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교육 관련 내용 분석

        심인호 경남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theories in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researched along wit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e propose using the moral studies textbooks, can help find techniques to teach about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ere this particular field of study will lead into the direction of analyzing moral studies textbooks with a multi cultural understanding. We also propose the specific problems that multi culture brings to today's society can be taught together with moral studies of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elementary moral studies textbooks we first figured out the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broke down its content. Second,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field of study was analyzed in elementary moral studies textbooks, where standards were made in order to have a deeper analysis on the matter. Third, upon analyzing the foundation of standards that appeared in the moral studies textbooks, we compared and analyzed a mapped out time for each grade to learn the fiel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an analysis on the foundation of these standards appeared in the moral studies textbooks where the related content of the study of multi culture was a speciality throughout. The following will analyze the results of this proposal. The time duration will be considered for each grade being taugh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3rd/4th grade and 5th/6th grade in order to go up a grade with many increases. Upon teaching the 3rd/4th grade and 5th/6th grade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time elapsed differed for each grade. In Korea the ethics teach that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be taught everywhere where the fields of cooperation and identity have many parts to it. The minor detai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ifferent cultures helps us to understand the lack of identification, similarities, and culture that helped us receive our results. The 7th curriculum specialities on moral studies is based on the content of nationality, ethnicities, important unification, and justification, etc. helps each grade deal, help, and respect one another. This was further analyzed. The public opinion on the matt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field of ethics for the fourth and fifth grade is the study of nationality and ethnical existence.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and races is related to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ooperation of the field of moral studies for fifth grade and 6th grader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disabled, mixed racial parents) need to be patched up and embraced where we take care of each other with a considerate heart to open our eyes to the multi cultural world around us. The identity for the field of ethics from 3rd to 6th grade on nationality and ethnical existence is mostly organized not only on the majority but also immigrants, mixed race children, etc. In Korea, race and identification opens the eye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imilarity in the field of moral studies for 5th grade in a societal life to organize the races and ethnicity with no relation. However everyone has rights, interests, respect, and similarities to open each others eyes to the content that consists of multi culture. According to the study of results, the following will explain mor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results and proposal. First, in the homes of multi cultural families, the children are entering school and attending regularly. These children enter school and learn about multi cultural contents and learn about their korean identification.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organization and appropriate separation. Second, in mor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3rd/4th and 5th/6th graders have a lot of differences. Therefore, from middle school, the students must lear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the topic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xtbook content amount, and time durations must be regulated. Third, moral studies among the multi cultural topics, ethnicities, peaceful unification, and love for humanity are all excluded. Ra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a valued virtue and a specific type of organization must be added. This is why we must reflect on adding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 이론을 탐색하는 것과 함께 제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기술되어 있는 ‘다문화 교육’ 관련 내용과 ‘다문화 교육 내용 영역별 지도 시수’를 분석하여 도덕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교육 내용 및 편성상의 문제점과 다문화 시대에 맞는 도덕과 다문화 교육 내용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첫째, 다문화 교육 목표 및 내용의 원리를 분석하였다. 둘째, 다문화 교육 내용 영역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기준을 만들었다. 셋째,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학년별 다문화 교육 내용 영역별 지도 시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 기준에 의거하여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 영역별 관련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다문화 교육 내용 지도 시수는 중학년(3·4학년)에서 고학년(5·6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3·4학년과 5·6학년은 다문화 교육 내용 지도 시수 격차가 많다고 분석되었다. 도덕과에서는 다문화 교육 내용 영역을 모두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과 ‘정체성’ 영역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인 소수 집단 및 타문화 이해와 관계있는 ‘정체성’, ‘평등성’. ‘문화’ 영역은 부족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제 7차 교육과정 도덕과의 특성상 국가와 민족에 대한 내용, 통일의 중요성 및 당위성 등을 모든 학년에서 다루고 있고, 서로 돕고 존중하는 내용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문화 교육 내용 중의 문화 영역은 도덕과 4학년과 5학년의 ‘국가·민족 생활’ 영역에 민족 문화와 타문화 이해에 관련된 내용으로, 협력 영역은 도덕과 5학년과 6학년의 전 생활 영역에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장애인, 혼혈아)등이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서로 아끼고 배려하는 마음을 일깨울 수 있는 내용으로, 정체성 영역은 도덕과 3학년부터 6학년까지 ‘국가·민족생활’영역에 대부분 편성되어 있고 주류 집단뿐만 아니라 이민자, 국제결혼가정 자녀 등이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애와 정체성을 일깨울 수 있는 내용으로, 평등성 영역은 도덕과 5학년 ‘사회생활’ 영역에 편성되어 있고 인종과 민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의 권익을 존중하고 동등하게 대해야 함을 일깨워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도덕과 다문화 교육을 위해 얻은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린이들이 학교에 입학하여 다니고 있는 시점에서 소수 집단을 위한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기를 수 있는 다문화 교육 내용 요소들과의 적절한 분배와 편성이 필요하다. 둘째, 도덕과 다문화 교육 내용이 3·4학년과 5·6학년에서 많은 격차가 있어 중학년 단계에서부터 다문화 교육 내용을 익혀나갈 수 있는 다문화 교육 내용 영역별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량 및 지도 시수를 조정한다. 셋째, 도덕과 다문화 교육 내용 중에서 ‘민족애’, ‘평화 통일’, ‘인류애’ 외에는 가치 덕목에 첨가된 형태로 편성되어 있어 질적 전환을 위해 다문화 교육 내용을 도덕과 교육과정의 가치 덕목 및 내용 요소에 반영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