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 자원순환형 첨단농업파크 조성방안

        서동욱 ( Donguk Seo ),손옥용 ( Ockyong Son ),이준구 ( Joongu Lee ),지달님 ( Dallim Ji ),정남수 ( Namsu Jung ),이윤희 ( Yoonhee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새만금 농업용지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첨단기술 및 고품질 수출농업 육성을 위해 친환경·고품질 농산업기반과 수출농업 전진기지, 농촌 생태관광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실천적인 세부계획이 미진한 상태이다. 새만금 농업용지 토지이용계획에 따르면, 저탄소녹색성장시범단지(50ha)는 농업생산 활동과 에너지 공급을 자족할 수 있는 자원순환 시스템을 도입하고, 에너지자립형 녹색마을 개념의 주택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나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 그러나, 저탄소녹색성장시범단지는 바이오매스 처리 시설을 통하여 경종농업과 축산과의 자원순환이 이루어지고, 가공산업이 공생하는 시스템으로 강화하여 기존 계획의 에너지 자립형 주택보다 사회경제적으로 더 진보한 농업생산시스템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농업생산 폐기물로부터 바이오매스 처리를 통한 에너지 및 열 생산은 다시 농업 생산활동에 투입됨으로써, 생산비를 낮출 수가 있고, 환경오염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바이오매스 및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자원순환형 첨단농업파크의 시범단지 조성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과 설계가 필요하며, 저탄소녹색성장시범단지를 자원순환형 첨단농업파크로 조성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자원순환형 첨단농업파크 시범단지 시설 계획으로 시설원예단지, 고부가가치 가공시설, 바이오매스 처리시설, 주택단지 등 설치계획과 태양열, 태양광, 지열, 풍력, 바이오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설치계획 등을 수립하였다. 첨단농업파크 시범단지 조성 및 운영 계획으로 시범단지 시설계획 및 규모, 배치 계획과 시설들의 유기적인 연결체계 수립, 시범단지 단계별 운영방안을 제시였다. 이 연구결과는 새만금 농업용지 중 저탄소녹색성장시범단지 조성계획에 필요하며, 타지역의 자원순환형 첨단농업파크 기본계획에도 활용될 수 있다.

      • 자원순환형 첨단농업파크모델 국내외 사례연구

        서동욱 ( Donguk Seo ),손옥용 ( Ockyong Son ),이준구 ( Joongu Lee ),지달님 ( Dallim Ji ),정남수 ( Namsu Jung ),이윤희 ( Yoonhee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자원순환형 농업은 농축산 폐기물이나 부산물, 물, 가스 등을 다시 활용하거나 재사용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방식인데, 연중 신선한 고품질 식료품을 공급하고 농촌 경관 및 농촌 체험을 위한 공간들을 위해 자원순환형의 첨단농업파크의 형태를 시도하고 있다. 자원순환농업의 개념은 전통적으로 농촌공간에 화석연료 및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는 집약형태의 농업이 토양오염, 수질 및 대기오염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농축산물의 품질과 식품 안정성의 문제들을 발생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는 식품 생산, 가공, 유통 및 연구개발, 관광, 경관 등과 결합하여 하나의 집적된 농업파크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자원이 순환될 수 있는 개념을 담고 농업파크를 구성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해외사례로는 아그리포트(Agriport) A7 등 5개소, 국내사례는 김제 중촌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등 4개소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에서는 화석에너지 고갈과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에너지 비용 상승에 대비하고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술들을 개발하고 실용화하면서 자원순환 농업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자원순환 농업은 에너지 순환을 통한 생산 및 운영비 절감이라는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탄소저감 및 환경보전, 관련 시설을 운영하는 기업들의 동반 이익 등 공익 및 사회적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현재 기술의 처리가능한 바이오매스의 범위를 앞으로 일반 농작물까지 확대하여 경축순환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물, 바이오 공업원료, 바이오 연료 등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더 필요로 하였다. 또한 정부주도형보다 소비자주도형이 바람직하고, 식품클러스터 뿐만 아니라 국가 및 지역 클러스터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중국시장 등 안전한 판로가 동시에 개척되어야 하며, 태양열과 지열을 활용한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복지문화시설 등을 통해 지역주민, 직원과 조합이 소비자와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우리 농업이 앞으로 생태환경 보전과 에너지 및 자원 재생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농업으로 실현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요소들과 조성 및 운영방안들을 도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새만금 간척지의 제염을 위한 식재기반 처리에 따른 수목 생장량 비교

        지달님 ( Dallim Ji ),손옥용 ( Ockyong Son ),송재도 ( Jaed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새만금 간척지에 식재를 가능하게 하려면 식재기반 처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토양내에 함유된 염분은 수목생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식재기반 조성 시 제염처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한 효과적인 제염처리 기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각 식재기반 처리구별 수목의 수고, 수관폭, 평균가지고사율 등 수목의 생장량을 측정하여 제염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처리구는 단지1과 단지2로 구분이 된다. 단지1의 경우, 사전미제염의 토양에 5M간격으로 암거를 설치하였으며, 단지2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이 된 토양에 10M간격으로 암거를 설치하였다. 또한 각 단지별로 퇴비처리 유무구간을 두었다. 전반적인 수목의 생장량을 비교했을 때 사전제염처리를 한 단지2의 경우가 수고, 수관폭, 평균가지 고사율 등의 항목에서 단지1보다 우수했다. 각 처리구별 퇴비처리에 따른 수목 생장량에 있어서는 단지 2 보다 단지1의 퇴비처리의 유무에 따른 수목 생장량의 차이가 컸다. 이는 염분을 포함한 식재기반의 경우에 퇴비가 염분에 의한 피해를 상쇄하는데 더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단지1의 퇴비처리구와 단지2의 무퇴비 처리구의 수고, 수관폭 등이 유사했다. 이는 사전제염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퇴비처리로 사전강우 제염한 기반에서의 수목 생장량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목 생장에 가장 적합한 식재기반은 사전제염을 처리한 단지2의 퇴비처리구라고 볼 수 있으며 단지2의 퇴비무처리구와 단지1의 퇴비처리구는 수목생장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새만금 부지 내 식재기반 조성시, 수목이 생장하는데 효과적인 기반을 조성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보다 다양한 식재기반 처리구를 통한 비교가 필요하며, 세부 수종별로 각 처리구별로 수종의 생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