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헬무트 틸리케의 언약신학 연구 - “역사 설립의 말씀으로서 율법과 복음”을 중심으로

        안계정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4 조직신학연구 Vol.20 No.-

        헬무트 틸리케의 교의학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역사 설립의 말씀으로서 계시”라는 부분이다. 역사 설립의 말씀으로서 계시는 크게 두 가지 교의로 구성되는데, 첫째는 “삼위일체론”이고, 둘째는 “율법과 복음으로 말씀”이라고 틸리케는 주장한다. 율법/복음론은 틸리케가 주장하는 대로 과연 삼위일체론과 동등한 교의학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가? 틸리케에 의하면 삼위일체론과 율법/복음론 사이에는 긴밀한 유비가 존재한다. 이 유사성은 삼신론(三神論)과 이신론(二神論)의 오해에서도 드러난다. 삼위일체론이 잘 못 이해되면 하나님의 통일성이 상실되어 삼신론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 세 인격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독립된 세 신들(three Gods)이 존재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양태론과는 정반대의 입장이다. 마찬가지로 율법/복음론 역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통일성이 상실되면 이신론으로 전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율법/복음론은 삼위일체론과 같이 역사 설립의 계시이다. 틸리케의 이러한 율법/복음론은 그의 언약신학이다. 율법은 하나님의 심판을 드러내지만, 복음은 하나님의 용서와 화해를 증언한다는 면에서 이 둘은 구분된다. 동시에 율법과 복음은 하나님의 언약(Bund)으로서 언약과 새 언약의 모습 속에서 구원사적 과정을 보여준다. 여기서 틸리케는 행위언약과 은혜언약이라는 개혁파적 개념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내용적인 면에서 일치되는 면이 있다. 율법이 하나님의 옛 언약으로 분명한 인간의 행위를 요구한다는 면에서 틸리케의 율법 개념은 개혁파의 행위언약과 일맥상통한다. 복음은 하나님의 새 언약으로서 인간의 전적인 믿음을 요구한다는 면에서 틸리케의 복음 개념은 개혁파의 은혜언약과 역시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틸리케가 율법/복음론을 삼위일체론과 같은 교의학적 구조에서 전개시키는 것은 개혁파 신학의 관점에서 볼 때 문제가 있어 보인다.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 양성론에서의 구별과 통일은 인격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율법과 복음의 구별은 기본적으로 말씀과 언약에 관한 것이다. 틸리케가 시도하듯이 신론에서 “율법의 주”와 “복음의 주”로서 하나님에 대해 주장해야한다면 이는 틸리케 자신도 걱정하듯이 새로운 이신론(二神論)으로 전락할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율법과 복음의 구분과 통일은 그것이 구원사적 과정을 말하는 의도라면 칼뱅의 구조처럼 인간의 타락과 그리스도의 구속 사이에 넣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most interesting part of Thielicke`s dogmatics is “revelation as history setting Word”. It is composed with two doctrines: first the Trinity and other Word as Law and Gospel. Can the doctrine ‘Word as Law and Gospel’ acquire the same dogmatic position as the Trinity? According to Thielicke there is a strong similarity between the Trinity and the Word as Law and Gospel. This similarity comes into sight in the misunderstanding of tritheism or ditheism. If the Trinity is misunderstood it could fall into the tritheism loosing the unity of God. There would be three independent gods, not three persons. Thus the Doctrine of Law and Gospel could fall into a dithesim if it would loose the unity as the Word of God. Therefore this doctrine is the same revelation of history setting as the Trinity. We can say that such concept of Thielicke on law and Gospel is his covenant theology. They should be distinguished as far as the law exposes God`s judgement, and the gospel manifests God`s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Same time they shows the redemption- historical progress as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ielicke`s concept on the law has a similarity with the conduct covenant of the Reformed as the law as the old covenant demands obvious activity of man. And his concept on gospel also approaches to the grace covenant of the Reformed as the gospel as the new covenant of God requires the total faith of man.

