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ADHD 성향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강인성과 성별의 조절효과

        안재순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trai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hardiness and gender on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the relationship.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344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2 to 16. Self-reported ADHD trait and perceived stress were measured, an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negative emotions were measured for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revealed that ADHD trait and str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hardi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DHD tra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hardi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HD trait and stress. And, perceived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trai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n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ADHD trait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moderated by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n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ADHD trait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only significant for mal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some variable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high level of ADHD trait.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ADHD 성향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ADHD 성향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스트레스가 매개하고 그것을 강인성과 성별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남녀 중학생 344명이고, 그들의 연령은 만 12세에서 16세 사이에 분포되어 있었다. 자기보고식으로 ADHD 성향과 지각된 스트레스를 측정하였고, 주관적 웰빙은 삶의 만족과 부정정서 및 긍정정서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의 ADHD 성향과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강인성은 주관적 웰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ADHD 성향은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강인성은 ADHD 성향 및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중학생이 지각한 스트레스는 ADHD 성향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그리고 ADHD 성향과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강인성의 조절효과는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강인성의 조절효과는 남학생에게서만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추후 ADHD성향이 강한 청소년의 정신건강이나 웰빙에 미칠 수 있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들이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독거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효과분석

        안재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독거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효과분석안 재 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크기와 조절요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독거노인 우울과 관련하여 2003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지 중 31편의 연구자료를 선별하고 CMA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독거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크기를 살펴보고 조절변인인 성별과 연구대상 특성에 따른 차이 여부를 살펴본다. 결론 및 제언: 전체요인의 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였으며, 요인군별 효과크기 차이는 심리정서보호요인, 심리정서위험요인, 건강관계요인, 사회적요인, 경제적요인, 가족관계요인, 일반특성요인 순이었다. 요인군별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건강관계요인군, 사회적요인군, 심리정서위험요인군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요인군별 조절요인 효과크기는 성별 전체에서 여성이 남・여성보다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 특성 요인군 전체에서와 사회적 요인군에서 취약이 일반보다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독거노인의 우울 감소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안과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노인, 독거노인, 우울, 영향요인, 메타분석 □ 접수일: 2022년 8월 4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조교수(Professor, Sahmyook Univ., Email: lucky603@syu.ac.kr)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the Elderly AloneJaesun 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size of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nd the effect siz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factors. The research data of 31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January 2003 to June 2022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 was analyzed using the CMA program. The effect size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examin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study characteristics, which are moderating variables, is examined. The effect size of the whole factor was the medium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of each factor group was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emotional protection factor, psychological emotional risk factor, health relationship factor, social factor, economic factor, family relationship factor, and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 The sub-factors of effect size by factor group showed differences in health relationship factors, social factors, and psychological emotional risk factors. The effect size of the moderating factor by factor group was larger in women than men and women in the whole gender, and the vulnerability was greater in the whole factor group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in the social factor group than in the gene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olicy countermeasures for reduc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concrete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Key Words: Elderly, Elderly Living Alone, Depression, Influence Factors, Meta-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