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능적 전기 자극을 적용한 전동식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안승헌,이윤미,양경희,An, Seung-Hun,Lee, Yun-Mi,Yang, Kyung-Hee 대한물리치료학회 2008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0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ait training with the use of a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for patients that had undergone subacute stroke.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nine subacute str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Korea. Outcome was measured using the timed Up and Go test, Fugl-Meyer-L/E assesment, with determination of the comfortable maximal gait speed, composite spasticity score, functional ambulatory category and Berg balance scale. All measured scores were recorded before, during, and after rehabilitation and at an eight-week follow-up. Results: Patients who received electromechanical-assisted gait training in combination with FES after subacute stroke were more likely to achieve independent walking, functional activities, balance and gait speed. Conclusion: The outcome of our gait-training program demonstrates that it may be practical to integrate FES into electromechanical gait training without any adverse effects. However,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if patient outcome after combined training is superior to outcome after the use of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treatment alone or conventional gait training alone.

      • KCI등재

        노인의 낙상 위험에 관한 TUG, BBS, FRT, OLST의 예측 타당도

        안승헌,김우기,이병권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2

        본 연구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1년 전 낙상 경험에대한 기록)로서 낙상 유무에 따라 4가지의 균형 평가인 Timed Up & Go test(TUG), Berg Balance Scale(BBS), Functional Reaching Test(FRT), One Leg Stance Test(OLST)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낙상 예측에 관한 선별 기준값과 예측 타당도 및 낙상과의 관련성을검증하고자 하였다. 낙상에 따른 일반의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χ2 )과크기 효과(size effect)를 각 평가에 대한 측정자간 신뢰도(Intra-class Coefficient), 측정변수들의 낙상 예측에 관한 선별 기준값(cutoff value)과 교차비(Odds ratio)를 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BBS의 선별 기준값은 < 42점, 민감도(82%)와 특이도(75%)가 가장 높고,OLST의 선별 기준값은 < 13.51초, BBS 다음으로 특이도(70%)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낙상을 예측하는데 가장 유용한 평가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BBS는 다양한자세조절에 관한 균형 평가가 가능하므로 낙상요소와 관련된 평가 항목에 대한 선택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과 OLST는 단시간에 낙상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BBS와 OLST는 신체적인 능력이 감소되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을 예측하는데변별력이 있는지 재평가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전향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독립 보행 예측 인자

        안승헌,이병권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 연구(Cros-sectional study)로서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독립보행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보행 속도는 5m 보행 속도 검사, 인지 기능(Mini Mental State Eaxmination-Korean version, MMSE-K), 마비측 하지 운동 기능(Fugl Meyer-Lower Extremity, FM-L/E), 하지 근력(Sit To Standing test, STS), 동적 균형(Berg Balance Scale, BBS), 체간 장애 척도(Trunk Impairment Scale, TIS)를 이용하였다. 보행 속도의 예측인자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전진 Wald)과 수용자 작업특성곡선(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을 이용하여 독립된 지역사회 보행예측에 관한 최적의 선별 기준값(cutoff value)을 구하였고, 예측 인자와 보행속도와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검정을 하였다.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 장애의 대표적인 특징은 느린 보행 속도이며 그에 따른 하지 근력과 마비측 하지 운동 기능, 균형, 체간 조절 수행 능력에 장애가 있다. 특히 독립된 지역 사회 보행(보행속도 > .8m/s)에서는 하지 근력과 마비측 하지 운동 기능이 가장 영향력을 주는 변수 이었고, 균형 능력과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STS < 11.44초, FM-하지 운동 기능이 > 27점인 경우 독립된 지역 사회 보행을 예측하는데 최적의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환자들의 보행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독립된 지역 사회 보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하지근력과 마비측 하지 운동 기능 증진을 위한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gait velocity of people with chronic stroke has relevance to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MMSE-K), Fugl Meyer-Lower Extremity(FM-L/E), Sit to Stand(STS), Berg Balance Scale(BBS), and Trunk Impairment Scale(TIS). Forty fou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screened with 5M Gait Velocity Test, MMSEK, FM/LE, STS, BBS, and TI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predictor of gait velocit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ld test) was used, and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ROC curve) was conducted to detect optimal cutoff value to predict independent community ambulation. Chi-square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 predictor and the gait speed. The findings shows that the typical feature of gait disturbance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was delayed gait velocity and the consequential disability in strength and motor function of paretic lower extremity, balance, and trunk control ability. For independent community ambulation with gait velocity of 0.08m/s, especially, FM-L/E and STS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evance to balance ability, whereas STS under 11.44 seconds and FM-L/E over 27 points was optimal variables identifying to predict of independent community ambul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provide intensive strengthening exercise and promote enhancing motor function programs of low extremities for people with chronic stroke to increase gait velocity, and perform independent community ambulation.

