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기술발전 과정에 나타난 특징 분석: 포스코와 삼성 반도체를 중심으로

        송성수 ( Sung Soo Song ) 한국과학사학회 2012 한국과학사학회지 Vol.34 No.1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conceptual model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Korea based on the case studies concerning POSCO in steel industry and Samsung in semiconductor industr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SCO and Samsung made a large-scale investment continuously, and it worked as a source for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Second, two firms utilized overseas training for technological acquisition at initial entry point. Third, they extended technological domain from technology with low entry barrier to high level technology. Fourth, they joined main stream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timely choice of advanced technologies. Fifth, they accelerate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establishing various forms of concurrent development system. Sixth, after the completion of technological catch-up, they pioneered new technological paths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s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POSCO and Samsung can be applied to other scale-intensive firms in Korea.

      • KCI등재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송성수(Song Sung-Soo) 한국과학기술학회 2002 과학기술학연구 Vol.2 No.1

        이 논문에서는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시기별 특성과 전체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과학기술정책의 발전단계는 형성기, 성장기, 전환기로 구분하였다. 한국에서는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공업화의 초기 단계부터 갖추어졌고, 1980년대 이후에는 정부연구개발사업이 전개되는 가운데 민간 부문의 기술혁신활동아 급속히 증가했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새로운 이념이 모색되면서 관련 법령 및 계획이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과학기술정책의 전체적 특성은 정책레짐이란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의 과학기술정책은 산업발전을 가장 중요한 정책목표로 삼아왔고, 정책수단의 측면에서는 외형적 투입요소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관료 중심의 정책문화가 지배적이어서 경제문화, 학문문화, 시민문화는 충분히 발전하지 못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 Korea. Historic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hrough formation period, growth period, and transition period. In Korea institutional basis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made from the initial stage of industrialization. As national R&D programs were launched, technological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were rapidly increased from the 1980s. Korea pursued new direc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with the formation of related laws and plans from the late 1990s. Gener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the concept of "policy regime". The prime policy goal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 Korea has been related to industrial development so far. In the policy means, input element has been increased focusing on the external aspects. Bureaucratic policy culture has dominated other cultures including economic culture, academic culture, and civic culture.

      • KCI등재

        한국 과학기술계획의 진화

        송성수(Song Sung-S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7 No.-

        이 논문에서는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진화를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장기종합계획에 관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대상에는 『과학기술개발 장기종합계획(1967~1986년)』,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1987~2000년)』,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비전』이 포함되었다. 이상의 계획에 대한 내용분석의 결과는 추진체계, 정책환경, 정책목표, 과학기술발전방향, 정책방향의 범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추진체계의 경우에 세 계획이 모두 위원회와 작업반을 운영하는 절차를 통해 준비되었다. 특히, 『과학기술개발 장기종합계획』과 달리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과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비전』은 참여자 명단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실명제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비전』은 별도의 공청회와 자문을 거쳐 해당 계획을 수립하는 절차를 추가하였다. 정책환경에서는 세 계획이 모두 현황에 대한 평가와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다루고 있다. 『과학기술개발 장기종합계획』이 주로 과학기술의 개발을 통한 경제성장에 주목하고 있는 반면,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 계획』은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함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을 표방하고 있고,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비전』은 시스템의 차원에서 과학 기술정책을 종합하려고 시도하면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수준이 점차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세 계획이 제시하고 있는 정책목표도 상향조정되고 있다. 『과학기술개발 장기종합계획』은 장기목표를 1980년대에 “중진공업국가군의 상위 수준에 도달”하는 데 두고 있고,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은 “세계 10위권 기술선진국의 구현”을 기본목표로 삼고 있으며,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 비전』은 “세계 7위 수준의 과학기술경쟁력 확보”를 장기적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세 계획이 다루고 있는 과학기술발전방향의 전반적인 추세로는 전통적인 산업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새로운 분야를 육성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에서는 산업기술 이외에 공공기술과 거대과학이 추가되고 있으며,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비전』은 미래유망기술에 초점을 두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정책방향과 관련하여 세 계획은 모두 투자와 인력을 포함한 과학기술자원의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와 함께 세 계획은 새로운 정책방향을 발굴하는 데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과학기술개발 장기 종합계획』은 연구학원단지의 조성에,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은 중소기업의 기술집약화 촉진에,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비전』은 첨단과학기술의 사회적 이슈에 대한 대응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향후에 과학기술장기종합계획을 수립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n the long-term science and technology(hereafter “S&T”) comprehensive plans as an attempt to examine the evolution of S&T policy in Korea. They include the long-term comprehensive plan of S&T development(1967∼1986, hereafter “the 1st plan”), the long-term plan of S&T development toward the 2000s(1987∼2001, hereafter “plan for the 2000s”), and the long-term vision of S&T development toward the year 2025(hereafter “vision for 2025”).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on such plans was summed up according to formative system, policy environments, policy goals, S&T development directions, and policy directions. In the formative system, all three plans were prepared by construction of steering committee and task force team. Especially, plan for the 2000s and vision for 2025 recorded the list of participants with contrast to the 1st plan. In addition, vision for 2025 supplemented the process of public hearings and experts consultation. In the case of policy environments, all three plans dealt with the current state and the future prospect. The 1st plan focused on economic growth by S&T development, plan for the 2000s requested the upgrad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quality of life, and vision for 2025 attempted to comprehense S&T policy includ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T. There has been readjustment to policy goals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of S&T level in Korea. The long-term goal of the 1st plan was to reach upper level of developing countries, the basic goal of plan for the 2000s was to be ranked as top tens of the world, and vision for 2025 set a long-term goal to be ranked top seven in the world. The overall trends in S&T development directions is in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new industry was stressed whereas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industry was comparatively decreased. Especially, plan for the 2000s added public technology and big science to industrial technology, and vision for 2025 focused on the promising future technology. In the case of policy directions, all three plans took a serious view of S&T resources including investment and manpower. In addition, these plans paid attention to new policy directions such as the preparation of research parks in the 1st plan,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plan for the 2000s, and social issues of high technologies in vision for 2025. Based on such analysis, this paper proposed some points to be considered for the making of long-term S&T comprehensive plans in Korea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의 재검토