      • KCI등재후보

        틸리케의 역사신학과 윤리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안계정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Helmut Thielicke, known to us as merely a lutheran theologian, occupies a peculiar position in the contemporary theology. He made a series of critical debates not only with the mainstream theologians such as Karl Barth, Rudolf Bultmann and Paul Tillich, but also with the Neo-Lutheran Theologians as Paul Althaus, Werner Elert. These theological discussions led him to develop his own ethics and theology, which on the one hand accepts truly the the Reformation tradition of Luther and Calvin, and on the other hand makes it actual, not merely repeating and quoting it. This study aims to make it clear how the basic concepts of Thielicke's theology described comprehensively in his first theoloegomenum History and Existence had been developed and expended in the following period of Theological Ethics and of Evangelical Faith. In History and Existence Thielicke explicates that his concept begins with the problem, how the vertical reality of the revelation ca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and immanent reality. This historical-theological question is continually enlarged into the them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nd the theme of the God's Commandment and the fallen world in Theological Ethics. Here he asserts that the task of christian ethics ist not an effort to build universal validity of the norm, but a total interpretation and diagnosis on the conflict situation. Finally we suggest the meaning of Thielickes theology to the korean church. 우리에게는 단지 한 사람의 루터교 신학자로만 알려진 헬무트 틸리케는 현대신학에 있어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칼 바르트, 루돌프 불트만, 폴 틸리히 같은 20세기 현대신학의 ‘주류’뿐 아니라 파울 알트하우스, 베르너 엘러트 같은 에어랑엔의 신-루터주의 학자들과도 비판적인 대결을 벌였다. 이러한 대결을 통해 틸리케의 독특한 신학과 윤리가 발전되었다. 틸리케는 한편으로 루터나 칼빈 같은 종교개혁자들의 유산을 진지하게 수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이를 단순히 반복하고 인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새롭게 해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틸리케의 처녀작인『역사와 실존』에서 포괄적으로 드러난 그의 신학적 문제의식이 이어지는『신학적 윤리학학』에서 어떻게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발전되고 확대되는가를 밝히고자 함이다. 초기작에서 그의 신학적 문제의식은 초월적이고 수직적인 계시의 현실성이 어떻게 수평적이고 내재적인 세계현실성에 관계되는가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어지는 신학적 윤리학에서는 이 문제의식과 입장이 칭의와 성화, 하나님의 계명과 타락한 세계의 문제로 발전되고 확대된다. 여기서 틸리케는 기독교윤리의 과제는 어떤 보편타당한 규범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한계상황에 대한 총체적인 해석과 진단에 있다고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이러한 틸리케 신학이 한국교회에 던지는 의미를 제안할 것이다.

      • KCI등재

        칼뱅의 인간이해에 있어 “첨가된 속성”(adventitiam qualitatem)과 “본래의 특성”(substantialem proprietatem) 사이의 문제에 대한 연구

