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부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기초연구

        안상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3

        Universal design is convenient design used in social science, medicine as well as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It's available for everyone not making specific thing for specific people. We need a wide range of environment regardless of changing outside space and getting old. If people can't recognize where they are, they can be tired, nervous and an accident can happen. Not only visual information but also other senses should be used to notice information, and it's desirable connecting to sign design and improving safety. In beauty, universal design's kindness and design should exist for everyone without disharmony. Considering specific users shouldn't cause inconvenience for other people. We have to pursue attraction such as joyful, pleasure, and friendly feeling introducing universal design. Each environment shouldn't forget its own characteristic by same thinking and methods. We can see unified facilities such as streetlight, bollard, and fence. It might be for getting rid of complexity and disorganization. Planting seasonal trees at the intersection and using scent of flowers for location information is very meaningful study. As this is first research, I expect it's applied to planning outer space. From now on, there shouldn't be inconvenience for all the people in all the areas. When it motivates people to try, universal design of outer space comes true. The reason why I decide 'A basic study on Universal design of Outer space' as purpose of study is that universal design is environment we meet and use a lot. When you see universal design's manual and trial street, you can know people feel necessity and increase awareness about universal design. I fel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studying many cases. Bollard, fence, streetlight and others have been designed independently. We have to make all the exterior space facilities harmonious and design them visually simple and stable. Then true universal design of outer space will be completed. 유니버설디자인은 건축, 도시건설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는 편리한 디자인이다. 특정한 사람들에게 특수한 이동환경을 만들어 주지 않고도 모두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이를 먹으며 신체조건과 외부공간이 변하는 것과 관계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폭 넓은 환경이 필요하다. 쉽게 자신의 위치나 목적지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면 피곤함과 불안을 유발하고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시각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오감을 활용해서 직감적으로 알 수 있는 외부공간을 실현하고 사인 디자인이나 공간의 연출, 안전성의 향상에도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름다움에는 유니버설디자인이 필요로 하는 배려나 디자인이 누구에게나 위화감 없이 존재해야한다. 특정한 이용자에 대한 배려로 인해 다른 이용자에게 불편을 유발해서는 안 된다. 유니버설디자인을 도입하며 즐거움, 재미, 친밀감 등의 매력을 지향해야 한다. 똑같은 발상이나 방법으로 인해 각각의 환경이 개성이나 매력을 잃어서는 안 된다. 일본 후쿠오카의 하카타역 주변은 가로등, 팬스, 볼라드의 디자인을 모두 통일시킨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복잡성과 시각적 혼란감을 없애려는 디자인 정책으로 판단된다. 이동의 효율성을 위해 계절별 대표 수목을 교차로에 식재하여 꽃과 잎의 향기를 후각을 통하여 위치정보로 활용하도록 한 방법 등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처음으로 밝히는 만큼 외부공간 설계 시 시범적으로 적용하기를 기대한다. 향후 모든 디자인, 모든 영역에서 모든 계층의 이용에 불편이 없어야하고 이용해보고 싶은 심리까지 유발할 때 진정한 외부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이 실현됐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외부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기초연구로 한 것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고 이용하는 환경이기 때문이다. 서울, 경기, 대전을 중심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매뉴얼과 시범거리 조성의 활동을 보면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필요성과 시민의 인식이 한층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외부공간에 대한 국내외의 사례들을 연구하면서 한일간의 많은 격차를 느낄 수 있었다. 그동안 볼라드, 팬스, 가로등, 배수시설 등이 각각 독립적으로 디자인되었다. 이제는 외부공간에 존재하는 환경시설물들이 조화롭게 유기성을 갖도록 하여 기능뿐만 아니라 유기적 관계성을 통하여 시각적 단순성과 안정성이 기반이 되는 디자인으로 전개될 때 진정한 외부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이 완성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유니버설 사인시스템의 관리방안

