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 칼빈의 언약 사상에 나타난 믿음과 행위의 관계에 대한 이해 -아브라함의 언약을 중심으로-

        양신혜 ( Shin Hye Y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4 No.-

        릴백(Peter A. Lillback)은 칼빈의 창세기 17장 주석을 통해서 칼빈의 언약 사상에 나타난 조건성과 상호성을 논증하였다. 이 결과는 한편으로는 창세기 15장에 나타난 하나님 측에서의 일방적인 언약의 특성과 모순을 다룬 반면, 다른 한편으로 이것은 창세기 22장의 행위 언약의 토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칼빈이 창세기 15장과 17장에 나타난 아브라함의 언약이 지닌 일방성과 상호 조건성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창세기 15장에서 칼빈이 언약의 주체이자 인간의 행복한 삶을 주관하는 하나님께서 인생의 최정점에 있는 아브라함에게 다가와 그와 언약을 맺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 맥락에서 아브라함에게 내재되어 있는 본성적인 죄의 속성에 주목함으로써 칼빈이 창세기 12장에서 아브라함이 이미 하나님을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칭의를 필요로 하는 존재라는 점을 드러내었다. 이를 토대로 칼빈이 믿음과 칭의를 구분하고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창세기 17장 주석에서는 아브라함을 부르시는 화자로서의 하나님의 속성을 서술하여 하나님과 아브라함과의 관계를 강조함으로써 하나님의 언약이 지닌 상호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보였다. 이로써 제기되는 17장과 15장의 모순을 칼빈은 하나님의 속성과 더불어 17장의 언약은 15장의 언약에 대한 확증에 불과하다는 논지로 이를 극복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리는 언약과 약속을 개념적으로 구분한 칼빈의 사고에 토대를 둘 때 그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남을 입증하였다. 칼빈의 창세기 22장 주석에서 아브라함을 시험하시는 하나님의 본성 자체가 지닌 모순을 하나님의 신실하신 사랑과 권능에 대한 아브라함의 믿음으로 극복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아브라함의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서의 언약의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 문제를 칼빈은 17장에서와 유사하게 15장과의 연속성에서 해결하고 있음을 보였다. 이 연속성의 관점에서 칼빈이 앞서 먼저 이룬 하나님의 은혜의 언약이 행위에 전가됨으로써 행위의 의무적 조건을 이루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칼빈의 창세기 주석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칼빈은 인간의 본성이 지닌 죄로부터 의롭다 칭함을 받는 것과 믿음을 구분한다. 둘째, 하나님의 언약은 종말론적 차원을 포함하며 하나님은 역사적 과정에서 약속을 통해서 그 언약을 이루어 가신다. 이러한 맥락에서 창세기 15장, 17장 그리고 22장에 나타난 아브라함의 역사는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되어가는 약속의 역사로 드러난다. 칼빈의 주석에서 그는 종말론적 차원에서의 언약이라는 거대 구조 아래서 믿음과 행위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그 언약을 성취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역사에서 나타나는 믿음과 행위의 시간적 선후 관계의 문제는 그 의미를 잃게 된다. 다만 인간의 본질적인 죄로부터 자유를 얻게 되는 칭의와 하나님의 언약은 구체적으로 인간의 믿음과 행위에 근거한 응답을 통해서 이루어 가신다는 사실만이 부각될 뿐이다.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Works in his Thought of Covenant - Abraham`s Covenant in Genesis - Shin-Hye Yang (Anyang University) Peter A. Lillback demonstrates the mutuality and conditionality of Calvin`s covenant thought in his Genesis-commentary, Chapter 17. However, this result is, on the one hand, in direct contradiction to Chapter 15, Genesis. On the other hand, it provides the foundation for the binding of God with activity in Chapter 22. This paper, therefore, aims at showing how Calvin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pter 15 and 17 in his Genesis-commentary; in other words, how he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a one-sided and mutual covenant character. In Chapter 15, Calvin takes notice that God as the subject of the covenant and the source of a happy life is coming up to Abraham in his best life. This raises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justif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hapter 12 of Genesis. Calvin approaches this relationship through the sinfulness as nature of human. Calvin differentiates faith from justification. Calvin shows the mutuality and conditionality of God`s covenant by describing God as the speaker and by st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Abraham in his commentary Chapter 17. In addition, he argues God`s covenant consists of two: declaration of God`s gracious love and a sincere effort of people for perfection. It means that there is an obvious continuity between Chapter 17 and 15. Calvin demonstrates the former as a confirmation of the covenant of the latter. His logic is based on a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covenant and promise. In Chapter 22, Calvin presents that Abraham overcomes the contradiction of God`s nature by his faith of His sincere love and power. Here God`s covenant displays as a reward for Abraham`s behavior. Calvin solves this problem like in Chapter 17, b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pter 22 and 15. According to Calvin, God`s covenant of grace in Chapter 15 contributes to the very acting of Abraham, which fulfills God`s covenan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alvin`s Genesis-commentary is as follows. First of all, Calvin differentiates between faith and justification. It means that the believers also must be justified from sinfulness of human nature despite their faith in God. Second, the covenant implies eschatological dimension, and God fulfills it with promise in human`s history. In this context, Abraham`s covenant in Chapter 15, Chapter 17 and Chapter 22 in Genesis presents the fulfillment of God`s covenant. Therefore, the temporal successive relationship of beliefs and practices will lose its meaning on the level of large-scale structure of the eschatological covenant. It is highlighted that the believers should be justified from a sin, and God`s covenant is fulfilled through their responses of acting based on faith.

