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15세기 조선 왕실이 택한 관요 자기와 선별배경

        오영인 ( Youngin Oh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8 陶藝硏究 Vol.- No.27

        본 연구는 조선시대 관요의 설치와 운영이 왕실의 요구에 따른 결과라는 점을 토대로 조선 왕실의 정 책과 인식이 관요 자기의 제작과 양식에 미친 직간접적인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15세기 경기도 광 주 일대의 가마를 중심으로 관요 설치에 따른 자기 제작양상과 추이를 밝히고, 조선 왕실이 보인 명 황실의 사여 혹은 진헌에 대한 태도와 명 제도의 수용, 그리고 자기에 대한 인식에 주목하여 관요 자기의 종류 와 선별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경기도 광주 일대 가마는 왕실이 요구하는 자기 제작을 주도하며 15세기 중반부터 다수의 백자와 함께 청자를 일부 제작하였다. 이는 15세기 후반 관요의 설치와 운영으로 이어졌고, 관요는 왕실의 요구를 반영하여 백자의 양적·질적 수준의 확보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백자 위주의 제작을 두고 단순히 유교적 국가에서 강조하는 검약에서 그 배경을 찾는 것이 기존 학계의 견해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이뤄진 15 세기 중반은 조선 왕조의 근간을 다지려는 노력과 함께 명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여러 노력을 기울이던 시 기였다. 더욱이 관요의 자기 제작양상은 당시 명대 경덕진요의 경우와 유사할 뿐만 아니라 명 황실이 조선 왕실에 공식적으로 전한 자기의 종류와 일정부분 일치하였다. 조선 왕실은 일찍이 명의 책봉국으로써 개국의 당위성과 문물 정비의 근간을 명으로부터 찾았고, 명 황실과의 우호적인 관계 하에 유교적 의례구조에 합당한 의전을 수행하며 독립 국가로써의 품위와 격조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명 황실은 조선 왕실에 여러 기물을 사여하고 칙서를 내림으로써 황실의 권위를 보여 주려 하였고, 조선 왕실은 사여 받는 것 자체에 큰 의미를 두었다. 조선 왕실의 입장에서 사여 받은 자기는 뛰어난 품질을 가진 대상이자 관리에 공을 들였던 대상이었다. 여기에 명 황제의 대리인인 사신으로부터 사용을 허락받았고 나아가 왕실용 기물의 범으로 자리 잡아 오랜 기간 관요 자기의 제작에 영향을 미쳤다. 당시 명 황실에서는 어기 및 제기로 백자가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왕실에 전한 자기의 대다수가 백 자에 해당하였다. 즉, 관요는 백자를 중심으로 제작함으로써 명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전해 받은 자기에 대 한 일종의 재현을 행하였고, 조선 왕실이 지향하고자 하였던 대상이 명 황실이었음을 보여주었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take note of direct or indirect impact of policy in the Joseon Dynasty valid in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 of Royal kilns ceramic. It determined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and the consequential alterations and characteristic of ceramic in Gwangjo, Gyeonggi-do the 15<sup>th</sup> Century, observed results carefully a Royal attitude granted ceramics by Ming, import of Ming system, perception toward the ceramics. Since the mid-15th century, some kilns in Gwangjo, Gyeonggi-do produced a little celadon with a number of porcelain by Royal demand. With the common opinion, it is a suggested background to produce focusing on porcelain thought based on Confucianism. Merely, the mid-15th century was a period trying to prepare a framework for Dynasty, to have respect to Ming in the Joseon. Really, the then characteristic of Royal kilns ceramic has echoes of that of Jingdezhenyao in Ming and granted ceramics by Ming. The Royal Court of Joseon Dynasty looked for appropriateness of the foundation and source of maintenance of civilization from Ming, would like to show dignity as an independent state with the friendly relationship of Ming. On the one hand, the Royal Court of Ming Dynasty granted the Joseon Dynasty many kinds of article to show the Imperial authority, the Royal Court of Joseon Dynasty would read too much into those. In other words, Ming imperial ceramics became accepted as screamers and valuables by excelling in management in the Joseon Dynasty. As heard from Ming envoy sent to the Joseon Dynasty, the Royal Court of Joseon Dynasty would use those by Ming's allowance and allegedly make a model in the manufacture of Royal kilns ceramic. Then the Royal Court of Ming Dynasty used porcelain as the dishes and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bestowed many porcelains on the Joseon Dynasty. In short, characteristic of Royal kilns ceramic in the Joseon Dynasty, on porcelain, deserved to be assessed to make a kind of return for Ming imperial ceramics. Furthermore, it showed the name of the Joseon Dynasty subject who tried to promote as the Ming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