        송성수(Song Sung-Soo) 한국과학기술학회 2002 과학기술학연구 Vol.2 No.2

        이 논문의 목적은 기술사의 관점에서 사회구성주의의 주요 이슈를 검토하고 평가하는 데 있다. 사회구성주의 기술학은 기술변화에 대한 대안적 설명으로서 다양한 비판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가운데 자신의 논지를 발전시켜 왔다. 특히 사회구성주의와 기술사는 『기술과 문화』를 통해 서술과 이론에 관한 논쟁, 신뢰성과 퍼포먼스에 관한 논쟁, 자전거 변천과정의 사례에 관한 논쟁을 전개해 왔다. 기술사 연구자의 입장에서 볼 때 사회구성주의는 새로운 전문용어를 남용하고 있고 역사적 자료의 사용이 엄밀하지 못하며 연구 대상에 따른 제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한 사회구성주의를 한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자료의 미비, 기술학습의 중요성, 관련 사회집단의 특수성 등의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nd assess the main issues in social constructivism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of technology. Social constructivism, as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technological change, has developed its points actively responding to various criticisms. Historians of technology have joined in dialogues with social constructivists through controversies about narrative vs theory, reliability vs performance, and evolution of bicycle. Social constructivists tend to use new jargons excessively, don't deal historical materials rigorously, and don't consider content-dependency sufficiently. To apply social constructivism to Korean cases many problems should be identified including the deficiency of historical materials,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learning, and the peculiarity of relevant social group.

      • KCI등재

        인터넷내용규제 입법과정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분석

        송성수(Song Sung-Soo),권기창(Kwon Gi-Cha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04 과학기술학연구 Vol.4 No.1

        이 논문은 정책네트워크의 시각을 바탕으로 2000~2001년에 전개된 인터넷내용규제 입법과정을 세 가지 국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제1국면에서는 정보통신부가 내용등급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에 관한법률 개정안을 발표하면서 상당한 논쟁이 촉발되었다. 제1국면의 주요 행위자는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반대단체, 네티즌이었다. 제1국면에서는 갈등적 상호작용이 지배적이었으며 권력의 집중성이 없는 분산형 구조를 보였다. 제2국변에서는 국회의 심의ㆍ의결과정을 거쳐 내용등급제가 삭제된 형태로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이 공포되었다. 제2국면의 주요 행위자는 국회의원, 정보통신부, 반대단체, 네티즌이었다. 제2국면에서도 갈등적 상호작용이 지배적이었으며 국회가 중심 행위자의 역할을 맡으면서 집중형의 구조를 보였다. 제3국면에서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이 공포된 후 시행령이 마련되는 과정을 거쳤다. 제3국면의 주요 행위자는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반대단체였다. 제3국면에서는 갈등적 상호작용이 어느 정도 완화되는 형태를 보였고, 정보통신부가 의견을 조율하면서 집중형 구조가 유지되었다. 인터넷내용규제에 관한 논쟁이 적절히 종결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관련 정부부처 가 하나였다는 점, 해당 기술이 현실적 문제의 성격을 띠었다는 점, 관심집단이 동조집단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egislation process of internet contents regulation through three phases from a policy network point of view. In the first phase, heated debates were initiated during the public hearings after the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s announced its plan to introduce the internet contents grading system During the second phase, bills were submitted to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where the bills were deliberated, passed, and promulgated. In the third phase, issues on enforcement ordinance were resolved as the degree of conflict was mitigated. Policy network during the first phase started in a conflicting and distributed form, but has evolved into a conflicting and centralized form The appropriate closure of the debate on the internet contents regul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structure of governmental departments, the character of new technology, and the mobilization of general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