        안계정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8 No.-

        Calvin says in his Institute of Christian Religion(II.1.11): “We say then that man is corrupted by a natural viciousness, but not by one which proceeded from nature.” Continually he discerns a substantial property from an adventitious event: “In saying that it proceeded not from nature, we mean that it was rather an adventitious event which befell man, than a substantial property assigned to him from the beginning.” We have to prospect the whole structure of Calvin's Anthropology and apprehend his int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exactly in this complicated argument. The beginning point ist that Calvin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men of primal condition before the fall and the men under sin. He asserts that the men of primal condition was in perfect harmony of reason, intellect and volition. But by choosing the evil the men came to corruption and has been under pollution of sin. Calvin, however, does not say the fallen man ist not totally unworthy. "Supernatural gifts destroyed; natural gifts corrupted." That means the genuine knowledge about salvation was extinguished wholly, but the reason which had been assigned in the beginning remained still alive in spite of effect of sin. Thus the man, although he was fallen, can achieve amazing science and brilliant culture by using the reason as the gifts of nature. But Calvin emphasizes this ability came from the common grace. Like this Calvin's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is dialectical. The man is obviously fallen, but in light of the common grace he is the resonable being, who accomplishes his cultural responsibility. Thanks to this viewpoint the Calvinism was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ntire society by achieving excellent science and brilliant culture in spite of its doctrine of total depravity. 칼뱅은 기독교강요 제2권 1장의 마지막에서 이렇게 말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선천적으로 타락했으며 부패했지만 본성에서 타락이 온 것은 아니라고 우리는 주장한다.” 계속해서 개혁자는 대단히 철학적인 개념을 사용해 “본래의 특성”과 “첨가된 속성”을 구별한다. “우리는 그 타락이 본성에서 흘러 온 것이 아니라고 함으로써 그것은 처음부터 본성 안에 있었던 본질적 속성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온 첨가된 성질이라는 것을 가리키려 한다.” 이러한 칼뱅의 주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칼뱅 인간론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야 하고 그 속에서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칼뱅은 먼저 타락 이전의 원초적 상태의 인간과 타락 이후의 죄 아래 있는 인간을 조직적으로 구별한다. 원초적 상태에서 인간의 이성과 오성과 의지는 완벽하게 조화되었다. 이것이 칼뱅이 말하는 인간의 본래적 특성이다. 그러나 최초의 인간은 불순종을 스스로 선택함으로써 타락하게 되었고 죄로 오염되었다. 이렇게 죄는 본래적 특성이 아니라 의지의 타락으로 발생한 첨가된 속성이다. 그러나 칼뱅은 타락한 인간이 전적으로 무가치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처럼 “자연적 소질”과 “초자연적 소질”을 구분한다. 태초에 부여받은 초자연적 소질은 타락과 부패로 완전히 제거되었다. 그러나 본래적 특성으로 이성과 의지는 죄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다. 이 자연적 소질 덕에 자연적 인간은 비록 타락했지만 놀라운 학문과 찬란한 문화를 이룩한다. 그러나 칼뱅은 이러한 능력이 하나님의 일반은총에서 왔다고 단정한다. 이처럼 칼뱅의 인간이해는 변증법적이다.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한 존재이지만 일반은총의 빛 속에서 문화적인 책임을 다하는 이성적인 존재이다. 바로 이러한 사고 덕분에 칼뱅주의는 인간의 타락을 강조하면서도 뛰어난 학문과 찬란한 문화를 이룩하여 전체 사회발전에 공헌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의 경제적 양극화 문제 해소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안계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9 No.-

