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콘스탄티우스 2세와 율리아누스의 정치적 관계(356-360년)- 관계의 세 가지 단계를 중심으로 -

        손태창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1

        Constantius II aimed to create a multi ruler system, since he had made the Roman Empire into a one man ruling state directly after the death of Constans(337-350 as Augustus). He intended to set up a system in which Augustus should be the first representative ruler with a loyal Caesar as the subordinated ruler. This idea was forced on both Caesars, Gallus(351-354 as Caesar) and Julianus(355-361 as Caesar). The traditional studies on this topic have tended to be understood and grasped mostly from the viewpoint of Julianus, because of the biased description of the sources and their structural restriction in the preservation. The studies on the period under the governorship of Julianus in Gaul have also been made in such biased way, written from a point of view in which Julianus is the main actor, and this pattern has still not changed thereafter. In this study the author will try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pers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ugustus Constantius, especially on his policy towards Julianus. It is time to review the political context of that era from Constantius' perspective, a viewpoint that has long been ignored. If we can make use of a handful of sources about our theme and conceive some hypothesis, this will provide an advanced scholarly discussion on the attitudes with which Constantius might have treated Julianus. The main objectives of the study would involve reconsidering how the relations between Constantius and Julianus came about and to what degree Constantius planned against his rival Julianus. Consequently we will be able to interpret the whole development of that relationship. Thus I will establish three stages for that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the process of the incidents, reconsidering their meaning. Here attention must be paid especially to the change of Constantius’ attitude who had experienced the first and second stage in the relation. It was a political calculation on the part of Constantius, considering that he ought to avoid a crisis during the war against the Persians and also had to overwhelm or remove his rival Julianus, who had become too influential in Gaul. 종래 율리아누스의 연구는 주로 그의 화려한 전성기인 황제가 된 이후에 집중되었고 특히 그의 배교자적인 측면이 주목된 바 있다. 즉 콘스탄티우스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의외로 충분한 연구가 축적되지 못한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스탄티우스의 율리아누스 정책에 대해 바로 이 정황제의 입장에서 양 인물의 관계를 정치적으로 조명한다. 적어도 한번은 우리가 콘스탄티우스의 입장에서 당 시대의 정치사의 맥락을 짚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콘스탄티우스가 취했을 것으로 보이는 율리아누스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 좀 더 진전된 논의를 펼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즉 이 관계는 어떻게 발단했으며, 이 관계를 주도한 콘스탄티우스가 어느 정도로 구체적 계산을 했었는가를 살펴볼 이유가 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종합적으로 그 과정이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지를 보고자 한다. 그런즉 본격적 논의는 사료가 드러내는 사건사의 궤적에 근거해서 세 가지 단계로 설정하고 그 의미를 짚어보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특히 통제적 관찰 단계, 유화적 단계를 거치면서 불가피하게 되어버린 콘스탄티우스의 율리아누스에 대한 태도 변화에 유의한다. 이것은 그가 페르시아 전투에서의 큰 위기를 모면함과 동시에 갈리아에서 제법 성장해서 위협적이 된 율리아누스를 권력대결구도에서 철저히 수하에 넣거나 아니면 제거해버리려는 계산이었다.

      • KCI등재

        아마존인들에 대한 헤로도토스의 서술-서사의 분석을 통한 서술 의도의 해석

        손태창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2 서양고대사연구 Vol.64 No.-

        고대 지중해 지역에 거주했다고 알려지는 아마존인들은 여자들로 구성된 독특한 전사집단으로 주로 인식되어 왔다. 유존하는 여러 다양한 사료들 즉 문헌, 고고학 및 미술품 등의 자료들은 아마존인들이 전투적이고 타협불가의 매우 완강한 자들이라고 그려내고 있다. 문헌사료들 중에서 아마존에 대해 다른 사료에 비해 많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아마존인들과 그들이 상대한 스키티아 남성들의 조우를 내용으로 하는 에피소드를 축으로 서술하고 있는 헤로도토스는 이 두 집단들의 관계의 전개에 서술의 초점을 둔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아마존인들이 호전적이거나 남성혐오적이거나 지배욕이 강하다는 평면적 사실만이 아니다. 헤로도토스의 서사는 관계학적인 면모를 지니는데 관련 당사자들의 관계의 축을 정밀하게 파고들고 있다. 이러한 면은 다른 사료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헤로도토스적인 독특한 매력이다. 이를 통해 아마존에 대해 좀 더 면밀히 그리고 심층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중대한 한 가지 사실은 아마존은 물리적 힘만이 여성에 비해 특출한 자들일 뿐 아니라, 남자들과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장악해내는 능력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19세기 이래 바흐오펜 등이 모권제사회의 유습으로 아마존을 해석하는 이론에 좀 더 구체적인 단서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한다. 왜 아마존이 주목을 받는지 그리고 위협적인 존재인지에 대해 헤로도토스는 그의 섬세한 관찰(즉 그가 전해들은 바를 서사로 재구성하면서 치밀히 아마존을 상정했다는 면에서)을 통해 아마존의 또 다른 면모를 설득적으로 구현해내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은 우리가 그간 아마존 연구에서 헤로도토스의 서술에 대해 다소 간과한 면이라고도 할 것이다.

