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산(晦山) 양재팔(梁在八)의 지역에서의 삶과 지향

        엄경흠 ( Eom Gyeong-heu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7 No.-

        양재팔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를 거쳐 살아간 김해의 문인이다. 그가 살았던 시대는 내외적으로 혼란이 극단으로 치닫던 때였다. 그의 생애는 이러한 시대의 변화와 거의 같은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그의 생애는 큰 변화를 중심으로 나누어보면 성장 모색기. 환로(宦路) 혼돈기. 은퇴 한적기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그의 생애 변화와 당대의 사회 변화는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의 성장 모색기는 1892년 과거의 급제로 환로 혼돈기로 넘어가는데, 이 시기는 1894년 갑오경장으로 과거제도가 폐지되기 2년 전으로 과거제도의 폐지가 있었다면 양재팔 자신도 평생 해왔던 과거 공부의 보람을 찾지도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보람도 잠시, 1892년부터 시작된 환로는 뜻하지 않은 1910년의 국권 상실로 그의 은퇴 한적을 자연스럽게 가져왔다. 양재팔에게 있어 가장 영향을 강하게 끼쳤던 인물은 어린 시절 스승 서파 양정환, 성장하고 난 이후의 스승 성재 허전이다. 아울러 성재와의 관계 속에 오랜 세월 심적 교유를 했던 노필연과 노상직이다. 이들은 부모님을 위한 공부로 보람이 되었던, 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른 혼돈의 환로기 18년을 제외한 나머지 50여 년 생애 동안 양재팔의 삶의 태도와 미래에 대한 지향을 유지하도록 한 인물들이었다. 사실상 이들과의 관계에서 이루어낸 학문과 교육의 태도가 그를 그답게 유지시켰던 바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은퇴 한적기 박필채, 문성준, 이광욱, 양재일, 김병훈 등 동래 선비들과의 교유 또한 그에게 교육이라는 미래의 지향을 꿈꿀 수 있도록 해주었다. 양재팔은 사실상 거창한 사업을 벌이거나, 치열한 삶의 태도를 보이거나 한 인물은 아니다. 그러나 혼란한 시대 김해라는 지역에서 제대로 된 김해와 김해 사람을 위해 스스로 실천하고 가르치는 교육자요 학자로서 살아간 인물이다. 그에게 있어 스스로의 태도는 스승의 뜻을 어기지 않고 떳떳하게 지켜야 할 군자로서의 실천이었으며, 그에게 있어 눈앞에 있는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지향은 바로 후학들의 교육이었다. Yang Jae-pal is a man of letters who lived in Gimhae(金海) aroun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is period was extremely chaotic both at home and abroad. His life developed almost the same as the changes of the period. His lifetime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of groping for growth, chaotic public service and leisurely retirement. And these shifts in him are nearly identical to the social changes in his era. His groping for growth period switched into that of chaotic public service in 1892 as he had passed first in the state examination called gwageo(科擧) two years before the gwageo system was abolished. If the system had discontinued before that event, he wouldn’t have been paid off for his study for the examination. The reward of the public post, however, didn’t last that long because the nation lost its sovereignty in 1910 and naturally he was forced to retire. Those who influenced Yang Jae-pal most are his boyhood master Seopa(西坡) Yang Jeong-hwan(梁禎煥) and his adulthood teacher Seongjae(性齋) Heo Jeon(許傳). In addition, also influential are Noh Pil-yeon(盧佖淵) and Noh Sang-jik(盧相稷) who associated with him for a long time. These figures made Yang Jae-pal maintain his attitudes towards life and future for some fifty years except for 18 years when he studied to please his parents and served as a public officer in confusion due to the changes of the period. His bearing in relation to learning and education result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m is the very foundation that made him what he was. During the leisurely retirement period, his social intercourse with such Dongnae scholars as Park Pil-chae(朴苾彩), Moon Seong-jun(文聲駿), Lee Gwang-uk(李光昱), Yang Jae-il(梁在日) and Kim Byeong-hun(金秉勳) led him to dream his own future-oriented educational dream. Yang Jae-pal is not a figure who embarked on a grandiose business or showed a fierce attitude to life but an educator and scholar who practiced himself and taught the people in Gimhae in the chaotic period only for the sake of the place and people. For him, a scholarly attitude is to practice as a man of virtue following his master’s will and an aim to overcome the reality at hand is to teach the disciples.