      • KCI등재

        뇌졸중 환자에 대한 체간 조절과 균형 및 일상생활동작 평가 도구의 비교 ; PASS, TCT, BBS, FM-B, MBI

        안승헌,이석민 대한작업치료학회 200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4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rrelations among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 Trunk Control Test(TCT), Berg Balance Scale(BBS), Fugl-Meyer Balance(FMB) Assessment, and Modified Barthel Index(MBI). Methods : The subjects were 43 chronic st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All patients were assessed on trunk control measured using PASS and TCT, on ADL using MBI, and on balance using BBS and FM-B.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earson product correlation. MBI & PASS scale among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e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for PASS-subscale, FM-B, TCT, BBS, and ADL incline.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SS and TCT (r=.79~.96), PASS & TCT, BBS, FM-B (r=.65~.82), and MBI (r=.75~.79).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BS & FM-B (r=.77~.78) and FM-B & BBS (r=.84)(p<.01). The walking item in the MBI sub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ASS-Maintaining Posture, Changing Posture, Total, FM-B (p<.001), TCT, and BBS (p<.01). The unsupported standing item in the PASS sub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ADL, FM-B, TCT, and BBS(p<.001). The PASS Total score was the strongest variance of the ADL (p<.01). The unsupported standing item of the PASS subscale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personal hygiene, bathing one's self, toilet, stair climbing, ambulation, and chair․bed transfer (p<.001), while supine to the affected side lateral and supine to sitting up on the edge of the table items showed the strongest variance in dressing(p<.001) and feeding (p<.01). Conclusion :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Further study on PASS, TCT, BBS, FM-B, MBI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목적 :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PASS, TCT)과 균형(BBS, FM-B) 및 일상생활동작(MBI)과의 관련성과 각 변수들과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 43명을 대상으로 체간 조절 평가(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 PASS, Trunk Control Test : TCT), 균형 평가(Berg Balance Test : BBS, Fugl-Meyer Assessment - Balance : FM-B), 일상생활동작 평가(Modified Barthel Index : MBI)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과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 PASS 자세 유지, 자세 변환, 총합은 TCT와 r=.78~.96(p<.01)으로 체간 조절 평가 도구간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SS, TCT는 BBS, FM-B(r=.65~.82), MBI(r=.75~.79)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1), BBS, FM-B는 MBI(r=.77~.78)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FM-B와 BBS는 r=.84(p<.01)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BI의 보행 항목이 PASS 자세유지, 자세변환, 총합, FM-B(p<.001), TCT, BBS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PASS의 지지없이 서기 항목이 MBI, FM-B, TCT, BBS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PASS 총합은 MBI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PASS 세부 항목 중 개인 위생, 목욕하기, 화장실 사용, 계단 오르기, 보행, 의자․침상 이동은 지지 없이 서기가 가장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식사하기는 누운자세에서 테이블 가장자리에 앉기(p<.001), 옷입기는 환측으로 돌아눕기(p<.01)가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PASS, TCT, BBS, FM-B, MBI간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변수들과의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예측 가능한 변수들을 제시 하였다. 또한 환자의 기능적 회복과 재활 치료 후 결과를 예측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찾아내어 그에 대한 집중적인 치료의 병행이 환자의 성공적인 재활 치료를 위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임상적인 평가도구로서 적극적인 활용과 그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들을 위한 한국어판 modified Version of Trunk Impairment Scale의 신뢰도

        안승헌,박대성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체간 장애 척도(modified Trunk Impairment Scale, mTIS)의 신뢰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만성 뇌졸중 환자 48명이 참여하였고 한국어판 mTIS의 신뢰도 분석은 측정자간 카파 계수(Kappa coefficient)와 관찰 일치비율(%)로 표기하였으며, mTIS 총점의 측정자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는 급간내상관계수(Intra class coefficient, ICC2,1)와 Cronbach’s α 계수로 표기하였고, 표준오차 측정(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과 최소 감지 변화(Minimal Detectable Change, MDC)를 이용하였다. 문항과 총점간의 상관성은 mTIS의 개별 항목과 전체 점수와의 관계를 스피어만 계수(Spearman coefficient) 로 표기하였다. 본 연구 결과 mTIS의 개별 항목 중 1~3, 6번 항목의 Kappa 계수는 .41~.58 로서 신뢰도 수준은 보통이었고, 4, 5번 항목은 .62, .64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관찰 일치 비율은 69%~79%이었다. mTIS의 Cronbach’s α=0.81로서 수용할만하였고, mTIS의 측정자간 신뢰도 ICC2,1=0.90(0.83~0.94), SEM과 MDC는 각각 1.07점, 2.97점이었다. mTIS 개별 항목과 총점과의 상관관계는 r=.63~.86으로 중등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mTIS의 신뢰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으로서 뇌졸중 환자들의 체간 움직임 시 보상 작용을 파악할 수 있고 천장효과 없이 질적인 체간 조절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과 기능적 수행능력과의 관계

