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지의 만성 골수염에 시행된 근 유리 판 이식술

        이준모,송광훈,박종혁,Lee, Jun-Mo,Song, Kwang-Hun,Park, Jong-Hyuk 대한미세수술학회 2009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8 No.2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 of muscle free flap transplantation in chronic osteomyelitis of the tibia and calcaneus occurred from open fractures and exposed bones and internal fixatives. Materials and Methods: The free muscle flap were transferred in the tibia and calcaneus and followed up average 7.3 years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from March 1997 to September 2009. Six patients were male and 1 case female averaged 50.3 years of age. Two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ree flaps were transplanted to the exposed 2/3 of the tibia with soft tissue defect, one rectus abdominis muscle free flap to the mid 1/3 of the tibia and four gracilis muscle free flaps to the distal 1/3 of the tibia and calcaneus. Results: At average 7.2 years follow-up, all of the 7 cases obtained solid bone union in the X-ray and kept sound soft tissues without pus discharges. The overall result of bone union, healed soft tissues defect and normal knee and ankle joint range of motion were excellent. Conclusion: The free muscle flap transferred to the chronic osteomyelitis of the tibia and calcaneus showed excellent results in bone union and eradication of the pus forming bacteria by its abundant blood flow.

      • KCI등재

        소아 족관절 성장판 손상후 성장판 조기 유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김정렬(Jung Ryul Kim),송광훈(Kwang Hun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목적: 소아의 족관절 성장판 손상을 치료한 사례에 대하여 조기 성장판 유합을 초래 할 수 있는 원인인자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연구를 하였으며, 수상당시의 나이, 성별, 손상원인, 골절유형, 발생기전, 수술방법 등에 따른 조기 성장판 유합의 빈도를 알아보고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 성장판 유합은 10예에서 발생하였고, 이중 2 ㎝ 이상의 하지단축은 3예, 각변형 및 하지부동이 동반된 경우는 5예, 비골 단축은 2예였다. 나이, 성별, 원인, 골절유형에 따른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그러나 도수정복을 시행한 군에서 관혈적 정복을 시행한 군보다 성장판 조기 유합의 발생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18). 결론: 성장판 손상후 성장판 조기 유합의 빈도는 정확한 골절 정복을 통해 낮출 수 있으며, 수술적 치료를 통한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을 시행함으로써 합병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cing premature physeal closure (PPC) following physeal fractures of the ankle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Forty-eight children with physeal injuries of the ankle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fter a minimum follow-up of 1 year. We undertook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age, gender, cause, fracture type, mechanism of injury, and treatment methods for incidence of PPC. Results: Ten fractures (28.3%) were complicated by PPC. There were three cases of leg length discrepancy (LLD) more than 2 ㎝, five cases of angulation with LLD more than 2 ㎝, and two cases of fibula shortening.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PPC and age, sex, cause, or injury mechanism (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ate of PPC and treatment methods (p=0.018). Conclusion: Operative treatment may decrease the frequency of PPC in some fractures. Regardless of treatment method, we recommend anatomic reduction to decrease the risk of PPC.

      • KCI등재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후측방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비교

