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및 직업선택요인 차이

        오달희 상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 전공선택 동기 하위요인인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 따라 어떤 집단이 형성되는지 알아보고 이 집단들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의 재학 중인 대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전공선택 동기 척도는 정보연(2010)이 개발한 척도를 송윤정(2014)이 타당성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은 Betz와 Taylor(1983)가 개발한 진로결절 자기효능감척도(CDMSES)의 단축형인 CDMSES-SF(Betz, Klein & Taylor, 1996)을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번안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취업스트레스 척도는 황석원(1998)이 코넬대학의 스트레스 측정법Conell Mdeical Index : CMI) (Shepherdetal, 1966)을 토대로 개발한 척도를 강유리(2006)가 타당화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취업준비행동 척도는 어윤경 등(2011)이 개발한 취업준비행동척도 6개의 하위요인에서 예비적 직업탐색과 적극적 직업탐색요인을 발췌하여 수정하고 타당화한 진성현, 김경숙(2019)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업선택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형숙(2004), 문주현(2015)의 연구에 기초하여 이상미(2016)가 10개의 문항으로 선정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에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와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선택 동기의 내적동기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직업선택요인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직업관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성격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학교 환경스트레스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외적동기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잠재프로파일은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전공선택 동기 잠재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Mplus 8.6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한 결과, 잠재유형 프로파일 그래프 및 기술통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각 외적동기 약한 우세집단, 내적동기 약한 우세집단, 외적동기 강한 우세집단, 내적동기 강한 우세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구분된 4개의 유형별 특성에서 외적동기의 차이는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취업전망, 급여 수준, 사회적 평판 등 외적동기를 어느 정도 가지고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SPSS 26.0을 이용하여 일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 한 결과 내적동기 강한 우세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의 집단 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학업스트레스와 학교환경 스트레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업선택요인에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직업선택요인의 하위요인에서는 개인적 직업관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지만, 사회적 직업관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유형에 따라 진로설정 및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진로상담을 진행할 때 잠재집단의 특성에 따라 각 집단별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설계와 취업컨설팅을 진행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획일적인 취업 프로그램 운영 보다는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탐색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전공선택 동기 잠재집단에 따라 필요한 취업상담과 컨설팅을 제공하여 진로목표설정과 진로설계, 취업준비에 도움을 주어 취업성공 가능성을 높이도록 조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 대학생, 전공선택 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 잠재프로파일분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up that is formed according to internal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university student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group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tress,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election facto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30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The scale of motivation for choosing major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ong Yoon-jung(2014) through feasibility verification. Career determination self-effectiveness was based on CDMSES-SF (Betz, Klein & Taylor, 1996), a shortened type of career nodule self-effectiveness scale developed by Betz and Taylor(1983) and the employment stress measurement C Cornell(198).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cale was selected by Lee Sang-mi(2016) based on studies by Lee Hyung-sook(2004) and Moon Joo-hyun(2015), which were revised and revised by extracting preliminary job search and active job search factors from six sub-factors developed by Eo Yoon-kyung and othe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election factors of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The internal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onal occupational view, a sub-factor of job selec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such as personality stress, academic stress, and school environmental stress. External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choice factors,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tress.,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was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tress,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election factors. Second, the potential profiles of college students' major choice motivation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using Mplus 8.6 to confirm the potential type of major choice motivation,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named as the dominant group with weak external motivation, the weak internal motivation, the dominant group with strong external motivation, and the dominant group with strong internal motiv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xternal motivation in the four types of characteristics. This shows that most students choose external motivation such as job prospect, salary level, and social reputation when they choose their major. Thir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tress, and job-preparation behavior job sele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ype, one-way ANOVA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detail, Scheffe post-test was conducted and the most dominant group with strong internal motivation was the mo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of job-seeking stres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job-seeking stress, academic stress and school environment stres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factors of job sele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the sub-factors of job selection 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ersonal occupa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ocial occu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ach group to conduct concrete and systematic career design and employment consult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ential group when conducting career counseling by specificall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ffecting career setting and employ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exploring programs that can be practical and realistic rather than uniform employment program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necessary employment counseling and consulting according to the potential group of major choice motivation to help set career goals, career design, and job preparation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