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일 색채의 표준화를 위한 색채 관리 방안 연구

        오경선(Kyoungseon Oh),배유미(Yumi Bae),이주현(Juhyun Lee),문은배(Eunbae Moo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0

        여성들이라면 누구나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다양한 미용문화를 접하고 있다. 그 중 가장 쉽고 간편하며 다양하게 이미지를 연출 할 수 있는 네일아트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매니큐어"라는 용어의 사전적 정의는 "손톱 손질[손 관리]을 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실제 매니큐어의 용어는 "nail polish"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 및 교체가 간단하고 자유로운 미용제품으로 부담없이 구매하고 사용하는 "nail polish"에 대한 색채 관리 연구로 네일 색채의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표준화 관리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측색기를 이용한 실측 방법을 통하여 현 네일 색채의 분포를 조사한 후 판매자, 구매자, 관리자의 각각의 서로 다른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색채 관리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색채를 위한 색의 3속성의 개념과 정의에 대한 연구

        문은배(EunBae Moon),오경선(KyoungSeon Oh)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1

        색을 누군가에게 의도에 맞게 전달하거나 설명할 때, 또는 그 의미를 인지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표현되어져야 할 것은 색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 요소의 용어이다. 현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의 색은 단순히 도료나 안료 중심의 색상, 명도, 채도 중심이였던 과거의 색채 용어 개념으로는 그 뜻을 모두 포용할 수 없게 되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어의 속성에 따라 정리하고 세분화하여 새롭게 질서 체계를 정리하려고 한다. 색을 구성하고 3속성의 정의에 대해 기술되어진 책을 분석한 뒤 한국산업표준 KS A 0064와 CIE에서 1987년 발행한 International Lighting Vocabulary에 의거하여 세분화 단어를 정립한다. 첫째, 기존 연구되었던 지각 이론적 색채학에 입각하여 스펙트럼의 분광으로 물체색의 느낌을 표현하는 Spectrum 분광기반의 개념, 시지각의 지각적 경로 및 특성을 가지는 헤링의 4원색설 및 반대색설 기반의 개념, 빛의 혼색의 원리의 3자극 지각설 속성 기반의 개념으로 색상의 용어를 정립한다. 둘째, 먼셀시스템의 밝기의 기준이 되는 Value의 개념, 광원의 색과 상관없이 전체적인 빛의 세기만을 나타내는 Brightness의 개념, 백색면과 비교하여 무채색의 척도를 나타내는 Lightness의 개념으로 세분화하여 명도의 용어를 정립한다. 셋째, 먼셀시스템에 있어서의 색상의 포함 정도를 나타내는 Chroma의 개념, 빛이 가지고 있는 순수한 유채색성을 나타내는 Saturation의 개념, 빛이 얼마나 흰색에 가까운지에 대한 Colorfulness의 개념으로 세분화하여 채도의 용어를 정립한다. 색을 구성하고 있는 색상의 개념, 명도의 개념, 채도의 3가지 색채 용어의 개념을 새롭게 질서 체계로 정리하며 이를 통하여 현대 개발되어 지고 있는 미디어 매체나 디바이스 종속 체계등에 사용되어지는 색채속성에 대한 정확한 해석 및 효과적인 색채 교육자료의 근거로 사용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When we want to explain or convey a color as intended or when we recognize and interpret it,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we need to express is the terms which compose colors. In the past, three attributes of color, hue, value and chroma, pivoted on colorants and pigments; however, in this rapidly changing digital era, the existing three attributes of color cannot adequately describe the properties of each of those. In this paper, the three attributes of color were specifically defined and organized depending on properties of each term and trend. In advance, books defining three attributes of color were analyzed. Also, following International Lighting Vocabulary, issued by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A 0064 and CIE in 1987, the three attributes of color were established in a new manner. First, the definition of hue built on Newton’s spectrum theory, Hering’s opponent-color’s theory and tristimulus values. Second, value of Munsell color Order System, brightness which only includes light intensity regardless of the colors of sources of light and lightness which expresses achromatic color were applied to set up the definition of value. Third, chroma of Munsell color Order System, saturation which means chromatic color of pure light and colorfulness which shows how much light is chromatic were used for the definition of chroma. This newly organized three attributes of color aimed both of exact analysis of colors in media or digital devices and educational resources of those.