        안승헌,조규행,An, Seung-heon,Cho, Gyu-Haeng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2 PNF and Movement Vol.10 No.3

        Purpose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Trunk Control Test(TCT),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TC), and Trunk Impairment Scale(TIS) and its subscales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MBI(Modified Barthel Index), BBS(Berg Balance Scale), and to establish the association between MBI, BBS, Fugl Meyer-motor function(FM-M), and to predict MBI-subscales from the variables. Methods : 58 stroke patients, att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me,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nk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he TCT, PASS-TC, TIS, and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daily living was obtained by MBI, and dynamic balance ability(by BBS). Trunk control scores from the difference MBI, BBS were compared using the 1-way ANOVA(Mann Whitney U test)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ADL subscale. Results : Trunk control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BI(F=2.139~13.737, p<.05~.001), BBS(t=3.491~7.705, p<.01~.001). I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 of the MBI(r=.25~.50), BBS(r=.38~.68), FMM( r=.31~.48).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additional,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TCT, in addition to the PASS-TC, dynamic sitting balance subscale of the TIS for measures of MBI subscales. Conclusion : Measures of trunk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values of MBI, BBS score, so the management of trunk rehabilitation after stroke should be emphasized. The us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cales was shown to be a good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general performance of the stroke patients. Further study about trunk control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 KCI등재

        뇌졸중 환자들의 축소형 Fugl-Meyer평가 척도의 상대ㆍ절대적 신뢰도와 타당도

        안승헌,박창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축소형 퓨글 마이어 평가 척도(Short Form-Fugl Meyer assessment scale: SF-FMA)의 임상적용에 필요한 상대ㆍ절대적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만성기 뇌졸중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축소형 FM-평가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 retest reliability)는 급간내상관계수(Intra class coefficient, ICC)를 측정 오차의 정량화를 위해 표준오차 측정(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과 최저 실제 차이(Smallest real difference, SRD)이용하였다. 축소형 FM-평가 척도와 원본 FM-평가 척도, 10m 보행 속도 검사, 앉고 일어서기 검사(Sit to Stand test, STS), 바델 지수(Barthel Index, BI),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의 관련성은 스피어만 계수(Spearman coefficient)로 표기하였다. 연구 결과 축소형 FM-상ㆍ하지, 총점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 ICC는 .94~.97(95% 신뢰도 수준 ≥.95)로 높았고, SEM(평균 점수의 10% 미만; 0.53~0.76점)과 SRD(최고 획득 점수의 20% 미만; 1.19점~2.11점)의 측정 오류 수준은 수용할 만 하였다. 축소형 FM-평가 척도의 상ㆍ하지, 총합의 동시타당도는 원본 FM-평가와 매우 높은 관련성이 있었고(r=.73~.86), 수렴 타당도는 10m 보행 속도(r=.57~.69), STS(r= -.52~-.70), BI(r=.65~.72), BBS(r=.68~.76)와 중등도 이상의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축소형 FM-평가 척도는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운동 기능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며 추후 유병 기간에 따른 축소형 FM-평가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기능 분석을 위한 ICF의 임상 적용