      • KCI등재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필연적이었는가? -투키디데스 테제에 대한 고찰-

        손태창 호서사학회 2022 역사와 담론 Vol.- No.103

        The ancient Greek historian Thucydides, renowned fo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iography, wrote on the Peloponnesian War(431-404 BC). It was a very impressive and large scale civil war. Thucydides wrote about his own participation in the war just to inform the descendants of what had happened. In this book he made a very well known point: namely the growth of Athenian power during the previous 50 years panicked the Spartans and they were forced to wage war against the Athenians. Even Thucydides argued that this war was inevitable, and his frank statement of it tended to bring many readers to believe it easily, without sufficient deliberation, as though it had been fate. To some degree his theory is plausible when the cause of the war is considered structurally. However Athens didn’t enlarge and become more powerful in a consistent fashion since the end of the Persian War(478-431). Moreover,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both Athens and Sparta might not have been under circumstances which required them to engage in such wars unconditionally. In this paper two points will be reconsidered. Firstly, the years of Pentekontaetia(πεντηκονταετία) -literally 50- will be reviewed, showing that Athens was not always so powerful in the Mediterranean area. The next reconsideration will be a systematic study on the period beginning with the affair of Epidamnus to the outbreak of the Peloponnesian War. Through it we will see that this war did not develop in an unavoidable way. Indeed, it contained several possibilities that might have prevented war. We must not accept without criticism the argument of a historian from the 5th century BC, that a very significant and major war broke out inevitably. In this paper, I reconsider the objectives of the historian Thucydides by reanalyzing his thesis. Human affairs are scrutinized most persuasively if their complex and various causal factors are reviewed. 근대 역사학을 성립시키는 기반이 된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인 투키디데스는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 매우 인상적이고 전방위적인 내전인 펠로폰네소스 전쟁(431-404)에 직접 참전하여 겪은 바를 가지고 후대에 널리 알리기 위해 전쟁사를 서술하였다. 개별 폴리스들이 독립된 국가로 보면 대외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전체 그리스인들이 연루된 하나의 큰 사건으로 보려는 시각에 의해서 내전이라고 표현하였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유사한 생활방식을 지닌 그리스인들을 큰 틀에서 같은 민족으로 보는 것이다. 여기에서 그가 주장하는 아테나이의 50년에 걸친 세력강성과 스파르타의 두려움이 결국 스파르타로 하여금 이 비극적 전쟁을 일으키도록 만들었다는 유명한 테제(These)가 발원한다. 심지어 투키디데스는 이것이 필연적이라는 맥락으로 주장함으로써 충분한 고증을 하지 않고 듣는 자들에게 이 전쟁이 불가피했다고 믿게끔 만든다. 장기적인 전쟁원인론에 입각하면 구조적으로 개연성이 있는 주장이지만 아테나이가 기원전 478년 이래 전쟁 개전시점인 431년까지 늘 강성했던 것도 아니었고 무조건적으로 이 두 세력이 전쟁으로 나아가야 할 조건에 처한 것도 아니라고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주장에 대해 두 가지 점을 검토한다. 먼저 펜테콘타이티아 즉 ‘50년’의 세월이 내내 아테나이 세력 강성을 보여주는 것만은 아님을 밝히고자 한다. 이어서 1차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끝난 이후인 기원전 445년부터 에피담누스 사태 및 개전에 이르는 기간 동안을 단계별로 짚으면서 전쟁이 필연적인 성격으로 비화된 것이 아니라 사전에 방지될 수 있었을 여지들이 실제로 있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적어도 우리는 매우 크고 중대한 전쟁이 어떠한 심리적 원인에 의해 불가피하게 되었다고 보는 기원전 5세기 역사가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선 안 될 것이다. 투키디데스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재고함으로써 한 가지 중요한 점을 되새겨보고자 한다. 전쟁이 필연화된 주장을 하기에 앞서 그것을 가능케 한 복합적 원인들과 요소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했는지가 해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해 숙고해보건대 투키디데스는 명제를 보강해주는 증거에는 충분히 신경을 쓰지 않은 것이다.

