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을 차이로, 차이를 시간으로-19세기 말 20세기 초 외국인들이 인식한 조선의 시간과 문명의 위계-

        신승엽 ( Shin Seung-yop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19세기 말 20세기 초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들에게 시간은 그들이 겪는 삶의 현실과 연결된 가장 본질적인 문제였다. 서구 여행자들은 조선인의 시간관념, 시계, 역법에 대해 받은 인상을 기행문에 기록했다. 몇몇은 한국인들이 시간 감각이 부족하다고 적었다. 조선의 시계가 부정확하며 신뢰할 수 없는 대상이라는 평가도 있었다. 일부는 조선인들이 청으로부터 해마다 달력을 받아오던 관습을 보고 한국이 스스로 역법을 계발하려고 애쓰지 않는 중국의 속국이라고 성급히 결론지었다. 일본인들은 특정한 문명론을 바탕으로 조선의 시간에 관한 제도적 개혁을 추진했다. 일본에선 18세기 말 양력의 도입을 통해 외부 세계와 국제적 연대를 이루자는 지식인들이 등장했다. 그들은 음력이 계절의 흐름과 맞지 않아 불편하다는 담론을 만들어냈으며, 이러한 인식은 메이지유신 후 역법의 개정에도 반영되었다. 서구 문명을 구현할 시간적 체계로서 양력을 전용하자는 입장은 20세기 초 식민화 과정에서 동일하게 재연되어 조선의 음력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낳았다. 일제 관료들은 조선 정부에 음력 폐지를 건의했고, 실제로 고종을 폐위시킨 뒤 시헌력, 명시력과 다른 태양력 중심의 「대한융희3년력(大韓隆熙三年曆)」의 발간을 주도했다. 이 시기에 시간은 단순히 자연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능을 넘어서 문명개화의 이상이 조선에 자리 잡는데 인식론적 근거를 제공했다. 진보주의적 역사관은 국가 및 인종 간의 위계를 재현했고, 선형적 시간에 대한 의식과 연루되었다. 시간적 순차에 따라 한 사회가 물질적, 정신적으로 진화할 것이라는 믿음이 문명론의 기저를 이뤘다. 20세기로의 전환기에 한반도를 찾은 서양인, 일본인들은 보편적 가치로서 문명개화를 신뢰했으며, 동시에 조선에서 발견한 각종 ‘차이’를 시간적 개념으로 치환하여 스스로가 우월한 문명의 담지자라는 자기-정체성을 확립하는 기제로 삼았다.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regardless of their different national, occupational background, foreigners who traveled or settled in the Korean peninsula encountered new socio-cultural environments. Among various barriers they had to overcome, time wa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roblems that affected their lived experiences in the Chosŏn dynasty(1392~1910). Koreans’ conception of time and time-keeping devices aroused their curiosity, and they sometimes compared the West’s temporal concepts and clocks to the Chosŏn’s. Westerners found in Korea the local ideas and practices of time different from theirs back home. Some visitors evaluated that difference and viewed it as an essential, irreducible gap of historical development under the ideologies of the period’s most popular and controversial phras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munmyŏng kaehwa).” In their travelogues, American and European travelers recorded their impressions and experiences of Koreans’ temporal concepts, clocks, and traditional calendars. Some wrote that Koreans lacked the sense of time in general. They argued that people in Chosŏn paid little attention to time and were ignorant of what it meant to their lives. Western visitors also talked about clocks Korea had recently brought in from abroad. They complained that clocks in Korea were incorrect and unreliable because they did not tell right time. Those guests from the Western world made hasty conclusions that the Chosŏn dynasty was a dependent vassal state for it received the Chinese almanacs from the Qing court at the end of every year. Few Western observers tried to explain how Korea had maintained its own calendrical system while sharing the Chinese almanacs in the Sinocentric regional spheres. Their logic was that Korea remained in the low level of civilization because it had no independent order of time. Time in this era was not simply a function of tracking changes in human society or nature, but offered the epistemological grounds for the universalization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in Korea. The progressive vision of history, widely accepted by the Chosŏn elites, represented the hierarchy among nations and races and associated itself with the concept of linear time. The consciousness of evolution that a society develops materially and spiritually with the passage of time underlay the discursive formation of munmyŏng kaehwa. By the opening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a number of Western missionaries, diplomats, and even Japanese intellectuals claimed a temporal and spatial universality of munmyŏng kaehwa-applicable to all nations at all times. But, they also took advantage of the concept as a way to solidify their identity and distinguish themselves as the bearer of civilization.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how Western travelers and settlers highlighted cultural differences they found in Korea and translated them into the temporal gap of development i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