        Nobody could deny that the economical polarization is the most urgent issue in our society. It was the pending issue in the past 18th presidential election and is also one of the crucial government goals of Park administration. The polarization problem is important task and challenge for the korean church, because it has obviously social responsibility. At the same time participation and roll of church for resolving the polarization is also crucial to the society itself. As the polarization is the problem of total society, th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each social sectors is indispensible. In general the polarization appears as collapse of middle class, gap of industrial continuity and increase of social vulnerable class. Especially the statistics coming from "Gini coefficient" and "income-magnification" manifests the polarization more objectively and factually. These can be considered as fundamental causes of the polarization: policies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From policies of the Neoliberlaism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is a such policy that affects directly the polarization, which comes into appearance where the dismissal of laborer is legally ensured and irregular workers are increased. As a result the middle class is decreased, the polarization is more and more accelerated. The globalization is the process in which the Neoloberalism has been spreaded world widely. The FTA that demands in core the liberalization of import and banking brings about fatal damages to some domestic businesses, and they consequently would come to be taken off from the market. First, the value of humanity indicates the most important direction in efforts resolving the polarization.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law of the jungle is the rule of animal world; they can not be the law of human world. The man who was created from the image of God is the being that has reason and will different from the animal. He is able to open the way to co-existence and equality not to auto-destruction and co-destruction. The society is not the world of animals but the world of human beings. Second, the polarization problem has to be resolved on the basis of commonality-value. Where the Neoliberalism is spreaded, there emerge monopolistic markets, non free markets. So the truly free market is possible only there where the commonality-value is dominating; it is realized in regulations for life and co-existence. The market was for the commonality from its birth, and it will be so continually. From that reason the legal protect of byway commercial sphere becomes important. Third, the polariz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view of solidarity, not of charity. The christian ethics grasps the solidarity as contract one. It is very well-known fact that the social insurance of German as the first social insurance in the world is dependent of the christian idea and value of solidarity. And it demands, first of all,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unemployment insurance. 지금 우리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서 ‘사회 양극화’ 문제가 꼽히고 있다는 점을 부인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양극화문제는 지난 18대 대선에서 매우 중요한 현안이었으며, 현재 박근혜 정부의 중요한 국정목표 가운데 하나이다. 양극화 문제는 한국교회에게도 중요한 과제이며 도전이다. 왜냐하면 교회는 사회적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회의 참여와 역할은 사회에게도 중요하다. 양극화 문제는 사회 전체의 문제이기에 따라서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사회 각 부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양극화는 일반적으로 “중간층의 붕괴, 경제 부문 간 산업 연관의 단절, 사회적 배제층의 증대”라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 배율”이라는 통계는 양극화 현상을 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무엇보다 신자유주의 정책과 글로벌화를 들 수 있다. 신자유주의적 정책들 가운데 양극화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시장의 유연화이다. 이것은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법적으로 명문화하고 비정규직을 확대하는 곳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노동시장 유연화는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을 확대재생산함으로써 결국 근로자들과 자영업자들의 소득을 하락시킨다. 그 결과 중산층은 서서히 줄기 시작해서 양극화를 가속시킬 수밖에 없다. 글로벌화는 신자유주의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이다. 글로벌화의 제도적 산물로서 FTA는 수입 자유화와 금융 자유화를 핵심으로 하는데, 그 결과 경쟁력이 취약한 국내 산업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고 결국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수출 부문과 내수 부문 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중산층의 몰락을 더욱 가속화시켜 소득 양극화를 고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양극화 해소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핵심적인 가치를 제시한다. 첫째, 인간성의 가치는 파멸적인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준다.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은 동물의 법칙이지 인간사회의 법칙이 아니다. 신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은 동물과는 달리 이성과 의지를 지닌 존재이다. 토의와 합의를 통해서 자멸과 공멸의 길이 아닌 상생과 평등의 길을 열수 있다. 인간이 모여 사는 사회는 동물의 세계가 아니라 인간의 세계이다. 둘째, 양극화 문제는 공동체성의 가치 위에서 해결되어야 한다. 신자유주의가 확산되는 곳에는 자유로운 시장이 아닌 독점적인 시장만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진정 자유로운 시장은 오로지 공동체성의 가치가 지배하는 곳에서만 가능하다. 그것은 생명을 위한, 상생을 위한 규제에서 실현된다. 따라서 규제는 시장에서 개인과 기업의 자유와 창의성을 억누르는 족쇄가 아니라 자멸과 공멸을 막아주는 최소한의 제동장치이다. 시장은 그 탄생부터 사회공동체를 위한 것이었으며, 계속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골목상권의 보호는 매우 중요하다. 셋째, 양극화 문제는 시혜의 관점이 아니라 연대성의 관점에서 접근되고 해결되어야 한다. 기독교윤리는 연대성을 계약적 연대성으로 파악한다. 세계최초의 사회보험 제도로 인정받고 있는 독일의 사회보험이 기독교적 연대성 이념과 가치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연대성의 가치는 양극화 해소를 위해 무엇보다 고용보험의 확대와 강화를 요구한다.

