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배치특성을 고려한 사이공간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송병하(Byung-Ha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연구는 세종시 신설초등학교의 배치계획에 따른 사이공간 현황과 계획방향에 관한 사례연구로 24개 학교의 사이공간 유형을 분류하고 5개 학교를 대상으로 구성현황과 이용빈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사이공간 내부의 구성이 학습기능보다 놀이, 휴식의 기능에 이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다양한 놀이기구 및 휴게공간의 계획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이공간에 계획된 필로티 공간은 높은 이용빈도를 보이는 반면 그에 접해 있는 사이공간의 이용빈도가 낮아 필로티 공간에서의 활동을 사이공간으로 확대할 수 있는 계획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공간을 통과동선으로 이용하는 경우(E2, E3)는 놀이, 휴게공간과 영역을 구분하여 사이공간의 기능적 독립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사이공간의 과도한 조경면적이 이용빈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활동영역을 충분히 확보한 후에 조경영역을 계획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이공간으로의 다양한 진입동선을 확보해야하는 것으로 주진입로에서 단절된 배치의 경우 사이공간을 둘러싼 교사동 각 부분에서 부출입구를 계획해 접근성을 최대한 확보해야 이용빈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started by examining 24 newly-built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with regard to their present conditions of in-between space. After categorizing the space according to its spatial composition, 5 schoo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he current status and frequency of use of their in-between space. Among the (other schools, the analysis gave the following results: 1) There was much higher usage of the in-between space for rest/play than for learning, which suggested that more rest/play area and apparatus should be provided. 2) Piloti areas were preferred, and a greater number of activities took place in these places than in the adjoining open areas. 3) When the in-between space was combined with a passage (as in the case of E2 and E3), a separation must be provided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rest/play activities. 4) In planning the in-between spac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activities over landscape purposes. 5) Diverse and easy access to the space must be planned, particularly as the main entrance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space. Entry at the end of an adjacent building could be a possible solution.

      • KCI등재

        설계스튜디오의 특성에 따른 실내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송병하(Ha, Song-B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건축학과 설계스튜디오 운영실태와 사용자 인식의 분석을 통해 설계스튜디오 실내공간에 대한 개 선요소를 제안하였다. 공통적인 개선사항으로 첫째, 개인공간의 명확한 구획이다. 개인공간의 독립성과 영역성을 확보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가변파티션(movable partition)을 통해 획일화된 구성보다 분반에 관계없이 자유롭 게 개인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선호했다. 둘째, 공동공간 면적의 확보이다. 공동작업공간은 스튜디오내 유일한 공동공 간으로 용도가 다양하고 유용성 또한 높은 만큼 유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면적으로 계획하여야 한다. 셋째, 개 인공간과 공동공간의 명확한 공간 구분이다. 이를 위해 주어진 면적에서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변 파티션, 공용통로 등의 융통성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유형별 스튜디오의 주요 개선사항으로 개실형은 공동작업 공간 확보, 혼합형은 인접스튜디오의 간섭차단, 오픈형은 수업공간의 별도 계획 등으로 나타났다. Upon changing architectural education system into 5-year program, the design studio in university should meet the requirement in order to acquire the accre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on student' perceptions and response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open, mixed, closed), to their studio environment.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or all types: First, there should be space for individual activities for the student: Second, excluding space for excluding space for the individual work, seperated area must be provided for co-operative work, such as making models; Third, a clear territorial distin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work space should be able to set by the students, using. for instance, movable partition or corridor; Fourth, however, in line with the types, a seperated lecture or seminar room in the open type, a device to prevent distraction such as noise in the mixed type, and more space for co-work in the closed type are also suggested.

