이 단계의 적용 과정에서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도록 하고, 각 아이디어를 평가하면서 정교화 하도록 하고, 모둠 속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을 촉진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협업하면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하여 이 개발 사례의 적용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process and case of lesson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 used ‘The solution of the local issues’for the application of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I developed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as follows: production and selection among problems →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the problem → clarification of the problem → search datum related to the problem→ problem source identification → inquiring into ideas for solving problems → finding solutions to the problem → search for practical action plans. Then this process was applied to case of lesson of‘The solution of the local issues’of‘Citizen autonomy that are together’unit. The case of lesson was developed as follows. First, numerous ideas will be developed through inquiring into causes and solutions to the problem. Second, they will be elaboration through idea evaluation. Third, creative thinking skill will be promoted through group activities. So we can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hip such as creative thinking skill, problem-solving capability through application of this case of lesson.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사회과에 대한 관심 형성의 배경에 관한 생애사 연구

        옥일남 ( Il 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3

        This paper is an biography research on the preparatory teacher`s concern shaping of Social Studies. For this, I selected a preparatory teacher who graduated Social Studies for an informant. She told that she likes Social Studies, so she wanted to be a Social Studies teacher. I researched an biography to know the background of the concern shaping of Social Studies from her childhood. I looked into the informant`s recognition of Social Studies` classroom activities, the Social Studies teacher in her growth process with Social Studies textbooks. Also, I looked into the recognition of her disposition, influential charac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requent contacts with social phenomena lead to the concern shaping of Social Studies. The critical thinking causes the concern of social phenomena. With it she analysed the features of social phenomena, expressed her subjective thinking. For her critical thinking`s cultivation, her family background, critical teachers have influenced. Most of all, the meeting with Society-Culture` classroom activities brought about the deep interest of Social Studies. Finally, the Social Studies` special characters in relation to social phenomena called her atten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Social Studies` concern, school lessons, content, a family background, mass-media, teachers, critical temper operated synthetically.

      • KCI등재

        미국 `사회과교육` 교재 내용의 시기별 변천 분석

        옥일남 ( Il 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2

        본 연구는 미국 ``사회과교육`` 교재 내용의 시기별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1950년대부터 2010년까지 각 10년 단위별로 2~3권씩 선정된 총 14권의 미국 사회과교육 교재를 대상으로 사회과교육의 핵심 내용의 시대별 분포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그 결과, ``사회과교육`` 교재의 세부 하위 내용 영역으로는 목표와 본질, 사회과학과 사회과, 시민성 교육, 단원 설계, 교육과정, 수준별 설계, 통합, 교수 방법, 가치교육, 논쟁문제수업, 의사결정수업, 사회과 기능, 사회과 교수 자료, 사회과 평가, 사회과 교사, 세계 문제, 다문화교육 등의 17가지 요소가 선정되었다. 이러한 하위 영역들은 최소 2권의 교재부터 많게는 총 14권의 교재 모두에서 발견되고 있었다. 이들 요소들의 분석의 편의를 위해 주요 상위 내용 유형을 설정하였는데, 사회과의 성격, 사회과의 단원 조직, 사회과 교수 학습 방법, 사회과 기능, 사회과 학습 자료, 사회과 교사, 사회과 평가, 지구촌 사회라는 8가지 항목들이 그것이다.17가지 하위 내용 영역들 중 장과 절의 합계에 의한 등장 빈도 순으로 볼 때, 7권 이상 14권 모두까지 대다수 교재에서 선정되는 하위 영역으로는 사회과 평가(1위), 교수 방법(2위), 단원 설계(3위), 사회과학과 사회과(4위), 가치 교육(5위), 수준별 설계(6위), 교육과정(7위), 사회과 기능(8위), 사회과 교수 자료(8위)가 있었다. 시기별로는 사회과학과 사회과, 단원 설계, 교육과정, 교수 방법, 가치교육, 사회과 기능, 사회과 평가의 요소는 대체로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교재에 선정되고 있었다. 반면에, 5~60년대에는 선정되었으나 7~80년대에는 다소 주춤해져 선정되지 못했다가 90~2000년대에 다시 선정되고 있는 요소에는 목표와 본질, 시민성 교육, 교수 자료 등이 있었다. 그리고 특정 시기에 소개되다가 현대에 들어 대체로 선정되지 못하고 있는 요소에는 통합(70년대 소개), 사회과 교사(50년대, 61년) 등이 있었다. 한편, 90년대 이후 최근 들어 강화되어 선정되는 요소에는 다문화교육, 세계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사회과 교사 양성을 위한 사회과교육 교재에는 사회과의 목표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핵심 요소 중심으로 선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시대 상황에 따라 선정 상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는데, 기존의 교재 내용의 영향이나 사회 변동에 따른 새로운 요소의 부각이나 사회과 학습 환경의 새로운 변화에 의해서도 내용 선정 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미국의 교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재 내용 또한 이의 영향을 많이 받으면서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미국 이론의 단순한 소개를 벗어나 한국의 사회과 수업 상황과 시대적 목표에 적합한 내용으로 우리나라 사회과교육 교재를 구성해 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ontents`` periodical changes in U. S. Social Studies Education textbooks. I analyzed the 14 textbooks of them which are from 1950 to 2010 published. Through analyses of them, I found the periodical phenomena and main contents`` items of periodical changes in them. The results follow as below.Firstly, the 7 main contents of textbooks are the character of Social Studies, organizations of Social Studies, teaching method,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global society. Secondly, the 19 subordinate contents of them are the aim and nature of Social Studies, Social Sciences and Social Studies, civic education, unit design, curriculum,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tegration, teaching method, value education, controversial issue, decision making, reflec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skill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al materials,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teacher, world issue,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ly, contents which were steadily selected from 1950 to 2010 are Social Sciences and Social Studies, unit design, curriculum, teaching method, value education, skill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of Social Studies.Fourthly, the other contents were scattered according to peri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orld issue have been selected more than foretime during these twenty years. So, the main items of contents in textbooks have steadily selected during each period. However the others have disappeared or have appeared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