        안상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2

        정부와 기업은 물론 공공시설에 있어서 앞으로 우리사회가 맞이할 고령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북미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인 유니버설 디자인이 제품디자인이나 건물 등에 좀더 치중한다면 유럽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인클루시브 디자인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의 디자인까지 좀더 광의적인 개념이라 볼 수 있다.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개념이 도입되기 시작했지만 아직은 초기 상태이며 우리에게 익숙한 것은 유니버설 디자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하여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공공디자인에 있어서의 사인시스템으로써 뚜렷한 방향선정이 혼미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관심도나 적용성에 대한 개념은 확실해졌으며 단지 사인시스템으로써 종합적인 지침이나 관리방안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국내외의 여러 이론들을 살펴보고 표현과 표기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이후 관리방안에 대한 결론으로 정리하였다. 유니버설 사인시스템이 갖추어야할 요건으로는 배경색과 표기요소의 색은 명도차에 의해서 시인성이 판가름 나는 만큼 톤의 조절이 중요함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문자정보에 있어서는 괘선의 활용이 바람직하며, 사인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레이아웃에서는 화살표, 픽토그램, 서체의 순으로 배열해야하는 결론에 이르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에는 좀더 구체적인 표기법과 관리방안이 꾸준히 발표되기를 기대한다. Universal design is being accepted actively to prepare an aging society that government, business, and public facilities will be faced with. If Universal design, the therm that is mainly used in North America, focuses more to product design or building, inclusive design, the term that is mainly used in Europe, can be thought that is wide notion involving communication, service, and so on. Inclusive design is started to be accepted, but universal design is still more familiar to us. Many papers about universal design are being reported but direction as sign system of public design is not certain. But application and interest is certain and just overall guidelines and management of sign system is insufficient. Thus this researcher examined many theories and drew a conclusion about important consideration of expression and mark. Also, he concluded management that is made sinc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He knows ton's control is important because color of background and mark is notable by brightness gap. He concluded that a rule mark is advisable to letter and at layout that is the point of sign system, it has to be arranged following arrow, pictogram, and font. This researcher expects more definite marking method and management are reported based this research.

      • KCI등재후보

        신문변형광고의 특징에 관한 연구

        안상락,이종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4

        Diversity of advertising media market is making new competition system with mass communication's situation change. Decrease of newspaper's publication and difficulty of advertising business endanger the existence of newspaper. In this situation, change and research of newspaper advertisement is needed. Newspaper transformed advertising is already used in the Europe, but not in the East, It's started since 1990s in Japan, and Korea too. The kind of newspaper transformed advertising is various. The example of advertising is spread advertising of five steps in the left and right side and vertical advertising of generaled advertising in one eatch side, Advertising of L form in projection advertising on existing five steps, Advertising of U form in layouted small projection advertising on generaled low area, Top and bottom Advertising of layoutted the above and under in artic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revitalization of newspaper advertisement market with comparative analysis in merits and demerits of transformed advertising. At advertiser's position, special form becomes a means to promote consumer's attention. But at newspaper company, with opinion and discussion of advertising specialist and newspaper editor, it can know that article editing sometimes has difficult situation, Contrary to common advertising, transformed advertising attracts reader,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visual and headline's copy application in producing advertisement. However, if we use good idea fitted to transformed form, we can increase the effect of newspaper advertising and make new change in newspaper advertising market. 메스커뮤니케이션의 환경변화와 함께 광고미디어시장의 다양성은 새로운 경쟁체계를 만들고 있다. 신문발행부수의 감소와 광고영업의 어려움은 신문매체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문광고의 변화된 모습이 절실히 필요하며 신문변형광고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신문변형광고는 서구에서는 이미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동양에서는 많이 활용되지 않았다. 일본이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우리나라도 그 뒤를 이었다. 신문변형광고는 그 종류가 다양하다. 좌우 두 개 지면에 걸쳐 5단 광고가 이어진 스프레드 광고와 한 지면에 한 개의 세로 내리닫이 광고가 보편화된 좌우 세로내리닫이 광고, 기존 5단 광고에 돌출광고 한 개를 좌측에 얹어 놓은 형태의 L자형 광고, 지면 하단에 배치되는 일반광고에 작은 돌출광고를 지면 좌우에 배치한 U자형 광고, 기사면의 위와 아래에 놓인 가사 상하 광고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형광고의 장, 단점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향후 신문광고시장의 활성화에 있다. 신문변형광고의 특성상 광고주의 입장에서 파격적인 형태는 소비자들의 주목효과를 높이는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신문사의 입장에서는 기사의 편집이 어려운 상황도 있다는 것을 광고전문가와 신문사 편집자들의 의견과 토론을 통하여 알아볼 수 있었다. 일반광고에 비해 변형광고는 독자의 시선을 끌지만 광고제작시 비쥬얼 처리나 헤드라인 카피 적용의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변형 형태에 맞는 아이디어로서 잘 이용한다면 신문광고의 효과를 배가시키고 신문광고시장의 새로운 변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KCI등재