      • KCI등재

        환경 친화적 색채를 이용한 농촌 마을의 환경색채 연구

        문은배(EunBae Moon),한지원(JiWon Han),김영훈(YoungHun Kim),오경선(KyoungSeon Oh)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4

        2010년 이후 국내 환경색채디자인은 각 지자체별로 다양한 시도와 많은 선진 사례들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계획되어진 내용의 적용에 비해 실행적인 면에 대해서는 많은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농촌의 환경을 이해하지 못한 색채와 조형을 사용하여 마을과 이질감을 갖는 벽화 위주의 계획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 농촌 마을의 환경색채계획을 실행하기 위함으로써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넓은 의미에서 마을의 경관을 자연스럽게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대상지는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 일원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국내·외 자연 경관과 조화로운 마을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둘째, 대상지인 죽장리 일원에 대한 자연적, 인문적 입지 현황에 대해 조사한다. 셋째, 상위계획을 분석한 뒤 대상지의 자연물 및 인공물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다. 넷째, 주된 테마선정을 위해 연구 대상지의 마을 어원을 조사한 결과 ‘대나무가 많은 대밭’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죽장리 마을의 기본방향은 대나무 이야기(Bamboo Story)로 계획하였다. 본 계획에서는 대나무가 갖는 다섯 가지의 콘셉트 스토리로 농촌색채 마을을 계획하였다. 다섯째, 계획된 색채 기본설계를 보다 완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색채 팔레트와 KS A 0062에 기준한 정확한 색채 좌표를 도출하여 구체적으로 도면을 작성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죽장리 일원의 22개 건축물과 마을 내 담장에 자연친화적이며 마을 전체 아이덴티티를 가진 저채도, 저명도의 색채가 적용되어 주변경관과 조화로운 마을로 조성되었다. 주민들의 반응은 효과적이었으며 경관을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친자연적인 색이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어 이것은 농촌마을의 친환경적 사례를 선도적으로 실행할 것이며 나아가 다른 유사한 마을의 환경색채계획에도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제시되는 접근 방법과 실시설계는 다른 연구의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Domestic environmental color design has been vigorously researched since 2010 based on various attempts by local government and many cases of advanced applications, but has not produced much results in practical implementation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the planned details. Tha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plans are mostly based on wall paintings which do not blend harmoniously well with the villages and trigger a sense of alienation due to the use of colors and formative artistic features revealing ignorance of farming village environment.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mplement the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for farming villages which would blend well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ducing the spontaneous and natural formation of village landscape in a broader sense which ensures harmony with the landscape of adjacent area. For this study, the farming village located at Jukjang-ri, Seonsan-eup, Gumi-si was selected and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five methodologies as below: First,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villages harmonious with natural scene were analyzed and the related suggestions were derived. Second, the area in and around Jukjang-ri village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natural and humanistic location conditions. Third, the upper-level planning were analyzed, before analyzing current conditions of natural objects and artificial objects in the concerned site. Fourth, the basic direction for Jukjang-ri village was planned as "Bamboo Story", considering that the village name "Jukjang-ri" originated from the toponym meaning the bamboo grove in terms of the village etymology which was investigated to select major theme. Bamboo, was incorporated into the colorful farming village based on the 5 concept of bamboo in this study. Fifth, the specific design drawing was generated by deriving the correct color coordinates based on the color palette and KS A 0062 to ensure that the planned basic design can be applied with greater perf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cable directly to "Jukjang-ri" to initiatively implement the eco-friendly cases for farming villages and present suggestions for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for other similar villages. In addition, the approach and detail design, which are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guidance to o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