      • KCI등재

        일반 : 칼뱅의 인간 이해에 있어 “첨가된 속성”과 “본래의 특성” 사이의 문제에 대한 연구

        안계정 ( Kye Jung Ahn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8 No.-

        칼뱅은 기독교강요 제2권 1장의 마지막에서 이렇게 말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선천적으로 타락했으며 부패했지만 본성에서 타락이 온 것은 아니라고 우리는 주장한다.” 계속해서 개혁자는 대단히 철학적인 개념을 사용해 “본래의 특성”과 “첨가된 속성”을 구별한다. “우리는 그 타락이 본성에서 흘러 온 것이 아니라고 함으로써 그것은 처음부터 본성 안에 있었던 본질적 속성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온 첨가된 성질이라는 것을 가리키려 한다.” 이러한 칼뱅의 주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칼뱅 인간론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야 하고 그 속에서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칼뱅은 먼저 타락 이전의 원초적 상태의 인간과 타락 이후의 죄 아래 있는 인간을 조직적으로 구별한다. 원초적 상태에서 인간의 이성과 오성과 의지는 완벽하게 조화되었다. 이것이 칼뱅이 말하는 인간의 본래적 특성이다. 그러나 최초의 인간은 불순종을 스스로 선택함으로써 타락하게 되었고 죄로 오염되었다. 이렇게 죄는 본래적 특성이 아니라 의지의 타락으로 발생한 첨가된 속성이다. 그러나 칼뱅은 타락한 인간이 전적으로 무가치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처럼 “자연적 소질”과 “초자연적 소질”을 구분한다. 태초에 부여받은 초자연적 소질은 타락과 부패로 완전히 제거되었다. 그러나 본래적 특성으로 이성과 의지는 죄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다. 이 자연적 소질 덕에 자연적 인간은 비록 타락했지만 놀라운 학문과 찬란한 문화를 이룩한다. 그러나 칼뱅은 이러한 능력이 하나님의 일반은총에서 왔다고 단정한다. 이처럼 칼뱅의 인간이해는 변증법적이다.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한 존재이지만 일반은총의 빛 속에서 문화적인 책임을 다하는 이성적인 존재이다. 바로 이러한 사고 덕분에 칼뱅주의는 인간의 타락을 강조하면서도 뛰어난 학문과 찬란한 문화를 이룩하여 전체 사회발전에 공헌하였다. Calvin says in his Institute of Christian Religion (II.1.11): “We say then that man is corrupted by a natural viciousness, but not by one which proceeded from nature.” Continually he discerns a substantial property from an adventitious event: “In saying that it proceeded not from nature, we mean that it was rather an adventitious event which befell man, than a substantial property assigned to him from the beginning.” We have to prospect the whole structure of Calvin`s Anthropology and apprehend his int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exactly in this complicated argument. The beginning point ist that Calvin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men of primal condition before the fall and the men under sin. He asserts that the men of primal condition was in perfect harmony of reason, intellect and volition. But by choosing the evil the men came to corruption and has been under pollution of sin. Calvin, however, does not say the fallen man ist not totally unworthy. “Supernatural gifts destroyed; natural gifts corrupted.” That means the genuine knowledge about salvation was extinguished wholly, but the reason which had been assigned in the beginning remained still alive in spite of effect of sin. Thus the man, although he was fallen, can achieve amazing science and brilliant culture by using the reason as the gifts of nature. But Calvin emphasizes this ability came from the common grace. Like this Calvin``s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is dialectical. The man is obviously fallen, but in light of the common grace he is the resonable being, who accomplishes his cultural responsibility. Thanks to this viewpoint the Calvinism was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ntire society by achieving excellent science and brilliant culture in spite of its doctrine of total depravity.

      • 경제적 약자에 대한 한국교회의 책임

        안계정(Kye Jung An)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2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3

