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귀멸의 칼날』 속 혈귀의 상징적 함의

        최주호(Joo-Ho Choi),안숭범(Soong-Buem Ahn)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4 스토리콘텐츠 Vol.- No.4

        원작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필두로 한 ‘귀멸의 칼날’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기록하여, 2010년대 이후 등장한 일본 문화콘텐츠 중 가장 주목도가 높은 작품이다. 그중 만화 『귀멸의 칼날』은 ‘귀멸의 칼날’ 시리즈의 원형 콘텐츠로서 해당 시리즈의 주제를 가장 완결성 있게 드러내고 있어 연구 가치가 높다. 본 고는 『귀멸의 칼날』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함으로써 작품이 지닌 사회문화적 함의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귀멸의 칼날』의 서사적 특이성은 작중 등장하는 ‘혈귀(鬼)’에 있다. 혈귀는 초반에 주동 인물이 쓰러트려야만 하는 절대악으로 묘사되나, 작품이 진행될수록 그 성격이 다층적으로 변한다. 이러한 혈귀의 특이성은 『귀멸의 칼날』의 서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작품의 주제의식과 연결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 선행연구에서 혈귀는 그 중요성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혈귀를 중심으로 작품의 스토리텔링을 분석하고자 한다. 스토리텔링 분석을 위한 방법론으로 안숭범의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을 사용했다.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혈귀를 중심으로 『귀멸의 칼날』을 분석하는 데 적합하다. 첫째, 사건이나 장면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서사 분석 방법론과 달리 캐릭터를 중심으로 작품의 서사를 분석한다. 둘째, 주동인물이 아닌 ‘부정적 인물’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귀멸의 칼날』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크게 조명받지 않았던 혈귀에 집중하여 작품을 해석했다는 점, 스토리 밸런스 방법론을 스토리 시간이 긴 발전형 길항서사에 적용할 수 있게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Demon Slayer” series, including the original manga and anime, has become extremely popular around the world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Japanese contents to emerge since the 2010s. Among them, the manga “Demon Slayer” is the original content of the “Demon Slayer” series and has a high research value as it reveals the theme of the series in the most complete wa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orytelling of “Demon Slayer” to reveal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work. The narrative uniqueness of the “Demon Slayer” lies in the ‘Oni’ that appears in the series. In the beginning, ‘Oni’ is depicted as an absolute evil that the protagonist must defeat, but as the work progresses, its character changes in a multilayered manner. The specificity of ‘Oni’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narrative of the “Demon Slayer”, which is ultimately connected to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work. However, in the current Korean literature, ‘Oni’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orytelling of the work by focusing on ‘Oni’. A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storytelling, I used Ahn's ‘Story Balance Model’. The story balance model is suitable for analyzing “Demon Slayer” centered on the ‘Oni’ in the following ways. First, unlike traditional narrative analysis methodologies that focus on events or scenes, this methodology analyzes the narrative of a work by focusing on characters. Second, the work is analyzed through the eyes of a villain rather than a protagoni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s the work by focusing on the ‘Oni’,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on “Demon Slayer”, and that it extends the story balance model to a developmental antagonistic narrative with a long story time.

      • 청춘영화 ‘스타’의 표상과 영화잡지의 상호작용성

        전동은(Dong-Eun Chun),안숭범(Soong-Buem Ahn)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2 스토리콘텐츠 Vol.- No.1

        1960년대 초반 청춘영화는 한국영화 1차 전성기의 중요한 맥락을 보여준다. 청춘영화는 당대 한국의 현실과 동떨어진 무국적의 공간을 구축한 후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이 담긴 서사로 젊은 관객층의 큰 호응을 이끌어낸다. 그중에서도 청춘영화라는 장르와 동일시될 정도로 큰 주목을 받았던 신성일, 엄앵란 콤비는 다양한 작품에 공동출연하며 개성적인 페르소나를 구축해나간다. 그들은 당대 청년 관객들의 욕망을 수렴한 분신으로서 스크린 속에 존재하며 대상화되거나 선망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신성일과 엄앵란이 공동 출연한 청춘영화 속 표상들을 살피며 이들이 영화 속에서 구축한 페르소나가 영화 바깥의 현실 정보와 교응하는 과정을 파악한다. 당대를 풍미한『실버스크린』은 가십에 편중된 잡지가 아닌 ‘스타’를 ‘배우’의 관점으로 바라본 전문지의 성격을 분명히 한다. 그럼에도 『실버스크린』의 기사를 보면, 영화 속 스타 콤비의 허구적 서사 정보와 자연인으로서 그들을 둘러싼 현실의 실제 정보가 미묘하게 착종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신성일과 엄앵란의 결혼이 청춘영화 속에서 지연되거나 불가능해진 ‘사랑의 결실’이 현실화된 것처럼 상상되기도 한다. 그들의 실제 결혼식이대중에게 허구의 세계에서 유보되었던 장면의 가시화, 지연되었던 서사적 완결점이되는 것이다. 요컨대 이 글은 영화 속 스타 표상과 당대의 영화잡지 기사를 함께 분석하면서 대중의 욕망과 스타 표상의 결속 과정을 밝힌다. Adolescent films from the beginning of the 1960s highlight important context about the first Golden Age of Korean films. Adolescent films created a stateless space that did not resemble the reality of Korea at the time. They were extremely popular among the young audience due to their narratives of rebellion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Shin Seong-il and Um Aing-ran, who were so popular as a couple that they were labelled as the symbols of adolescent films, co-starred in various films and created distinct personas. They existed within the screen as the alter egos of the young audience and portrayed the desires of the youth at the time. Therefore, they were often objectified or admire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ymbols in adolescent films that Shin Seong-il and Um Aing-ran co-starred in. It will use this analysis to draw conclusions on how the personas they created within the films corresponded to the reality outside of the screen. Silver Screen, a popular film magazine at the tim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alized magazine because it viewed 21 celebrities as actors and did not focus on gossip. However, the articles from Silver Screen display a tendency to subtly intertwine fabricated information about the celebrity couple from their movie’s narrative with the actual information from their reality as real people. For example, it is sometimes imagined that Shin Seong-il and Um Aing-ran’s marriage is the realization of the fruition of their love that was delayed or not possible in their adolescent films. Their marriage in reality became the visualization of a scene that the public did not get to witness in the fabricated world of the movies. In other words, their marriage acted as a narrative conclusion for the public. To sum up, this paper will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celebrities in movies with film magazine articles from that era. Based on this analysis, it aims to explore how the desires of the public can intertwine with the representation of celeb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