        송경진(Kyung-Jin Song),김기남(Ki-Nam Kim),송광훈(Kwang-Hun Song),이준모(Jun-M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이분절 이하의 퇴행성 요추부 질환에서 후측방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여 두 수술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분절 이하의 요추 유합술 및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감압술을 시행받고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9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요추 후측방 유합술을 실시한 환자 45명을 Ⅰ군, 요추체간 유합술을 실시한 환자 45명을 Ⅱ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요추 전만도는 Ⅰ군에서 술 전 36.84±8.31°, 술 후 40.58±7.61°, 최종 추시 시 35.73±7.61°이었고, Ⅱ군에서는 31.53±7.09°, 39.11±7.21°, 35.47±7.76°이었다. 골유합은 Ⅰ군에서 45예 중 41예(91.1%), Ⅱ군에서는 45예 중 43예(95.6%)에서 얻었다. 합병증은 Ⅰ군에서 11예(24.4%), Ⅱ군에서는 1예(2.2%)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이분절 이하의 퇴행성 요추부 질환에서 실시한 후측방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골유합률과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두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요추 전만도와 합병증에서는 후방 추체간 유합술에서 더 좋은 결과를 얻었으나, 임상과 방사선적 결과에 대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compared the surgical treatment results between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and posterolateral fusion (PLF) with pedicle screw fixation in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orders. Materials and Methods : In 45 cases of PLF (group Ⅰ) and 45 cases of PLIF (group Ⅱ), lumbar lordosis, segmental lordosis, bone union and complications were considered to be an evaluation criterion. Kim's functional evaluation scale was used for the clinical results. Results : The average lumbar lordosis in group I was 36.84±8.31° preoperatively, 40.58±7.61° postoperatively and 35.73±7.61o at the last follow up. On the other hand, the respective changes in the average lumbar lordosis were 31.53±7.09°, 39.11±7.21°, and 35.47±7.76° in group Ⅱ. Definitive solid union was obtained in 41 cases in group Ⅰ (91.1%) and 43 cases in group Ⅱ (95.6%). The rate of complications was 24.4% (11 cases) in group I and 2.2% (6 cases) in group II, and a satisfactory functional outcome were obtained in 43 cases (95.6%) in group Ⅰ and 41 cases (91.1%) in group Ⅱ. Conclusion : Both PLF and PLIF on short segment fusion provided satisfactory bone union and clinical results. In segmental lordo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PLIF wa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lumbar lordosis and complications than PLF. A longer term follow up will be needed to evaluate the adjacent segmental degen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agittal balance.

      • KCI등재후보

        장대퇴부 도달법으로 시행된 비구주위 절골술을 이용한 비구 이형성증의 치료

        박명식 ( Myung Sik Park ),박종혁 ( Jong Hyuk Park ),송광훈 ( Kwang Hun Song ),이영근 ( Yung Keun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5

        목적: 비구 이형성증에서 시행된 장-대퇴부 도달법(iliofemoral approach)을 이용한 비구주위 절골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구 이형성증으로 진단 후 비구주위 절골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 17고관절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임상 및 방사선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34.7세(14~61세)였으며 성별 분포는 남자 3예, 여자 14예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26개월(12~48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 방법으로 D`Aubigne and Postel이 사용되었으며, 방사선적 평가 방법으로 비구각, 외측 CE각, 전방 CE각, 대퇴골두 커버 정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으로 D`Aubigine and Postel 점수는 12.7에서 15.1로 호전을 보였으며 및 방사선적 지표로 사용되었던 비구 각은 49.7˚에서 27.3˚, 외측 CE 각은 2˚에서 36.5˚, 전방 CE 각은 12˚에서 25˚, 대퇴 골두 커버는 57.3%에서 80.2%의 호전을 보였다(Wilcoxon Rank Sum test, p<0.05).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후주 골절이 2례, 신경마비 5 례중 외측 대퇴 표피신경 마비 3례였으며 이중 1례는 계속적인 지각이상을 호소하고 있으며, 일시적인 대퇴 신경마비1례와 좌골 신경마비 증상이 1례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비구 이형성증 환자에서 장-대퇴 도달법을 이용한 비구주위 절골술은 임상 및 방사선학적 호전을 보이는 유용한 수술 방법이지만 신경마비 등의 합병증의 예방도 새로운 과제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periacetabular osteotomy, for treating acetabular dysplasia through iliofemoral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he results of 17 periacetabular osteotomies performed in 17 patients (12 female, 4 male). The osteotomies were performed through an iliofemoral approach in 17 hip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surgery was 34.7 years (range: 14~61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6 months (range: 12~48 months). The D`Aubigine and Postel score was used for clinical evaluation. Radiological changes of acetabular head index, the CE angle (lateral and anterior), and the sharp angle were measured, respectively. Results: Clinically, the mean D`Aubigine and Postel scores improved from 12.7 preoperatively to 15.1 postoperatively. All four radiological measurement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Wilcoxon Rank Sum test: p< 0.05). The following complications were noted: posterior column fracture in 2 hips and peripheral nerve dysfunction was noted in 5 patients. Of these nerve palsy,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 palsy in 3 patients, 1 patient complained troublesome, transient sciatic nerve palsy and femoral nerve palsy in 1 patient. There were no vascular complications or heterotopic bone formation and conversion to total hip arthroplasty. Conclusion: Periacetabular osteotomy by the iliofemoral approach is an effective surgical treatment for acetabular dysplasia in adults, but should be careful nerve inj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