        월터스토르프는 하나님의 가난한 자의 편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성경을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이스라엘의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는 가난하고 압제당하는 자의 편을 든다고 말하며, 카이퍼와 바르트도 비슷한 주장을 폈다고 한다. 그렇다면 정말 하나님은 가난한 자의 편인가? 모세율법에서 하나님은 고아와 과부들에게 정의를 행하는 분이시다. 약자들의 편을 들고 그들에게 떡과 옷을 주는 구체적인 행위 속에 야훼의 정의는 현존한다. 이스라엘은 이집트 땅에서 고된 강제노동에 시달리던 노예였고, 모세의 지도로 홍해를 건넌 후에는 시나이 반도의 광야를 떠도는 유랑민이었다. 그러므로 출애굽과 광야에서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가난하고 약한 자들의 하나님일 수밖에 없다. 그 결과 후에 이스라엘 공동체가 그 안에 있는 사회적 약자들을 돌보고 보호해야할 책임과 의무는 한 때 모두가 이집트에서 종살이를 했다는 이 공통의 역사적 현실성 위에 서있다. 주전 8세기부터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히브리 예언자들의 사회적 메시지는 새로운 사회개혁 프로그램을 도입하자는 것이 아니라 고아와 과부를 제도적으로 보호하라는 율법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신약성경에도 구약 못지않게 가난한 자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있다. 예수와 그의 제자들은 당시 사회에서 실제로 가난한 자들이었다. 예수는 하루 일당을 받는 '일용직 노동자'였다. 예수의핵심 제자들은 주로 갈릴리의 어부였고, 모두 가난했다. 예수가 선포한 하나님의 나라는 당시 사회의 정치적 관점에서 보자면 전복적이다. 하나님의 나라에서 먼저 된 자는 나중 될 것이고, 나중 된 자는 먼저 될 것이다. 그 나라에서 복된 자는 가난하고, 슬프고, 애통하며, 핍박받는 자들이다. 초대교회는 그 시작부터 매우 급진적인 '코뮤니즘'의 형태를 보였다. 초대교회에서 직접적인 공동체주의와 간접적인 공동체주의라는 코뮤니즘의 두 형태가 발견된다. 초대교회는 구성원들 각자가 재산을 처분하고 그것을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분배해서 사용하는 직접적인 공동체주의를 구현했다. 또한 사도바울은 연보제도를 통한 공동체주의를 호소한다. 이러한 공동체주의는 절대적 평등을 지향하는 분배방식이 아니라 사적인 소유권을 인정하는 범위에서 한 공동체의 부족한 부분을 다른 공동체가 보충해주는 평균적 평등을 지향하는 분배 시스템 위에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한국교회의 책임에 대해 세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회의 전통인 십일조는 성경의 원리에 따라 바르게 지출되어야한다. 성경적 원리에 따라 모아진 십일조는 가난한 자와의 연대를 위해 지출되어야한다. 둘째, 교회는 공동체의 평균적 균등을 위한 '연보'를 제도화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사회에서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을 법적으로 보호하는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N. Walterstorff strongly asserts that God sides always with the poor. The Bible shows that God of Israel as well as Father of Jesus Christ protect the poor and the oppressed; according to him A. Kuyper and K. Barth's has stressed the same opinion. Does God really side with the poor? In the Mose's Law God is one who does justice for orphans and widows. God's justice exists in his concrete action giving them breads and clothes. Israel was slave suffering from compulsory labor in Egypt and was wandering people through the desert. Therefore God in the exodus and the desert should be God for the poor and the week. Consequently responsibility and duty of Israel that should care and protect them stood on this common historical reality that they all have been slave in Egypt. It was not the social proclamation of the prophets to institute some new reform programs, but to come back to the foundational spirit of the law. The New Testament has a peculiar interest to the poor. Jesus and his disciples were really poor in that social structure. Jesus was a day-working labor as carpenter; his main disciples were poor fishermen.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has proclaimed was toppling from the view of that society; in the Kingdom the last will be first, and the first will be last. The early Church revealed a very radical communism from its beginning. It incarnated a direct communism in which every member sold his property and let it distribute according one's demand. And St. Paul made a second form of the communism. This indirect communism stood on a system of average equality in which one community compensated for the lack of another community. As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tithe as a tradition of the Christian Church must be distributed by the command of the Bible. Second, the Church should institute the collect as a system. Last, the Church has to take part in the movement for protecting the poor legally.