      • KCI등재

        화성 동탄 신도시 아파트 단지 필로티 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송병하(Song, Byung-Ha),이기석(Lee, Ki-Seok)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es in the new city equipped with the relatively new pilotis built recently so that the pilotis spaces of lower level of main building within the apartment complexes may be utilized as more satisfactory space and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pilotis space planning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in the future by seeking for the issues in dispute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In the phase of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location of pilotis at each complex and its density characteristic have been investigated by pre-visit investigation of total 20 complexes out of complexes with minimum more than 2 main buildings equipped with the pilotis space within each complex out of all apartment complexes in the new city Dongtan, Hwaseong. In the phase of main investigati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 by the pilotis at each complex has been investigated in detail after dividing from the angle of ‘the openness’, ‘the accessibility’, ‘the spatial utilization’ and ‘the surveillance’ by selecting 8 complexes with the comparatively higher ratio of household out of complexes comprehended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pilotis type has been divided into largely as ‘the overhanging type access + the pilotis addition type’ and ‘the pilotis access type’, each physical characteristic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respective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ilotis type of apartment in the new city Dongtan, Hwaseong may be classified largely as ‘the overhanging type access + the pilotis addition type’ and ‘the pilotis access type’. Second, ‘the overhanging type access + the pilotis addition type’ are insufficient state compared to ‘the pilotis access type’ from the angle of ’the openness’, ‘the accessibility’, ‘the spatial utilization’ and ‘the surveillance. Third, ‘the overhanging type access + the pilotis addition type’ is adopted method to achieve the advantage of two methods as the in-between format between ‘the overhanging entrance’ method and ‘the pilotis access type’, however it can not strengthen the advantage but rather may result in the dead space if the consideration for the planning of ’the openness’, ‘the accessibility’, ‘the spatial utilization’ and ‘the surveillance’ is insufficient.

      • KCI등재

        세종시 신설초등학교의 조리장 공간구성과 면적에 관한 사례 연구

        송병하(Byung-Ha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세종시 신설초등학교의 조리장 공간과 면적의 적정성에 관한 사례연구로 5개 학교의 조리장을 대상으로 공간구성과 면적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조리장의 기준면적 대비 계획면적의 확보율은 A학교 99.2%, B학교 91.1%, C학교 81.4%, D학교 110.8%, E학교 88.1%로 세부적으로 조리실의 면적은 기준에 근접하거나 초과되어 계획되었지만 그 외의 실들은 계획되지 않거나 기준에 부족한 상황으로 대체적으로 부족한 면적을 확보하고 있었다. 검수실이 계획되지 않은 학교는 3개교로 전처리실과 겸용하면서 전처리실의 실제 사용면적이 감소하여 별도의 검수실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실은 세척과정의 특성상 최소 3.6m의 유효폭과 1.6m 이상의 통로폭이 요구되었으며 세척기구 반입동선을 고려하여 식당 및 조리실 방향으로 출입구를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용자 면담결과 공통적으로 조리/세척영역의 면적, 공간구성에 대해서 불만사항이 나타난 반면 보관 및 사용자영역에서는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다. 이는 사용자들이 보관 및 사용자 영역보다 조리활동의 주요공간인 조리/세척 영역의 면적확보와 공간구성을 중요시하는 결과이며 현재의 조리장 기준면적에서 각 영역 및 공간별 면적의 조정과 분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ase studies of the catering facilities of newly-built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regarding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allo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pace allocated in the cooking area in the five schools compared to the standard was as follows: School A; 99.2%, B; 91.1%, C; 81.4%, D; 110.8%, E; 88.1%. Accordingly, the cooking area was close to, or slightly above the standard; nevertheless, other areas in the facilities were not allocated sufficient space and were not appropriately planned. Among the other findings, the receiving areas of three schools were not even planned, and the receiving works were carried out in the pre-preparation area. Considering the flow of the dish-washing process, the width of the room should be at least 3.6 meters with a passage width of 1.6 meters, and easy access to the cooking and dining areas must be equipped. An interview with all five supervisors showed that most complaints focused on the cooking and dishwashing areas, whereas there were none in the storage and workers" area. The resul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cooking and dishwashing areas as the main functions in catering facilities, and future planning strategies should consider this aspect.

