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적우수학생을 대상으로 한 상위인지-시험불안 연구모형 개발과 구인연구

        심정아 ( Jeoung-a Shim ),김정규 ( Jungkyu Kim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시험불안 완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로서 상위인지-시험불안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관련된 구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분당에 거주하는 고2·3(16세~19세)학년 학생 중 성적우수자(상위15%)에 해당하는 139명을 대상으로 상위인지, 깊은 접근 학습기술, 특질불안, 우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시험불안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위인지의 시험불안에 대한 고유효과가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의해 시험불안과 상관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던 특질불안, 우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깊은 접근 학습기술 중 특질불안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만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울의 경우 상위인지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나, 시험불안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깊은 접근 학습기술의 경우 상위인지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시험불안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4요소 모두가 상위인지와 시험불안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한다는 연구 모형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발달단계나, 성적 등 관련 변인에 따라 우울과 시험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없을 수 있으며, 상위인지와 깊은 접근 학습기술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없을 수 있고, 또한 깊은 접근 학습기술과 시험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 theoretical model concer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depress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ep approach study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on and test anxiety as a prepa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test anxiety reduction program based on Gestalt therapy and meta-cognition theory. To this end, a sample of 139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Fried-Ben Test Anxiety Scale (FTA), Metacognit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 (MCQ-C),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pproaches and Study Skills Inventory for Students (ASSIST). The path analyses were used to test a mediation model in which metacognition was the predictor of trait anxiety, depress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ep approach study skills, which in turn were the predictors of test anxiety.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metacognition uniquely contributes to test anxiety. Also, it suggested that only trait anxiety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test anxiety. In case of depression,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metacognition, but not with test anxiety. Similarly, deep approach study skill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test anxiety, but not with metacognition. Lastly, the limitations, as well a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