        Human Interface를 고려한 UD 적용연구

        안상락,박정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5 한국디자인포럼 Vol.11 No.-

        21세기 디자인은 획일화된 특성에서 벗어나 좀더 다양성의 사회를 존중하고 사용자에게 디자인된 상품의 혜택이 균등하게 배려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 구성원의 소수(Minority)를 위한 환경, 정보교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들을 살펴보고 Human Interface적 개념을 적용한 디자인 고찰과 문헌을 통한 필요성의 분석을 통해 새롭게 요구되는 방향성과 UD의 역할에 관해 구상해 보고자 한다. 또한 유니버셜 디자인의 개념과 원칙을 문헌자료를 통해 이론적 기틀로 삼았으며 국내, 국외의 유니버셜 디자인의 진행상황도 정리하였다. 그런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유니버셜 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윤곽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다. 사용자와 기기의 인터페이스 접점을 추출하므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주변환경의 정보기기를 쉽게 접근할수 있는 방법을 유추해 보았으며 앞으로의 HI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형성하는데 기반이 되고자 한다. Designs in 21 century might be ones, which got off stereotyped features. They should respect the variety in our society and they should definitely give users the more convenient usage including various benefits. Accomplishing Universal Design is satisfy variety of users in its usage and convenienc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system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environments for minority in our society and by analyzing of necessity through references and looking into the designs adopting the notion of human interface, mapped out newly needed directions and the roles of UD. In addition, the study set up the concept and principal of US as a theoretical base through references and checked out where domestic US designs is now. By presenting those examples, the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an overall outline of UNIVERSAL DESIGN. Furtherm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more convenient way to access I.T devices around us efficiently by finding out the contact point between users and devices. Hope it to be the foundation when it comes to forming HI design guideline.

      • KCI등재

        유니버설 웹 디자인의 색채 가이드라인 연구

        안상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3

        웹 디자인 가운데서도 스타일링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며, 많은 디자이너나 웹 마스터가 정보디자인을 포함하여 총합적으로 디자인을 계획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웹 디자인의 요소 중에서도 인간의 심리까지 영향을 미치는 색채가 갖는 힘은 무시할 수 없다. 심리까지 작용한다고 하는 것은 색채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실수로 색채를 잘못 사용하여 심리적 위화감이나 생각할 수 없는 실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색채가 가지고 있는 의미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안 되며 또한 색채는 그 자체만으로 특정한 의미를 연상시킨다. 더더욱 인간은 그 의미를 자연스럽게 느끼기 때문에 그 감각과 동떨어진 사용법을 적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어떤 일을 하기에 앞서 인터넷의 웹 사이트에서 필요로 하는 자료나 정보를 검색해 보는 것이 일상화 되었다고 생각한다. 여행을 떠나려할 때도 어떤 장소가 좋은지를, 또 어떤 경로를 통하여, 시간은 얼마나 걸릴 것인지, 날씨와 숙박시설의 환경은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는지 등을 검색한 후 결정을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은 복잡한 경로나 정보도 자택에서 컴퓨터를 통하여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인터넷의 웹 사이트는 편리하지만 고령자나 장애인에 있어서는 사용할 수 없거나 접근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웹 사이트의 장애요소를 없애는 것이 접근성을 배려한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혁명에 의해 빠른 속도로 성장해 가고 있는 웹 미디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시력상황이 좋지 못한 노약자나 어린이 등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좀 더 효과적으로 웹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요소들을 사례를 통하여 연구 분석한 결과, 배경색과 콘텐츠의 명도 대비를 최대로 하고, 명도대비를 크게 하지 못할 상황이라면 아웃라인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선영처리 함으로써 구분시키는 방법 등을 제시할 수 있었다. Among web design, influence of styling to users is important and there is no necessity for emphasizing that it is important for web master to plan designing synthetically involving information design. We can't ignore the power of color among elements of web design to affect human's psychology. Working on psychology means color users use color mistakenly then they can cause psychological sense of incompatibility or mistake that can't be thought. We have to understand th meaning of color and color brings up the image of specific meaning itself. And more importantly, we have to pay special attention not to apply to a remote instructions with that sense because human fe디 that meaning naturally. Lately, I think it's routinized to search the information from Internet web sites before doing something. When people go travel, they search where to go, how to go, the time to be wasted, and so on, then they decide. These complicating courses and information can be solved through Internet at home. Internet web site is convenient but it's hard for the elderly or the disabled to use it, so removing obstacles of web sites is design that considerates accessibility. I understood the characters of web media that is being developed rapidly by communication technology revolution, and I studied and analyzed the guide line elements for all the people involving the elderly or the young to use web sites effectively. At the result, I could know that the methods are maximizing the brightness contrast between background and contents, making outline, and creating clea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