      • KCI등재

        [韓中詩史] 收錄 韓中 外交와 使行詩에 대하여

        엄경흠(Eom, Gyeong-Heum)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한중시사]는 한국과 중국의 오랜 관계 속에서 시의 창작이 가능했던 상황들을 제시함으로써 시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도록 한 점, 창작된 시의 표현을 통해 외교 상황을 이해하고, 서로의 외교 관계 변화에 따른 인식의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점, 시의 창수와 경쟁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시인들의 시적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점 등에서 대단히 유용한 책이다. 필자는 한중시사의 한·중 사행시를 살펴본 결과 시대 상황과 국제 관계에 따른 양국 사행시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읽을 수 있었다. 이러한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지적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과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절의 사행시는 설화에 가까운 이야깃거리로 인용하면서 제대로 된 고증을 하지 않았다. 둘째, 唐과 宋에 국한하여 金과 元 및 契丹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사행시가 전혀 없는 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李承休, 鄭夢周, 鄭道傳, 李崇仁 등 麗元 및 元明 교체기에서의 사행시에서 원과의 관계가 충분히 표현된 작품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급이 없다. 셋째, 중국 시인과 한국 시인의 시적 능력을 비교하는 내용을 제시하거나, 필자가 논평을 하여 한국 시인의 실수 및 시적 열등성을 표현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넷째, 중국 사절의 사행시는 단 한 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송시만 인용 하였다. 송시가 상당히 객관적인 외교 관계에 대한 인식을 보인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으나, 사행시의 특징인 다양한 외교적 상황의 묘사나 양국에 대한 상호 인식의 표현들을 볼 수 없도록 하였다. 다섯째, 중국 사절의 사행 및 사행시의 창작이 뒷시대까지 이어짐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시기에서 단절된 것처럼 정리하고 있다. 여섯째, 여금, 여원 관계는 마치 평화로운 상황만 처음부터 지속되었던것처럼 설명하고, 시를 제시하여 다양한 상황의 전개나 시의 표현을 볼 수 없도록 하였다. 특히 여원 관계에서 李齊賢, 李穡 등이 중국인들과 교유하고 증수한 예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용은 모두 빠뜨렸다. 필자가 [한중시사]를 읽고 이해하고자 했던 시기는 외교 관계의 모든 경우들이 혼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외교 행위에서 창작되어진 사행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가가 함께 하는 외교의 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제대로 제시하고, 다양한 시들을 제대로 고증 인용하여 외교 상황이 제대로 표현되고 있는지, 창수의 경우라면 서로가 어떠한 교류의 감정과 외교적 사고를 교환하고 있는지, 이를 통한 시의 전개와 발전은 어떻게 가능했는가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s a exceedingly useful book in such points as it makes us deepen poetry understanding by presenting situations possible to create poems in the long relationship of Korea and China, as it leads us to comprehend then diplomatic situations and changes of recognition in the bilateral diplomatic tie, and review poetic developments of two nations’ poets with a focus on poems created and exchanged competitively. After reviewing poems written by Korean and Chinese diplomatic envoys in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 could find out general changes in diplomatic poetry of both countries depending on international relations. In spite of above mentioned usefulness, the book has the following limits. First, Korean envoy’s diplomatic poetry is cited as a story similar to a folktale and its historical truth has not been ascertained. Second, the book limits its explanation to the Tang Dynasty and the Song Dynasty hinting there was no diplomatic poetr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Jin Dynasty, Yuan Dynasty and Khitan. For instance, even though such envoys as Lee Seung-hyu, Jeong Mong-ju, Jeong Do-jeon and Lee Sung-in described in their diplomatic poems the tie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Yuan Dynasty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Yuan to Ming Dynasty, no mention is made. Third, it presents contents comparing abilities of Chinese and Korean poets and points out errors and poetic inferiority of Korean poets in the author’s reviews. Fourth, all Chinese envoys’ diplomatic poems cited are farewell verses except one. These parting poems are in a sense positively received as they reveal a fairly objective recognition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ut descriptions of diverse diplomatic situations and their awareness, features of envoy’s diplomatic poetry, are not found. Fifth, though Chinese diplomatic envoys and their creation of poetry continued up to later years, the book concludes these activities were done in a particular period. Sixth, Only the peaceful period was explained as continued from the beginning of the ties between Goryeo and Jin, Goryeo and Yuan, and so it is not possible to see developments of various situations and poetic expressions. Especially, the cases that Goryeo scholars Lee Je-hyeon, Lee Sak and Lee Seung-hyu had mutual social intercourses with Chinese in the period of the Yuan Dynasty are all missing. The period I tries to understand by reading A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is the circumstances where all the cases in diplomatic relations were mingled. To comprehend the envoys’ poems created in these diplomatic acts, all situations occurring in the diplomatic field concerning many nations should be properly presented, diverse poems should be historically investigated and cited to confirm that diplomatic situations are rightly described, and what emotions of social intercourse and diplomatic thoughts transmitted in the cases of exchanging poems and through these literary exchanges, what poetic developments possible should be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