      • KCI등재

        칼빈의 종교적 관용에 대한 이해

        양신혜(Shin Hye Yang) 한국기독교학회 2013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5 No.-

        This paper aims at showing why Calvin deleted a sentence from his 1539 presentation of his moderate religious stance in 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of 1536. For this, I analyze the texts of 1536 and 1539 and I try to find his intent. Secondly, I attempt to explain Calvin`s attitude toward other religion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slam as a religion of Turks and Saracens, and Calvin as a Christian. From this, I show that Calvin`s concern changed from 1536 to 1539. While Calvin deals with excommunication from an eschatological perspective in 1536, he handles it ecclesiastically in 1539. In 1536 Calvin delays the decision regarding ``the reprobate`` and ``the people, who stays outside (the church)`` until eschatological times, leaving judgment to God, so the final determination is beyond the human realm. In contrast, in 1539, Calvin is interested in forming protestant religious identity differentiated from the Roman Catholic. In other words, Calvin is interested in the forming of a pure faith - the true Protestant Church. I conclude, therefore, that Calvin had deleted the sentence presenting his moderate religious tolerance owing to change of theological interests. Secondly, I try to explain the reason why Calvin`s deletion took place in relation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urope, especially through Calvin`s stance toward the Islam. Additionally, I analyse the texts mentioning Islam, Mohammad, Turks, etc. In this process I observe two facts: First, Calvin concedes that Islam and Christianity share Abraham as an ancestor of faith. From this, he asserts that Islam is away from the pure faith of Christianity. Second, his criterion for this is Islam`s regard for Jesus Christ, so Islam is heresy -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opens in a eschatological dimension. In conclusion, Calvin judges Islam as heresy, because Islam rejects Jesus Christ. So that the Church maintains the unity of a faith, Jesus Christ is the criterion, but he indicates the responsibility of mission is to be open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 KCI등재