      • KCI등재

        고층아파트단지 필로티 공간의 이용도와 공간구문론 동선관련 지표값과의 상관성 연구

        송병하(Ha, Song-Byung),이기석(Lee, Ki-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고층아파트 단지 내에서 주요 계획요소로 자주 채택되고 있는 저층부 필로티 공간의 이용실태를 관찰조사하고 공간구문론 축선도 분석(axial analysis)을 통한 동선관련 지표값들(연결도, 통제도,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과 비교하여 단지내 필로티 공간의 배치와 공간 이용 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혀 향후 아파트 단지내 필로티 공간 배치 계획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필로티 공간은 ‘단순 이동’ 공간으로만 주로 이용되고 있어 주민커뮤니티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주동별 필로티 공간의 이용 빈도 격차는 ‘돌출형 출입+필로티 부가형’ 단지가 ‘필로티 출입형’ 단지 보다 더 심하게 나타나고 있고, 환경파괴(vandalism) 현상도 더 관찰되고 있다. 셋째, 필로티 공간의 이용도는 공간구문론의 동선관련 지표값인 연결도, 통제도,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와 관련이 있으며, 최소 2가지 이상의 지표값이 높은 필로티 공간은 이용빈도가 높은 경향이 있고, 최소 2가지 이상의 지표값이 낮은 필로티 공간은 이용빈도가 낮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low-rise floor Pilotis space which is frequently selected as a major planning element in recent high-rise apartment complex and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ment of Pilotis space in the complex and space utilization frequency by comparing circulation related indicators of Connectivity, Control Value,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Integration through Space Syntax axial analysi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irst, Pilotis space is not used as a space to improve reg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because it is mostly used as a ‘simple movement space’. Second, regarding space utilization frequency differences in Pilotis space in each apartment building, projecting entry access+pilotis addition type complex shows more significant utilization frequency than pilotis access type complex, and the vandalism phenomenon is observed more often. Third, Pilotis space utilization is related with Connectivity, Control Value,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Integration which are circulation related indicators in Space Syntax, and Pilotis spaces with high indicator values over 2 tend to show higher utilization frequency and those with low indicator values over 2 tend to show low utilization frequency.

      • KCI등재

        세종시 신설 초등학교의 학교규모와 배치특성 분석

        송병하(Ha, Song-B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는 세종시 신설 초등학교의 학교규모와 배치계획의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24개 학교를 대상으로 교지면적, 학교규모, 외부공간 구성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초등학교 50학급 이상의 규모계획은 병설유치원 포 함 48학급 이하로 조정이 필요하며, 학교규모 산정시 학생 수가 아닌 학급 수에 따른 기준을 적용해 교지면적 대비 적정 학급 수를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교지 대비 교사면적은 평균 24.6%로 타 시도대비 높게 나타나고 체육장은 19.9%로 낮게 나타남으로 교사면적 비율을 20%대 초반으로 낮추어 체육장을 비롯한 외부공간의 구성비를 높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교지면적과 학교규모 산정시에 지구단위계획, 교지의 특수성으로 손실되는 면적을 고려하여 배치가능 면적과 외부공 간으로 활용 가능한 면적을 구분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24 newly-built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regarding the size of the site and school, as well as the outdoor space to improve the site and space programming in school planning. Among the others, one result indicates that the overall number of classes in a school should be reduced to 48, including the affiliated kindergarten, instead of the present number of 50. In addition, the number of classes must be counted in lieu of the number of student by classifying the size of school. In light of the present mean ratio of school building area per site in the city of 24.6%, which is much higher than other comparable city schools, the ratio should be about 20.0% by increasing the sports facility and outdoor spaces. In addition, the deprivation of the area caused by the district-unit-plan and the irregularity of the place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size of a school and site.

      • KCI등재

        도시구조 변화에 따른 폐교활용에 관한 연구

        송병하(Ha, Song-B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최근 세종시 조성으로 도시성격과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연기군 지역의 폐교를 대상으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폐교의 활용을 모색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기군 지역 폐교의 활용실태와 입지요인에 따른 시설의 물리적 요소 분석, 관리자 면담조사를 통하여 세종시 조성에 따른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폐교활용의 대 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 농어촌지역의 폐교와 달리 연기지역의 폐교는 세종시가 인접해 있는 도시적 특성을 갖 고 있다. 이에 따라 세종시 인근의 폐교는 세종시 교육시설과 연계한 교육연수원, 문화체험시설 등 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한 시설활용이 바람직하다. 둘째, 세종시에서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낮은 연기지역 폐교는 마을 단위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활용해야 하며, 세종시 입주민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노인정, 마을회관, 공동창고, 보건지소 등 편의 및 커뮤니티 시설을 주된 용도로 활용하며 아울러 세종시 입주민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주말농장, 농촌체험시설 등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도시와 농촌의 요구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민 의 직접참여를 유도하여 관리 부실을 방지하고 농촌과 도시의 교류가 가능한 대안으로 폐교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losed elementary school in the Yeongi province, where much of the area will be transformed into the city of Se-Jong, and suggested the renewal plan in the future. Among the twelve(12) schools, eight(8) that have transferred to private sectors were analyzed in respect to lot size, present usage, surroundings, means of approach, and distance from the most populated area, ect.. Additionally, interview with the management official of school board was taken in place. The findings include: two(2) schools that are located nearer then others to the newly-born city can be rehabilitated as educational facility, such as training institute and cultural experience place. Other six(6) schools can be utilized as senior citizens' center, community center, medical substation, hobby farm, or even community warehouse.

