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의 문화재 정책현황과 과제

        송인범 동국대학교 2005 전자불전 Vol.7 No.-

        우리나라의 문화재 행정은 1961년도 문화재관리국이 설치되고 1962년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된 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국민소득의 증가와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 등에 따라 문화재와 관련된 국민적 수요가 급증하고 문화재 행정 범위도 크게 확장되고 있다. 2005년 10월 현재 지정문화재는 9,193건, 문화재 예산은 3,415억원이다. 문화재 정책의 기본은 원형보존이며 또 다른 축은 체계적 관리와 효율적 활용이다. 이를 위해 문화재청은 유형별 문화재의 보수, 정비, 복원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체계적 관리와 효율적 활용을 위한 각종 시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현재 문화재 행정의 과제로는 문화관광부와 문화재청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문화재 관장 조직의 통합과 문화재 보존기금의 설치, 건조물 문화재 전문수리기관의 설립 및 문화재 콘텐츠 개발, 보급 등이다. It can be deem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Korea began in earnest since 1961 when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bureau was established and 1962 whe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as legislated. Since then, the national need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have been rising rapidly and the spher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been broadening large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national income and the adv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etc.. As of October, 2005, there are 9,193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and 341.5 billion won of yearly cultural heritage budget in Korea. The fundermental principle of cultural policy is to keep cultural heritage in the original form and other axes are systematic management and efficient application. For these purpose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carrying out repair, maintenance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s and diverse policies for systematic management and efficient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Presently, the tasks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re to incorporate the dualize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establish a cultural heritage fund, to found a institution specialized in repairing constructive cultural heritages and to develop and spread the contents on cultural heritages.

      •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적 모델링 역량 분석 : 수학화 역량을 중심으로

        송인범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연구 Vol.15 N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 third graders’ student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a carefully designed case study of two average-ability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Utilizing an IPAD, the students were tasked with solving a modeling problem termed 'Teacher's Diet,' conceptualized by the author. The entire process was meticulously recorded, with minimal teacher intervention, to preserve the authenticity of the students' problem-solving approach. The paper's theoretical contribution lies in its formalization of the evaluation process for mathematical modeling competencies. It delineates the sub-competencies required for each phase of modeling, encompassing Simplifying (translating real-world problems into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Mathematising (setting up mathematical models), Working Mathematically (deriving mathematical results), Interpreting (relating mathematical results to real-world contexts), and Validating (critically reflecting on the results and the model). The findings illuminate the potential efficacy of mathematical modeling as a pedagogical tool to navigate complex mathematical problems. They also accentuate the exigent need for a more robust integra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Korean educational landscape. This paper's insights bear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pedagogical practices, contributing to the broader discourse on enhancing mathematical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middle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조사들의 悟의 體相用