        카스텔리오의 종교적 관용의 신학적 토대로서의 이성에 대한 이해

        양신혜 ( Shin Hye Y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4 No.-

        근대적 종교적 관용의 선구자로 평가를 받는 카스텔리오와 칼빈, 베자의 이단 논쟁을 통해서 그가 이성과 믿음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였는지, 계몽주의 형성에 끼친 영향의 공과를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세르베투스의 화형으로 촉발된 관용 논쟁의 저서인『이단에 관하여, 그들을 박해해야만 하는가?』를 중심으로 그의 이단 정의를 분석하였다. 카스텔리오는 이단을 둘로 나누어 그 의미를 도출하는데, 그는 교리적 차이는 주관적 견해에 불과하기 때문에 관용을 취해야 한 반면, 윤리적 행위를 판단하는 척도는 인간의 양심에 근거한 보편적 지식이기 때문에 이단으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여기에서 그의 이단의 척도는 ‘확실한 보편적 지식’임을 드러내었다. 이 척도는 교리적 차원에서도 이루어지는데, 이를 기준으로 카스텔리오는 근본교리와 주변교리로서의 아디아포라를 구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카스텔리오가 이성과 믿음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 지를 통해서 근대 계몽주의의 기초를 놓은 자인지를 보여주었다. 그는 의심의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의지의 결단을 믿음으로 이해하고, 이성에 기초한 보편적 확실한 지식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로써 그의 이성에 대한 이해는 당시 종교개혁자 칼빈의 이해와 상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대철학자와 사상가는 카스텔리오와 칼빈은 대립구도에서 평가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베자가 카스텔리오가 믿음과 이성을 구분함으로써 나타날 위험을 이미 지적하여 비판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카스텔리오가 믿음과 이성을 구분함으로써 베자가 직시한 것처럼, 기독교의 신앙 교리의 객관성을 포기하고, 기독교의 절대성을 상대적으로 전락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My paper aims at investigate merits and demerits of Castellio`s religious tolerance, who comes to his own as a pioneer of modern religious tolerance. For it, I want to research the controversy between Calvin, Beza and Castellio and through it, I want to know, what they understand relation between reason and faith. Firstly, I observed and analysed his definition of heresy. Castellio divided into ethical and dogmatic matters. It is obvious to punish someone in case of ethical misconduct. Because it is unambiguously yes or no. He regarded a reason as measure of determining of ethical behavior, because all have a conscience and reason which God bestowed in creation. Regarding spiritual matters, he defined first heresy as ‘opinion’ or ‘division’. Because in church history there are so many opinions on dogma. So, he divided into fundamental dogma and adiaphora. He argued it is unjust to punish someone because of the dogmatic difference in relation to adiaphora. In the contrary, Calvin regarded dogma as a foundation for unity in the church. He appreciated dogmatic consensus of church highly because he lead a establishing work of the protestant church separated from the Roman Catholic Church. Denying dogma meant for him dividing the church. Secondly, I observe that Castellio divided reason and faith, reason as a certain measure, but faith as doubtful. But faith is, according to Calvin, a sure confidence by the Holy Spirit. He appreciated dogma handed down through the church as an outcome of consensus of the Church. Dividing reason and faith has a decisive effect on Descartes, initiator of the Enlightenment.

      • KCI등재

        일반 : 칼빈의 프로테스탄트로서의 종교적 정체성 -시편 주석의 서문의 수비타 콘베르시오(subita conversio)를 중심으로

        양신혜 ( Shin Hye Y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1 No.-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alvin`s religious identity as a Protestant by analyzing Calvin`s negative views against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relation to this issue, the understanding of subita conversio i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Calvin-studies, because Calvin was using this word himself recalling his life in the preface of Calvin`s Psalm-commentary. Thus, it is required to carefully anlayse the word ``conversion,`` which involves the changing of the religious orientation and the adverb ``suddenly,`` which implies the method of conversion. First, I should pay attention that Calvin had written subita conversio by looking back to his past. It means that Calvin wasn`t interested in depicting ``when`` and ``how`` it happened, but it just informed the fact that this incident took place. Therefore, to predict when Calvin`s conversion happened goes beyond his intention. So, it is my task to find why Calvin had described here his life, although he seldomly talked about it. Through it, I derive the meaning of how and why Calvin devoted to God in any time in close relationship with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Secondly, I will note that the word subita conversio is closely linked to the word that means easy to learn or easy to accept (docilitas). In this way I will show that Calvin emphasized ``easy to learn`` rather than the word ``conversio.`` Through it, I will reveal that his intention is focused on step-by-step epistemological development by the study of the Bible. Thirdly, I am keeping in mind that the word ``conversion`` used by Calvin did not mean the changing of religion, but it means to draw clear lines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ism. In the context I will show what it means to have Calvin self-identity as a Protestant.