        안승헌,박대성,이석민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의 능력(capacity)과 수행(performance) 평가치의 신뢰도와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과 MBI(Modified Barthel Index)와의 기준관련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ICF에 경험이 있는 2명의 의사가 FIM과 MBI에 해당하는 항목을 ICF 항목과 연결시켜 10개 항목 중 3개의 범주인 이동, 보행, 자기 관리 항목을 추출하였으며, 모든 평가는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ICF의 수행과 능력 평가치의 측정자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는 급간내상관계수인 ICC(2.1)을 절대적 신뢰도는 SEM(Standard Error Measurement)과 SRD(Small Reference Difference)를 FIM과 MBI, ICF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ICF 능력과 수행 평가치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92(.95, .97), .98(.97, .99), SEM은 1.03, 1.09이었으며, SRD는 2.85, 3.02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ICF 능력 평가치는 FIM(r=-.97), MBI(r=-.90)와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ICF 수행 평가치는 FIM(r=-.73), MBI(r=-.69)와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ICF는 FIM과 MBI의 기준 관련 타당도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뢰할만한 기능 평가 도구로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는데 임상 연구나 실험에서 유용한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들을 위한 한국어판 Dynamic Gait I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안승헌,서현두,정이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Dynamic Gait Index(DGI)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측정자간, 검사-재검사간의 신뢰도 및 동시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26명의 참가자는 뇌졸중 발병 후 최소 4개월 이상이며, 도움 없이 최소한 10m는 보행할 수 있는 자로 하였다. 한국어판 DGI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조사하기 위해 3일 간격으로 2명의 독립적인 평가자가 2번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자간 신뢰도는 두 번째 검사에 2명의 검사자가 동시에 평가하였다. 총 점수와 항목별 점수 분석은 급간내 상관계수(ICC2,1)를 이용하였다. 10m 보행 검사, Timed Up & Go test(TUG), Berg Balance Scale(BBS) 결과를 상호 연관하여 동시 타당도를 검사하였다. 검사-재검사간 및 측정자간 신뢰도(ICCs)는 각각 .92, .88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낸 반면 단일 항목 점수에 대한 신뢰도는 .60 ~ .92의 수준을 보였다. 내적 일치도는 크론바 알파 0.89로 높았다. DGI는 BBS(r =.80)와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10m 보행 검사(r =-.76), TUG(r =-.79)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국어판 DGI는 신뢰도와 다른 균형 및 움직임을 평가하는 척도와 높은 타당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판 DGI는 뇌졸중 환자의 이동시 동적 균형을 평가하기 위한 유용한 임상 도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ynamic Gait Index(DGI) into Korea, In addition, is to examine the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DGI for people with stroke. A consecutive sample of 26 participants, at least 4 months post-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10m with or without a walking aid, 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independent raters rated performances on the DGI. The DGI was administered in 2 testing sessions 3 days apart. In the second session, the participants were rated by 2 rater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model 2,1, used to analyze total scores and item scores. Concurrent validity was tested by correlating results to the 10m Walking Test(10m WT), the Timed Up & Go test(TUG), and the Berg Balance Scale(BBS). ICCs for test-retest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otal scores were good (.92, .88, respectively) whereas reliability for single item scores was moderate to good (range, .60 ~ .92).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very high(Cronbach’s ??=.89). The DGI demon strated moderate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10m WT(r =-.76) and the TUG(r =-.79) and the BBS(r =.80). The DGI showed high reliability and showed evidence of concurrent validity with other balance and mobility scales. It is a useful clinical tool for evaluating dynamic balance in ambulatory people with stroke.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낙상과 자기 효능감 및 기능적 수행 능력과의 관계

        안승헌,이병권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3

        The study wer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lling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of patients after stroke as well as to determine what characterizes fallers who score high fall-related self efficacy, and nonfallers who score low fall-related self-efficac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69 subjects with hemiparesis being able to walk independently. Fallers were identified and patients answered the question in the Falls Efficacy Scale, Swedish version(FES-S). On the basis of their FES-S score, patients were divided into one group for low fall-related self-efficacy and one for high fall-related self-efficacy. The cognitive function and mood,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MMSE-K),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were used. Physical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used to measure balance(Berg Balance Scale, BBS), and mobility(Timed Up & Go test, TUG; Dynamic Gait Index, DGI), strength of lower limb(Sit to Stand test, SIT), Trunk control(Trunk Impairment Scale, TIS), basic activity daily living(Modified Barthel Index, MBI), limb paresis(Fugl-Meyer Upper/Lower Extremity, FM-U/E, L/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fear of falling are earlier falls and physical functions. Impaired physical func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fall-related self-efficacy, both in patients who had fallen and in patients who had not. Impaired physical fun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coring low fall-related self-efficacy, for both fallers and nonfallers. Fear of falling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physical function and fallers. FES-S is that it is a feasible, simple to use and reliable instrument that captures most patients who have a risk of falling.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 여부에 따른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이 기능적 수행 능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 69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피실험자들의 낙상 횟수와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Falls Efficacy Scale), 인지(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우울증(Geriatric Depression Scale), 기능적 수행 능력 평가인 동적 균형(Berg Balance Scale)과 이동성(Timed Up & Go test), 하지 조절 능력(Sit to Stand), 마비측 상하지 운동 기능(Fugl Meyer-Motor), 체간 조절(Trunk Impairment Scale),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Modified Barthel Index), 보행 능력(Dynamic Gait Index)을 평가하 였다. 낙상 경험에 따른 자기 효능감과 기능적 수행 능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Man-Whitney U 검정과 ??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은 낙상의 두려움과 관련한 이전 낙상의 경험과 기능적 수행 능력이 중요한 요소이었고, 기능적 수행 능력의 장애는 낙상 유무와 관계없이 낮은 낙상 관련 자기 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 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낙상을 예방하고 기능적 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낙상관련 자기 효능감을 강화시키기 위한 심리적인 치료적 중재와 더불어 기능적인 훈련이 병행 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