        송인범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8 No.-

        깨달음은 체, 상, 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깨달음의 체가 깨달음의 본질이라면, 깨달음의 상은 깨달음의 바탕이치를 말하며, 깨달음의 용은 깨달음의 바탕이치가 깨달음의 본질로 전환되는 내적작용을 말한다. 상은 다시 깨달음의 바탕이치가 깨달음의 본질로 전환되는 외적작용인 行相과 바탕이치의 지적이해인 理相으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조사들의 수증관을 중심으로 오의 체상용을 살펴보았다. 조사선에 있어서 깨달음의 체는 성불에, 용은 견성에, 행상은 직지인심에, 이상은 심성에 배대된다. 한편 깨달음의 체상용은 증오와 해오로도 구분할 수 있다. 이상은 해오에, 행상과 용 및 체는 증오에 배대되고 해오에는 심성이, 증오에는 직지인심과 견성성불이 배대된다. 조사선은 일심법이다. 마음이란 무엇인가를 모르고서는 마음을 깨달을 수 없다. 이상인 심성은 마음에 대한 요해를 말한다. 행상인 직지인심은 선지식의 설법이나 선문답 또는 一言, 一行, 一機의 기연을 통해 마음을 직접 가리키는 것이다. 견성은 마음을 보고 깨닫는 것이고 성불은 그 마음과 계합하여 하나가 되는 것이다. 깨달음은 직지인심이라는 오의 외연과 견성성불이라는 오의 내포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조사선의 실질적인 개창자라 할 수 있는 혜능과 그의 정법문하인 마조, 황벽, 임제의 수증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혜능은 자성이 곧 부처이고 자성을 깨닫는 것은 돈오돈수로서 점차가 없어 일체법을 세우지 않는다고 하고 本心과 解脫과 般若三昧와 無念과 불지를 모두 동일한 것으로 보는 心一元論의 입장에 있어 오의 체상용은 돈오견성에 귀일된다고 할 수 있다. 마조는 도는 닦는데 속하지 않아 닦을 필요가 없는 것이고, 일체의 구하고 조작하고 시비하고 취사하는 마음을 일으킴이 없는 평상의 마음 자체가 곧 도이고 부처라고 한다. 馬祖의 오의 체상용은 자성이 없는 평상심에 귀일된다고 할 수 있다. 황벽은 무심이 곧 도이지 다시 더 닦고 증득할 것이 없으며, 무심은 추구하고 집착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님을 말한다. 본래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경계의 마음을 잊어야 하고 그러면 마음은 사라지어 무심이 된다고 한다. 황벽의 오의 체상용은 경계의 마음이 사라진 무심에 귀일된다. 임제는 불법은 수행을 해서 이루는 것도 아니고 증득할 것도 없다고 하는 無修無證과 殺佛殺祖의 정신에 바탕하여 일체의 외부 境界에 미혹되지 않는 無師獨悟 그리고 무엇을 추구하려는 번뇌망념이 없는 진정한 견해를 갖추어 일체의 외부 경계나 대상에 끄달리지 않는 주인이 될 것을 주장한다. 임제의 오의 체상용은 무수무증에 귀일된다. 깨달음의 체상용에 대한 조사들의 표현은 다양하나 그 본질은 모두 마음에 귀일됨을 볼 수 있다. 그 마음이 곧 부처인 바, 마음은 허공이고 자성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의 이면에는 본래성불의 사상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것을 돈오를 통하여 일상의 생활속에서 실천할 것을 공통적으로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t could be stated that the enlightenment is composed of the essence(體), the reason(相) and the function(用). We can describe the true nature of enlightenment as the essence, the fundamental principle as the reason and the inner operating process which converts the fundamental principle into the true nature of enlightenment as the function. The reason is divided by the executing reason of the external function and the theorectical reason of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the Josa Masters' Seon, the essence of the enlightenment is allotted to the becoming a Buddha, the executing reason to direct pointing to the mind and the theorectical reason to the nature of the mind, the function of the enlightenment to the seeing into the self-nature. Besides, the essence, the reason and the function of the enlightenment is also divided by th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ultimate realization of the enlightenment. The theorectical reason is assigned to th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executing reason, the function and the essence to the ultimate realization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nature of the mind to th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direct pointing to the mind, the seeing into the self-nature and the becoming a Buddha to the ultimate realization of the enlightenment. The mind can't be realized without understanding what the mind is. The theorectical reason of the nature of the mind means perfect understanding of the mind. The direct pointing to the mind of the executing reason points to the mind directly through the enlightened master's lecture, seon dialogue, or one word, one action or one fortunate chance. The seeing into the self-nature is enlightening by seeing the mind, the becoming a Buddha is becoming one unity with the fundamental mind by fitting in with the mind. The enlightenment is composed of the denotation of the enlightenment of the direct pointing to the mind and the connotation of the enlightenment of the seeing into the self-nature and the becoming a Buddha. Huineng says that the self-nature is just a Buddha and realizing the self-nature is attained by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sudden cultivation and therefore it has no gradual methodology. The essence, the reason and the function of the enlightenment is integrated into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seeing into the self-nature because he stands at the position of mind-monism which regards the original mind, the liberation, the samadhi of prajna, the non-mind and the Buddha land as the same one. Mazu says that Dao doesn't belong to cultivating and doesn't need to cultivate, and the ordinary mind which has no mind of pursuing, manipulating, discerning and choosing is just Dao. Mazu's essence, reason and function of the enlightenment is integrated into the ordinary mind which has no self-nature. Hwangbo says that non-mind is just Dao and has nothing more to cultivate and realize, and the non-mind can't be attained by pursuing and grasping. One should forget the mind of percepts to get the original mind and then mind disappears and becomes non-mind. Hwangbo's essence, reason, and function of the enlightenment is integrated into the non-mind which has no mind of percepts. Linzi says non-cultivation and non-attainment which means that Buddha-Dharma can't be attained by cultivating and has nothing to realize, no-teacher and self-ralization which means not to be deluded to any outer percepts on the basis of killing the Buddha and killing the Josa Masters and asserts that one should be a hero who has a true opinion without any affliction and deluded thought pursuing something and is not deluded by any outer percepts and objects. Linzi's essence, reason and function of the enlightenment is integrated into non-cultivation and non-attainment. The Josa Masters' viewpoints on the essence, the reason and the function of the enlightenment are very diverse, but all of the ultimate destination is integrated into the mind. The mind is just a Buddha and emptiness and has no self-nature. We could acknowledge that the thought of innate Buddhahood stands at the behind of this kind of assertion in common and that they assert that one should practice the innate Buddhahood through the sudden enlightenment in ordinary life.