      • KCI등재

        고난 중에 핀 꽃: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

        양신혜(Shin Hye Y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중세의 붕괴를 낳은 흑사병은 종교개혁을 이끌었던 종교개혁자들에게도 목회를 방해하는 장애물이자 공동체를 와해시키는 걸림돌이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의 자리를 떠나 도망하는 목회자와 하나님의 진노인 흑사병을 피해 도망하는 것은 죄라고 주장하는 목회자들에 대항하여, 베자는 목회자로서의 어떻게 하나님의 사명을 감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서를 남겼다. 그것이 『흑사병에 대하여 알아야 할 것』 (A Learned Treatize of the Plague, 1579)이다. 그래서 베자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종교개혁자들은 흑사병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흑사병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대항하여 어떻게 흑사병을 통한 고난을 이해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고난의 자리를 베자는 어떻게 이했는지, 슬픔과 절망에 빠진 그리스도인들을 어떻게 위로하였는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삶의 동력을 어디에서 찾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흑사병으로 인한 공동체의 와해라는 위기 앞에서 그리스도인이 해야만 하는 윤리적 판단 기준은 무엇이며, 그 기준에 따라서 어떻게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지를 다루었다. 그리고 고난 앞에서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최대의 난제인 하나님의 자비와 섭리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베자가 중세적 대응을 넘어서 인간이 어떻게 이성적 논리에 근거한 일반 원칙과 양심의 확신을 윤리적 판단의 척도로서 삼아 기독교 윤리의 기초로 삼았는지를 보여주었다. The Plague, which destroyed the Middle Ages, was a stumbling for the Reformers to obstruct ministry as well as an obstacle to break a community. Some ministers leave the church with fear of death or some pastors also claim that plague is God’s wrath and fleeing from the plague is not to believe God‘s providence. Against it, Beza wrote the article “A Learned Treatize of the Plague”(1579). Therefore, I investigated how Beza explained agains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lague and how he responded to questions suggested from the plague. I found out what are the criteria of ethical judgement for the christian in the situation of collapsing of the community, and how to judg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Finally, I examined God’s mercy and providence in the suffering as the greatest challenge to Christians. In this I have shown how Beza goes beyond medieval reponses and uses rational principles and conscience as the basis of Christian ethics for ethical judgement.