      • KCI등재

        4세기 로마제국에서의 권력관계 -환관세력과 황제의 친척 간의 관계-

        손태창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3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6

        The Roman empire in the 4th century experienced the latent struggles in the court while the Proximi-policy of the emperor has been developed. The two representative rivalries were the relatives of the emperor and the court eunuchs as the secret line power. In the background one finds the preference of the emperor for the policy of secret line namely simple and effective policy because the empire was gradually bureaucraticized and some hole in the system came to being. The eunuchs were united with the emperor because of same interests therefore they found themselves in the opposite place to the influential political power groups. One of the rivals of the emperor was his relatives, for instance, Gallus and Julianus were the rivals of the Roman emperor Constantius II. They built up the antagonistic relations with the grand chamberlain Eusebius, the favorite person of Constantius II. Gallus was condemned to death, and Julianus was checked and supervised by the eunuch but in the final this eunuch was revenged by Julianus. However, the model of those relations were not always antagonistic but sometimes the eunuchs built up a cooperative relation for the purpose of practical interest. For example, in the year of 365 one ex-member of Constantine imperial family, Procopius, visited one ex-court eunuch, Eugenius. He wanted to be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eunuch for his planned rebellion. Seen in the power relations of Roman imperial court in the 4th century the non political power like court eunuchs rose on the stage of the powers because of the favor of proximi-policy of the rulers. Even these eunuchs were empowered to the degree that they proved some rivalry with the relatives of the emperor. The consequences of the secret line policy led to the more rooms for power fluctuations or power rivalries in the imperial court. 4세기 로마에서 측근정치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비선세력인 환관과 황제의 정적들이 세력경쟁을 하는 구도가 형성되었다. 배경이 된 것은 제국이 관료주의화하는 과정에서 황제가 간편하고 효율적인 비선정치(秘線政治)를 선호한 점이다. 그러한 탓에 환관세력이 중용되어 정치사적으로 새로운 양식의 통치와 권력경쟁이 전개되었다. 이 환관은 황제와 동일한 정치적 이해관계로 결속되어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황제와 세력경쟁적 관계에 있는 막강한 관직자들과 대척적 관계에 서게 되었다. 황제의 정적들 중에는 친척들도 있었는데 그 예로 콘스탄티우스 2세의 사촌 갈루스와 율리아누스가 있다. 이들은 콘스탄티우스가 신임하던 선임환관 에우세비우스와 적대적 관계를 형성했고 갈루스는 그런 투쟁의 과정에 처형이 되었으며 율리아누스는 견제와 감시를 당한 이후 나중에 복수하였다. 그러나 관계의 유형이 적대적인 것만도 아니어서 실리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환관은 황제의 친척과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다. 구 콘스탄티누스 황가의 일원인 프로코피우스는 재정적 지원을 얻고자 퇴출된 전직환관 에우게니우스와 연대를 형성하였다. 황제의 비선정치는 환관의 중용을 낳았고 그 환관이 정치적으로 야심을 펴는 데에 황제친척이 우호적, 적대적으로 작용한 실례를 서기 4세기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서기 4세기 중엽 알렉산드리아 주교 아타나시우스 -아타나시우스의 세력기반의 요소들과 그의 정치전략적 면모-

