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적(胡適)과 풍우란(馮友蘭)의 노자(老子) 시기 논전을 통해 본 『중국철학사(中國哲學史)』의 성립 과정과 구미(歐美) 철학 연구방법론 영향 고찰

        양태근 ( Taekeun Ya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71 No.-

        In the 1920s-1930s, Hu Shih and Feng Youlan transformed the history of Chinese traditional thinking, its ideas, and narrative style to fit the modern history and structure of Western philosophy. By comparing the two, particularly their writings about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and its conflicting points - especially surrounding the book Laozi and the debate about its creation period - we can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 the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ical ideas and narrative style. The academic debate and discussion between Hu Shih and Feng Youlan, particularly about Dao De Jing and its creation date, influenced the modern academic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and the development of proper research methods. This debate could be regarded as a conflict between different research frames: Westernization vs. conservatism, Beijing University vs. Tsinghua University, and instrumentalism vs. neo-realism. Through these conflicts and debates, we can understand the foundation process for the modern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as a spectrum involving multiple aspects of modern academic conflict and competition. The foundation process for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was a significant development t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Chinese philosophy academic discipline. Using a microscopic analysis, this paper examines the way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actually emerged from the two different philosophy research methods of Dewey``s instrumentalism and

      • KCI등재

        연구 논문 : 펑유란(馮友蘭)의 중국철학과 철학 개념 고찰

        양태근 ( Taekeun Yang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6

        ‘중국에 철학이 존재하느냐?’와 같은 중국철학의 합법성과 같은 문제의식의 시작은 이러한 개념들이 처음 중국에 도입되던 시기부터 존재하였던 것으로 여전히 논쟁 중이다. 이러한 논의가 더욱 깊이 있는 심도를 가지려면 바로 펑유란(馮友蘭)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대해 우리는 펑유란의 개인적 사상의 발전경로를 따라 ‘중국철학’과 ‘철학’에 대한 미시적인 개념사적 이해를 하려고 한다. 펑유란의 철학 발전 경로는 중국철학사를 통해 ‘중국에서 철학의 발견’을, 또한‘신이학(新理學)’이라는 경로를 거쳐 자신의 철학체계를 세우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펑유란은 이렇게 ‘철학’이라는 매개를 통해 구미와 중국 전통을 넘어서는 새로운 철학을 기대한다. 이러한 철학이 가능하기 위해서 펑유란은 개념의 논리 분석적 이해를 통한 각성을 통해 궁극적인 깨달음을 추구한다. 펑유란의 중국철학과 철학의 추구는 이러한 대화합을 바라는 개인의 학문적 성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Feng Youlan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ioneers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Chinese philosophy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 offering a novel approach to understanding its fundamental concepts, and h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Western philosophy to China. Despite his success in establishing Chinese philosophy as a credible discipline within the Western world, however, the legitimacy of his viewpoint remains disputed in China. Feng Youlan considered Chinese Philosophy as an aspect of a generic World Philosophy, which combined both Western and Ea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into a unified ideal whole, but others still contend that “There is no philosophy as such;there are only philosophies.”

      • KCI등재

        1930년대 대만 향토문학과 대만화문(臺灣話文) ― 대만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양태근 ( Taekeun Yang ) 한림과학원 2016 개념과 소통 Vol.0 No.18

        1930년대 향토문학과 대만화문 논전은 대만신문학의 탄생을 알리는 서막이었다. 대만신문학은 과연 대만화문을 기초로 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중국표준백화를 기초로 하여야 하는지는, 1970년대 대만의식과 중국의식 관련한 첨예한 충돌과정에서도 중요한 논의 중 하나였다. 본 논문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1930년대 당시 논전에 참여한 수많은 대만 지식인과 1970년대 또 한 번의 향토문학 논전을 거친 대만문학사 관련 연구자들 자신이 강조하고 싶은 부분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 자신의 대만문학사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된다. 이렇게 서로 다른 서사 속에서도 1930년대 향토문학과 대만화문 논전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것은 바로 문학의 본질이 대중과의 소통에 있다는 사실에 대한 주목이다. 1930년대 향토문학과 대만화문 논전은 사실 당시에는 프롤레타리아문학을 추구하기 위해서, 노동자·농민과 더욱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 어떤 언어 도구를 사용할 것인가로 논전을 진행한 것이었다. 1930년대 이러한 짧은 시기의 논전은 어쩌면 대만신문학사에서 대만 자주성의 발현으로 담화일현(曇花一現)한 것이라 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문에서 논의한 1930년대 향토문학과 대만화문 논전이 중요한 이유는 1970년대 또 한 번의 향토문학 논전으로 새롭게 형성된 대만문학의 두 경향성 때문일 것이다. 즉 대만문학사 서술 경향이 대만의식과 중국의식으로 분열되자, 서로 다른 입장에서 일제 시기 대만신문학사에서 향토문학과 대만화문 논전을 새롭게 발견하고 주목하면서 자신들의 서사 정당성을 1930년대 향토문학에서 찾으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과연 무엇인가를 보려고 하는 의도 때문에 결국 본질이 변화될 수 있을까? 실제로 존재했던 대만신문학의 역사와 서술된 대만신문학사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본문에서 지적한 것처럼 “대만문학의 역사는 이렇게 다양한 서사와 시각의 스펙트럼 사이 어딘가에 혹은 그 다양성 모두의 총합에서 실존으로서 존재하고 있을 것이다.” 우리가 계속해서 문학사 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일 것이며 대만문학사의 또 다른 서사를 기다려야 하는 이유일 것이다. Vigorous debate about Taiwan nativist (regional) literature and about the unification of the spoken and the written language of Taiwan has been going on since the 1930s, and continues today. There have been explosive scenes of discursive struggle and associated social movements in Taiwan concerned with whether Taiwan nativist and regional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in the Taiwanese vernacular. The ideological concepts underpinning Taiwanese literature have been complicated by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Chinese and Taiwanese identity. In the 1970s, Taiwanese authors and literary researchers who had been exposed to various strands of Taiwan nativist (regional) literature formulated their own distinct versions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Each of them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what they wanted to emphasize, but common to all of them is the idea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lies in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In the 1930s the discussion revolved around what language tools should be used to get closer to the workers and peasants to encourage proletarian literacy. Thus, the consciousness of Taiwanese identity and its division from Chinese identity were mediated by Taiwanese literature, giving rise to new discussions: can its essence eventually change because of the intention to see something particular? Taiwanese literary history seems to have its own existence, distinct from the history of Taiwanese literature as a narrative. However, as pointed out in this paper: “The history of Taiwanese literature exists as the totality of all this diversity, integrating the whole spectrum of the various narrative and written histories of Taiwanese literature.” Indeed, we have every reason to continue to study Taiwanese literature, and to anticipate that it will create further great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