      • 안락사 문제에 대한 헬무트 틸리케의 생명윤리 입장에 대한 연구

        안계정(Kye Jung An)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4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6

        독일의 신학자 헬무트 틸리케는 우리에게 교의학자 혹은 뛰어난 설교자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그가 자신의 시대의 다양한 문제들과 학문적 대결을 펼쳤던 기독교윤리학자였다는 사실은 종종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틸리케의 기독교윤리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특히 안락사문제에 있어서 그가 어떠한 생명윤리적 입장을 전개하는지를 연구할 것이다. 기독교윤리학자로서 틸리케는 원리성찰-상황분석-윤리적 판단의 3단계로 안락사문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개진한다. 원리성찰에서 틸리케는 먼저 20세기에 거대하게 성장한 현대의학의 진보에 대해 비판적으로 질문한다. 왜냐하면 안락사 문제는 이러한 현대의학의 가능성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인간이란 과연 무엇인가이며, 이 문제는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반성을 필요로 한다. 틸리케는 성경의 진리에 입각해 "인간이 할 수 있는 다고해서 그것을 다 해서는 안 된다"는 원리를 제시한다. 다음단계에서 틸리케는 안락사 문제를 분석한다. 그는 의사와 환자 사이의 인격적인 관계에서 출발하는데, 이는 그의 인격적 윤리학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여기서 생명을 살려야만 하는 의사의 전통적인 도덕적 책임과 의무는 '환자의 가기결정권'과 갈등을 빚는다. 이를 통해 인간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 제기된다. 틸리케는 "생물학적인 생명"과 "인간적인 생명"을 구분한다. 인간의 생명은 단순히 생물학적인 현상으로 환원될 수 없는 초월성을 갖는다고 틸리케는 주장한다. 그러기에 비록 안락사가 의료적으로도 법적으로도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없다 해도 형이상학적 죄책감정을 발생시킨다고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안락사는 원칙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틸리케는 판단한다. 여기에 대한 기준이 인간의 형이상학적이고 초월적인 존엄과 가치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기에 다른 어떤 것으로 대체될 수 없는 존엄과 그 자체로서 목적이라는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생명을 죽이거나 죽도록 협력하는 것은 생명의 주인에 대한 명백한 반역이다. 그러나 틸리케는 원칙만을 고집하는 '원리주의자'가 아니다. 안락사라는 어려운 결정은 의사들만이 아닌 신학자를 포함하는 위원회를 통해 내려져야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대안을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능한 죄책감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German theologian Helmut Thielicke was known us merely as a dogmatic theologian or an excellent preacher. So it has been often ignored that he was also ethicist who made scientific confrontation with various problems of his age. Therefore this article is to scope on his ethics. Especially it will concentrate on which bioethical position he takes in the debate on euthanasia. As a christian ethicist Thielicke builds up his own position concerning euthanasia on the schema of three stages, that is principle reflection - situation analysis - ethical decision. 1). In the stage of principle reflection he asks critically about the progress of modern medicine. Here it ist the most important question: What is the man? And this question need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nsight. Thielicke offers a principle grounded on the biblical truth: "Der Mensch darf alles nicht tun, was er kann." 2). In the next stage he analyse the euthanasia problem. He starts with the rela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 which makes the character of his Personal-ethics(Personalethik) clear. Here the traditional moral responsibility and duty of doctor that ought to save life comes into conflict with the self-deciding-right of patient. Under this conflict situation Thielicke distinguishes "human life" from "biological life", and the human life can not be easily reduced into the biological life. For this reason, he analyse, euthanasia would generate the "metaphysisches Schuldgefühl", although it could be free from medical, criminal and ethical blame. 3). Finally Thielicke goes into the judgment that euthanasia can not be accepted. Norm for this decision is metaphysical and transcendental dignity and value of human being. Because the man was created by the image of God, he has the irreplaceable dignity and the value itself. Thus helping death could be regarded as revolt against the Lord of life. Thielicke, however, is not an fundamentalist holding tenaciously to his own view. A hard decision such as euthanasia must not be done not only by doctors, but also by committee including theologi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