        손태창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5 No.-

        A remarkable bishop in Church History during the Later Roman Empire, Athanasius was very famous for his constant resistance for the sake of the Christian creed: namely the "Nicaean Creed". This paper, however, focuses on another aspect of this churchman. He overcame oppression from Constantius II and his supporters -Arian Christians- and survived even the emperor Constantius. What made this possible? As practical proofs, three elements of his power base might be considered: The Church of Alexandria, Both Augustus(Constantinus II and Constans) and the influential bishops such as Julius, Liberius and Ossius. Firstly, he used the church of Alexandria as the base camp for his struggle against Constantius II and the Arian bishops. Through constant contacts with it he could even check the actual authority of his opposing successors and paved the way for his effective comeback there. He profited from the rivalry among the three sons of the late Constantinus the Great. He persuaded Constantinus II to write a supporting letter on his reinstitution while Constans attempted to intimidate Constantius II even to the point of war. Athanasius was also very clever in getting mighty bishops to his side. In order to fight against Constantius II and the Arians he led Julius the bishop of Rome to prepare for the institution of one council all over the Roman empire. Later the successor of Julius, Liberius, was still helpful to Athanasius, not to mention of the bishop of Cordova, Ossius who joined the Serdican council together with Athanasius. We need to consider one very political aspect of the person Athanasius. He was on the one hand a very faithful supporter for the Nicaean Creed. But on the other hand he was surely a very practical political person who used several kinds of influential people for his cause. His long struggle for the orthodox doctrine is also one clear evidence that he was very shrewd and strategic in pursuing his cause. This very humane aspect, in other words, the political character of the man should never be overlooked. 고대말 로마 제국의 교회사에서 주목받는 주교인 아타나시우스는 그의 종교적 신념인 ‘니카이아 신조’를 지키기 위한 부단한 저항으로 아주 유명하였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이 교회성직자의 또 다른 측면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그는 콘스탄티우스 2세와 이 황제의 지지자들인 아리우스주의자들의 압박을 극복하였고 심지어 콘스탄티우스가 죽은 이후에도 내내 존속하였다. 무엇이 그로 하여금 그와 같은 것을 가능케 했던 것일까? 이 의문점에 실질적인 근거로서 그의 세력적 기반의 세 가지 요소들이 고려된다: 알렉산드리아 교회 자체, 두 명의 황제들(콘스탄티누스 2세와 콘스탄스) 그리고 영향력이 강했던 주교들(율리우스, 리베리우스 그리고 오시우스). 그는 알렉산드리아 교회를 콘스탄티우스와 아리우스주의적인 주교들에 맞서는 투쟁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하였다. 그 교회와의 끊임없는 접촉을 통해 그는 그를 대체하여 부임한 적대적인 후임자들의 실제적인 권위를 잠식시킬 수 있었고 자신이 효과적으로 복직하는 예비적인 길을 마련해 둘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세 아들들 간의 라이벌관계를 이용해서 이득을 챙겼다. 즉 콘스탄티누스 2세를 설득하여 아타나시우스 자신이 알렉산드리아 교회에 다시 귀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편지를 쓰도록 했으며 콘스탄스도 역시 그에 의해 사주되어 콘스탄티우스에게 전쟁의 위협을 불사하는 위협조의 편지를 보냄으로써 결국 아타나시우스를 도왔다. 여기에 아타나시우스는 당시의 유력한 주교들이 자기편이 되게 하는 데에도 수완이 있었다. 콘스탄티우스와 아리우스주의자들과 투쟁하기 위해 그는 로마 주교 율리우스로 하여금 로마제국 전체를 포괄하는 공의회를 개최하도록 유도하였다. 이후 그의 후임자인 리베리우스 역시 여전히 아타나시우스의 명분을 위해 협조를 했으며 코르도바의 주교 오시우스도 아타나시우스와 공조하여 그와 함께 세르디카 공의회에서 콘스탄티우스측을 교회정치적으로 대항하였다. 위의 아타나시우스의 세력기반들을 검토해 보면 아타나시우스라는 인물이 지닌 상당한 정치적 면모가 감지된다. 그는 니카이아신조의 아주 충실한 지지자이면서도 다른 면에서는 종교인답지 않게 현실정치에 있어서도 아주 민감한 자로 여러 사람들을 그의 명분에 적절히 이용하였던 자였다. 이른바 “정통 교리”(orthodox doctrine)를 위한 그의 장구한 투쟁은 동시에 그의 교회정치적인 전략과 계산을 드러낸다고 할 것이다. 즉 그가 그의 명분을 위해서 아주 정치적이면서도 전략적이었다는 것이다. 그의 이런 정략적인 면이 교회정치사에서 좀 더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기원전 2세기 유구르타 전쟁(Bellum Iugurthinum)에 대한 고찰