      • KCI등재

        선택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에 대한 칼빈의 이해

        양신혜 ( Shin Hye Y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3 No.-

        칼빈이 루터주의자 훈니우스에 의해서 친유대주의자란 별칭을 얻었다는 것은 교회사에서 잘 알려진 일이다. 그렇지만 최근에 스타인메츠는 한논문에서 칼빈의 친유대적 입장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하였다. 여전히 칼빈 연구자들은 칼빈의 친유대적 입장을 옹호하고 있기 때문에 이 대립 구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가 하나의 과제로 떠오른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로마서 9-11장에 나타난 이방인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칼빈이 어떻게 이해했는지 살펴봄으로써 칼빈의 유대인에 입장을 간접적으로 규명해 보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삼는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칼빈이 로마서 주석에서 하나님의 선택보다는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이루어진 소명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섭리의 역사를 중요한 신학적 주제로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에 근거하여 그가 내적 소명과 외적 소명의 구분을 통해서 이방인들을 향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믿음의 구원의 길을 마련하였다는 점과 내적 소명에근거한 하나님의 섭리의 역사는 육체적 혈통의 외적 소명을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외적 소명을 지배하는 것으로, 내적 소명을 통해서 그 선택을 이루어가는 역사라는 점을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둘째, 칼빈이 로마서 주석에서 개인의 선택과 유기를 넘어서 민족의 선택과 유기를 표현하는 말라기 구절을 인용한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 구절을 통해서 그가 개인의 선택과 유기가 민족의 선택과 유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였다. 그렇지만 칼빈이 로마서 주석에서 말라기의 본문 주석을 인용한 목적은 하나님의 백성을 구원하고자 하는 한없는 은혜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셋째, 칼빈은 역사적 배경에서 이루어진 문법적 해석과 바울의 해석사이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지하였고, 이 간격을 언약과 약속이라는 개념을 구분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그는 약속을 하나님의 섭리 아래에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가는 구체적 실현의 과정이며 언약과 선택의 토대가 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와 달리 하나님과 아브라함의 언약은 종말론적 보편성을 함유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서 그가 성경해석의 역사적 간격을 극복했다는 점을 보였다. 넷째, 로마서 11장 26절에서 칼빈이 한편으로는 하나님이 선택한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적 공동체가 지닌 우위성을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교회적 차원에서 이방 민족을 포괄하는 구원의 공동체로서 이스라엘을 이해하였다는 점을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종말론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섭리의 차원과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역사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적 개념을 구원론적 차원으로 승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이로써 이스라엘은 민족적 개념을 넘어서 모든 민족을 포괄하는 영적 토대가 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로써 칼빈은 소명을 강조함으로써 개인과 공동체의 신앙을 구분하였고, 언약과 약속의 개념을 구분하여 역사적 적용과 종말론적 구원사역의 조화를 시도하였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는 역사적 개념이 영적차원으로 승화되는 과정에서 이스라엘이라는 민족 개념을 이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간격을 인지할 때 칼빈 연구에서 나타난 유대인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 간격도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릴것으로 기대된다. It is well known that Calvin was named by Hunnius as pro-Judaism in the church history. But Steinmetz recently posed a counterargument in his paper. However, Calvin-researchers have still advocated the opinion that Calvin has a position to advocate for the Jewish people. Here a problem comes up.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analyse the text Roman 9-11 and show, how Calvin understands the God`s covenant with Israel after the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Basing on the analysis, I indirectly try to show, how Calvin deals with the Jews. First, I show that Calvin is interested in the providence of God rather than the choice of God as an important theological theme; the calling of God and the faith as the principle dividing between Israel and the Gentiles. I suggest in addition that the history of providence of God is developed by juxtaposing the outward calling alongwith the inward calling with an emphasis on the latter, not by replacing it. Second,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Calvin cites the verse of Malachi in his Roman-commentary, when he mentions selection and abandonment of nations beyond individuals. Nevertheless, I show that Calvin aims to present God`s grace to save God`s people, al- though he knows that the selection and rejection of individuals is related to nations. Third, I suggest that Calvin is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a grammat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Genesis and Paul`s interpretation of it in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as the history of the providence of God. I demonstrate this through the fact that Calvin uses covenant and promise differently. Calvin understands covenant in the eschaological dimension and a promise as its historical application. In other words, a promise is based on the covenant and election, because the will of God is realized historically under the providence of God. Forth, Calvin asserts the superiority of the Israel as the ethnic community. On the other hand, he understands the Israel as a community of salvation in the ecclesiastical dimension. Calvin develops the national understanding of Israel in the soteriological dimension, by the application of the providence in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and by his faithfulness as the attributes of God. Israel had thus the spiritual meaning embracing all the nations. In conlusion, I argue that Calvin recognizes Israel`s priority as God`s people based on his election and on the other hand as ``new community`` including Jews and Gentiles in the spiritual dimension. He tries to reveal the concept nation as a process from historical to spiritual. He separates individuals from communities by emphasizing the calling, and harmonizes historical application and eschatological salvation by differentiating of covenant and promise. By understanding Calvin`s theology, I believe the difference of the two opinions in the Calvin-research can be reconcil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