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한일어 3인칭 여성 대명사 ‘그녀’와 ‘피녀(彼女)’ 연구

        윤영민 ( Yun Young-min ),송재령 ( Song Jae-you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9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6

        이 논문은 한일 양국 어휘의 교섭 양상을 구명하려는 연구로 3인칭 여성 대명사 ‘그녀’와 ‘彼女’를 중심으로 그 출현과 정착 및 어휘적·기능적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그녀’와 ‘彼女’는 인구어의 유입과 번역의 필요성에 따라 남성과의 구분을 위해 고안되었다고 하는 사회적·문화적 배경과 복합어라고 하는 단어 형성 구조, 정착에 이르기까지 경합과 절충을 거친 정착까지의 양상에 이르기까지 유사한 흔적이 적지 않은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일반 대중이 보다 정기적으로 친숙하게 접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한일 양국 근대기 출판 매체 중 잡지에 착목하여 첫째, 한일 양언어에서 나타나는 ‘그녀’와 ‘彼女’의 시기별 출현 빈도, 둘째, ‘彼女’와 ‘그녀’의 정착 과정에 나타난 다양한 어휘적 경합 양상에 집중하여 보았다. 한국어의 ‘그녀’는 1920년부터 1942년까지 그 시기가 현대와 가장 근접하여 꾸준히 등장하는 가운데 ‘그녀자’와 ‘궐녀(厥女)’가 1930년대 중후반, ‘彼女(피녀)’와 ‘그녀’가 1940년대 및 그 이후까지 사용되며 현대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어에서의 ‘彼女(かのじょ)’는 18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z 17 타입의 振り反名가 나타난 가운데 ‘かのじよ’, ‘かのぢよ’, ‘カノヂヨ’ 등과 같은 四つ反名 유형으로 1895년부터 z 1,718예로써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 중 ‘かのぢよ’가 1,713예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to investigate some aspects of linguistic negotia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he study tried to explore the lexical its functional features centered on the 3rd person feminine pronouns “kŭnyo” and “kanojyo”. The “kŭnyo” and “kanojyo” are coined words structure such as social, cultural background and compound words that were invented for division with men when importing and translating Indo-European languages, competition with various vocabulary Sharing common points on the linguistic background that led to. Among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focuses onprint media, especially magazines in the modern period which are judged to be closely contacted by the general public in a regular manner, appearing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ŭnyo” and “kanojyo” I examined the state of competition with various vocabulary. “Kŭnyo” in Korean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from 1920 to 1942, “kŭnyja” and “gwolnyo” in the middle and the latter half of the 1930s, “pinyo” and “kŭnyo” were used from the 1940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has reached the present. “Kanojo” in Japanese showed 17 types of FURIGANA from the 1800s to the 1920s, but since 1895 YOTSUGANA such as “かのじよ”, “かのぢよ”, “カノヂヨ” etc. Types were overwhelmingly large, especially “かのぢよ” accounted for almost 1,713 cases.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에 대응한 효율적 수자원 관리 - 수질오염 개선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박창근 ( Changkeun Park ),조동인 ( Doingin Cho ),최가영 ( Ga Young Choi ),송재령 ( Jae Ryoung Song ),이종욱 ( Jongook Lee ),박지영 ( Jiyoung Par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9 지역개발연구 Vol.51 No.2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기후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경제적 손실산정 접근법을 활용하여 미래 수자원 관리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지역 또는 계층 간에 차이가 날 수 있으며, 기후변화 영향이 사회 및 자연생태계 시스템에 미치는 파급력은 점증하는 경향이 있기에 지역별로 받는 영향을 보다 세분화하는 작업을 통해 수자원 대책에 대한 비용분담과 이에 대한 효과를 고려한 수자원 관리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질오염 관리 대책의 최신 연구 동향을 개관하고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수질오염이 초래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새로운 거시경제모형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과 강우유형 변화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수질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투입되어야 할 산업별 수질 개선비용을 기후 시나리오별(RCP 4.5, 8.5)로 추정하고 미래시점인 2030년과 2050년의 지역간 경제모형구축을 통해 파급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수질오염 개선비용을 지역이나 산업별로 산정할 때 유효한 기준이 되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탄력적 산업연관 방법론으로 미래시점 산업구조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반영한 모형으로 수질 관리 대책을 평가하면 장기적으로 나타날 기후변화 영향의 잠재적 편익과 비용을 현재 시점에서 조망할 수 있게 되어 현실적인 수자원 관리 대책을 지역별로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criterion to be applied for the future water management, using a new economic model that measures economic loss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nd the future uncertainty stemming from the climate change. Especially, because climate change affects regions and classes differently, it is important to account for social, economic and natural systems both globally and locally, which ensures the cost allocations to each area and social classes in terms of water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introduced new studies conducted in the water management field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and applied a new macro-economic model, flexible input-output model (FlexIO), that measures economic losses stemming from water pollution and the cleaning cost after combining with RCP scenarios (4.5 and 8.5) and two future years of 2030 and 2050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id information on the cost allocation needed for water cleaning.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eparing proper, realistic financial allocation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t the current point for water management by measuring the future benefit of water management by sector and by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