        손태창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58

        유구르타 전쟁(112-105년)은 로마가 공화정 말기에 겪은 장기적인 대외전쟁의 하나였다. 이 전쟁에 대한 현존하는 사료 중 가장 자세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는 살루스티우스의 Bellum Iugurthinum(유구르타 전쟁기)는 정치적 입장에 치중하여 그만의 고유한 전쟁관을 가지고 당시 참전한 로마지휘관들 그리고 그들의 적이던 유구르타를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식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미 연구사에서 살루스티우스적 시각이 문제시된 지는 오래이나 사실 전쟁의 진행과정을 세세히 다루면서 살루스티우스가 보지 못하거나 의도적으로 도외시한 이 전쟁의 다른 중요한 면이 이후 연구들에서 제대로 부각되어 설명되지 않는 것이 안타까운 현상이다. 본고에서는 살루스티우스가 제대로 고증하지 않은 두 가지 점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전개한다. 첫째, 전쟁을 수행한 유구르타의 전쟁수행 역량을 조명할 필요가 있다. 또 한가지는 그의 장기전의 자연적인 배경이 된 지리적인 난점들을 자세히 파고드는 것이다. 즉 전쟁 장기화와 살루스티우스의 서술에서 미진했던 점을 지적하고 찾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서기 4세기 로마역사가 암미아누스의 갈루스 서술 - 갈루스 통치와 콘스탄티우스와의 관계에 대한 서술의 문제 (353-354년) -

        손태창 대구사학회 2023 대구사학 Vol.152 No.-

        갈루스는 351-354년에 걸쳐 로마제국의 동방지역을 다스린 통치자였다. 그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337-361년 재위)를 대신해서 그 황제가 원래 다스리던 동방에 가서 대행적인 통치자 역할을 물려받아야 했다. 갈루스에 관해 어느 다른 사료들보다 많은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바로 역사서술자 암미아누스의 서술이다. 그의 저술에서 제 14권에 광범위하게 우리는 갈루스 치세에 일어난 일들에 대해 듣게 된다. 그런데 놀랍게도 여기서 우리는 갈루스가 당시 많은 궁정의 관직자들에 대해 폭력적으로 대했고 심지어 다수의 관직자들이 고문을 당하거나 죽임을 당하게 되었다는 진술을 접하게 된다. 암미아누스는 갈루스 통치의 문제성에 대한 많은 사례들을 기록한다. 독자들이 그 사료에 대한 비평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면 쉽게 갈루스가 본래 폭력적이었으며 통치자로서 부적격한 면이 강한 자라고 믿어버릴 수도 있다. 암미아누스 서술에서 더욱 놀라운 것은 그는 충분하고 구체적인 증거를 가지고 진술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단지 그는 갈루스의 특정한 그리고 과도한 행위들에 대해 진술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암미아누스의 이러한 점에 대해 초점을 두고 그것이 지니는 구조적 문제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일명 “암시적” 역사가로 일컬어지는 암미아누스는 그의 진술을 입증하는 데에 매우 무관심하다. 우리는 비평적 시각과 다른 사료들과의 대조속에서 암미아누스 진술의 신빙성과 정확성 등에 대해 실체적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Gallus Caesar was ruler over the eastern Roman territory during the years of 351-354. He had to take over the substitutional governance in place of the emperor Constantius II (who ruled as emperor 337-361). Historical information on Gallus was preserved by the historian Ammianus much more than any other sources. In the fourteenth book of his famous work, 『Res Gestae』 it is revealed what has happened under the rule of Gallus. Surprisingly, here we learn that Gallus exercised an incredibly violent rule over many court officials and most of them were said to have been tortured or killed brutally. Ammianus describes many examples of the problematic rule of Gallus. The readers can be persuaded easily that Gallus is by nature violent and not suitable as a ruler if they do not maintain a critical eye toward that source. An even more surprising problem in the writing of Ammianus is the fact that he does not prove his descriptions with enough concrete evidences. He just states particular and excessive actions on the part of Gallus. The thesis focuses on this point regarding Ammianus, and intends to argue its own structural problematic. The “allusive” historian is very indifferent to the verification of his statements. We need to read the contents of the historian's writing critically and compare with other 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