      • KCI등재
      • KCI등재

        無我說에 대한 一考察

        송인범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붓다의 가르침의 핵심은 無我의 증득을 통한 解脫涅槃이라고 할 수 있다. 붓다가 말하는 無我의 의미는 일체존재는 상일주재성을 가진 ‘아’는 없다는 의미이다. 붓다는 이러한 존재의 실상인 무아를 가르치기 위해 4법인, 오온설, 연기설 및 경험설의 가르침을 통하여 말했고 고와 고를 벗어나는 지혜에 대하여는 4성제와 12지연기법 및 8정도의 가르침을 통해 설했다. 붓다는 4법인설에서 5온은 무상한 것이고 무상한 것은 苦이며 고는 ‘아’가 아님을 깨달아 집착에서 벗어날 때 열반을 이룬다고 하였다. 여기서 ‘비아’의 의미는 곧 ‘무아’의 의미로 귀결됨을 보았다. 붓다는 五蘊說에서 중생들의 고의 원천이 되는 것은 가치중립적인 오온이 아니고 탐욕에 오염된 오온인 五盛陰(五受陰, 五取蘊)을 말하고 있다. 중생들은 이 탐욕의 오성음을 ‘아’로 착각하기 때문에 苦가 생긴다는 것이고 탐욕은 ‘상일주재의 나는 존재한다’는 관념에서 일어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아’라는 중생은 색, 수, 상, 행, 식의 오온의 가합물에 불과한 것이어서 그러한 상일주재의 나는 실체가 없는 ‘무아’임을 여실지견할 때 탐욕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르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붓다는 연기법에서 일체존재의 유무와 생멸은 오로지 상호의존적으로 발생되는 것이지 독자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없다고 하였다. 즉 일체는 다른 것들이 인연화합하여 일시적인 과정으로 존재하는 것이지 ‘아’란 실체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이렇게 인연따라 존재하는 모든 것은 무상이고 고이며 무아라는 것이다. 붓다는 또 경험설을 통하여 일체는 12입처라고 하며 중생은 곧 색, 수, 상, 행, 식의 5온의 인연의 가합물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붓다는 그러한 오온은 나고 변하고 멸하므로 나도 아니고 나의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또 나란 현상의 경험 자체인 것이지 현상적 경험을 떠나 따로 존재하는 ‘아’란 없다는 것이다. 이는 곧 경험만이 있을 뿐 경험의 주체는 궁극적으로 없다는 ‘무아’의 의미인 것이다. 이러한 무아의 체득은 삶의 주체로서의 ‘아’의 부정이나 無化를 통해서 달성되는 것이 아니고 오취온에서 탐욕이 제거된 경험만이 존재할 때 가능하고 그를 통해 현법에서 상락아정의 열반에 이를 수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ore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can be called liberatiobn and enlightenment through the fulfillment of non-self. The Buddha says the meaning of non-self is that all beings have no permanent, independent and autonomous self. The Buddha said the four seals of the dharma, the five skandhas, the arising from causation(the pratītya-samutpāda) and sense-media to teach the truth of non-self of all beings and taught the four noble truths, the twelve nidanas and the noble eightfold path for the wisdom to liberate from duhkha. The Buddha taught in the theory of the four seals of the Dharma that we could achieve nirvāṇa when we realize that the five skandhas are impermanent, the impermanence is duhkha and the duhkha is not self-entity and liberate from clinging to beings as real. We could see that not-self indicates non-self i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he Buddha taught in the theory of the five skandhas that the source of duhkha is not the five skandhas which are value-neutral but the five tenacious skandhas contaminated by avarice. But the five tenacious skandhas' own self is only a temporary accumulation of rupa, perception, function of mind, samskara and vijnana and the permanent, independent and autonomous self is non-existent, that is to say non-self. The Buddha taught in the theory of the arising from causation that all beings are existent as transient process according to cause and conditions and the true substance of all beings is not existent. The Buddha taught in the theory of experience that all beings are twelve sense fields' own self and the self of I is just an experience itself and there is no the I which exists separately from phenomenal exeperience. This means that only experience itself exists and there is no the I who experience, that is non-self. The enlightenment of non-self can not be achieved through negation or nullification of the I, but when only experience exists as removed the greed from the five tenacious skandhas and it is possible for all living beings by doing so to reach the nirvana of permanence in darma-body with no birth and death, joy of nirvana without any suffering, unobstructed true self of Buddha and purity of dharma without any defilement in the present world.

      • 태양광발전 PCS용 영전압 스위칭 부스트 컨버터

        송인범,정두용,최성촌,이수원,정용채,원충연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월

        This paper proposes a zero-voltage switching boost converter for a photovoltaic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The proposed converter is composed of a general boost converter adding a soft switching cell. The auxiliary switch helps the main switch operate with ZCS(zero current switching) and ZVS(zero voltage switching). And the main switch also operates with ZVS. The soft switching operation and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re verified through the simulation.

      • 가정용 10kWh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송인범(In-Beom Song),정두용(Doo-Yong Jung),김동성(Dong-Seong Kim),이수원(Su-Won Lee),서광덕(Kwang-Duk Seo),원충연(Chung-Yuen Won) 전력전자학회 2010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This paper proposes a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using a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grid, battery and PV array. Considering a daily load profile, radiation and battery, operation modes are divided. An algorithm is presented based on modes. In the paper, operation modes and algorithms are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