      • KCI등재

        임대아파트 필로티 공간의 계획에 관한 연구

        송병하(Ha, Song-B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임대주택의 구조방식이 벽식구조에서 라멘구조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서울시 임대주택의 필로티 공간계획의 주안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임대주택의 현황을 분석하고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7개 단 지 28개동에 대해서 물리적, 공간적, 환경적 분석 및 사용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벽식구조 필로티 공간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라멘구조로 전환시에 계획의 주안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필로티 공간의 유효면적 증 가와 쾌적성 향상에 따른 공간 활용의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필로티 공간의 특성상 다양한 기능이 복합되는 경우 기능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여 간섭과 충돌을 최소화하고 기능이 불명확한 공간으로 방치되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셋째, 실내공간으로 전용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외부공간이 부족한 임대주택에서 필로티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이를 고려한 구조체 배치 등의 계획적 접근이 요구된다. 넷째,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필로티 공간과 외부공간과의 시각적 연결관계를 고려해서 필로티 공간이 외부로부터 고립되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ilotis spaces of the public apartment housing and to suggest the future planning means of the spaces. At the present time, most of the pilotis space has been constructed in wall-bearing method. However, post and beam method(or Rahmen) will be used due to the municipal public-housing policy. Observation of seven(7) different locations and twenty-eight(28) blocks, and interview with the residents were employed to gather the data. Regarding functional relevance, six types of the space were selected, and planning suggestions for each type were followed. Among others, the conclusions include: the pilotis space should be planned as an interior for the future, as well as it should be open enough to secure the view from the surroundings.

      • KCI등재

        고층아파트단지 필로티 공간과 옥외단위공간의 통합도(Integration) 비교 분석 연구

        송병하(Ha, Song-Byung),이기석(Lee, Ki-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고층아파트 단지 내에서 주요 계획요소로 자주 채택되고 있는 저층부 필로티 공간과 주요 옥외단위공간들의 통합도 값을 단지별 전체 통합도 평균값과 비교하여 필로티 공간의 통합도 값이 다른 옥외공간들과 비교 할 때 어느 정도의 통합도 위상을 갖는지 분석하는 것이며, 또한 다음 단계의 연구인 필로티 공간 이용행태 관찰 및 이용빈도 조사의 기초자료로 삼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층아파트 단지의 필로티 공간을 포함한 주요 옥외단위공간들 중 ‘단지출입구’ 또는 ‘광장’ 공간이 가장 높은 통합도 값을 보이고 있다. 둘째, 고층아파트 단지의 필로티 공간 통합도 값이 다른 주요 옥외단위공간들의 통합도 값보다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세째, 고층아파트 단지의 필로티 공간들중 동출입구의 기능이 없는 ‘돌출형 출입 + 필로티 부가형’ 유형의 공간일 경우 주민들의 공간이용률이 현격하게 저조하여 음성적 공간화 및 공동화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tegration value of a low level pilotis space, a component that has been often selected as an essential planning element of the recent high-rise apartment complex, and compared the main outdoor unit spaces with that of an average integration value of the individual complexe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d the preliminary data for the next level of research, which is the observation of the pilotis space usage behaviors and the frequency of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present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main outdoor unit spaces of the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including the pilotis space, a ‘complex entrance’ or a ‘plaza’ space showed the highest integration value. Second, the spatial integration value of a pilotis space in a high-rise apartment complex was generally lower that of the integration value of other main outdoor units. Third, from the pilotis spaces of the high-rise apartment complex, those with a ‘projecting entry access + pilotis addition type’ that did not provide an access to the individual units, had the lowest space utilization rate by the inhabitants; thus, had a high likelihood of the spaces becoming used for illegitimate activities or becoming vaca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