      • KCI등재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 활동 분석

        옥일남 ( Il 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사회변동과 문화`` 단원에 나타난 탐구 활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1년에 발행된 9종의 사회 교과서 내 312개의 탐구 활동 과제를 분석하였다. 탐구 활동의 주제 영역, 탐구의 영역 범주, 탐구를 지시한 방식, 탐구를 위한 제시 자료 유형을 분석하여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 활동의 현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 교과서의 탐구 활동 과제에는 진정한 의미의 탐구인 고차적인 탐구의 기능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탐구의 절차나 탐구 과정이 강조되지 않았다. 탐구 학습의 절차로서 학습자가 문제를 인식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게 하려는 탐구 학습의 논리는 이론에서만 강조되는 것이었다. 교과서 내 탐구 활동에는 바로 한국식 탐구 활동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 내용의 강조 차원에서 중요한 주제를 다시 한번 조사하는 과정을 거치게 하는 역할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는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학업 성취 수준의 내용과 교수·학습의 원칙과 방법을 적절히 취사·선택하여 반영해 낸 결과물이었다. 그리하여 탐구 활동은 학습자를 배려하여 흥미 있는 정보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에 주안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탐구를 진행하여 탐구 능력을 개발하기보다는, 탐구에 도움이 되는 사진, 통계그래프, 기사, 삽화 등 탐구 자료를 제시하여 정답을 찾아나가거나 문제 해결 방안 등을 모색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Social changes and Cultures`` unit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So I analyzed the 312 inquiry activities in 9 Social Studies textbooks issued in 2011. Through analyses of subjects, codes, directions, presented relevant materials of inquiry activities, I discovered the phenomena and meanings of them. There were no inquiry procedures or processes for higher-order inquiry skill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inquiry`` in inquiry activities. The processes as problem-awareness, making a hypothesis, data collection, analysis, drawing a conclusion were just a logic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ory. There were Korean-style inquiry activities in them. They were focused on the role of investigation of important subjects in main text of the unit as an emphasis basis. They were results of restrictive-reflecting scholastic achievement goals, teaching methods, and principl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the government. So the emphasis of inquiry activities was on providing interesting information materials for students. They were being led to find some proper answers or solutions of problems passively with the help of inquiry materials including photos, pictographs, articles, illustrations in textbooks, instead of developing inquiry skill with self-directed inquiry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