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 기반 교육 질 관리 체제 수립을 위한 인식 및 요구조사 : W대학을 중심으로

        손수경(Son, Sookyoung),홍수진(Hong, Sujin),이선경(Lee, Sunky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기반 교육 질 관리 체제 수립을 위해 대학 구성원 및 전문가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대학 내 구성원의 요구도를 분석하여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W대학 교직원과 데이터 기반 교육 질 관리 실무를 담당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순위응답분석, 중요도-수행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W대학 구성원과 전문가들은 ‘대학 구성원의 이해, 협조 및 참여’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부서 목표 설정’과 ‘데이터 분석 결과 공유플랫폼 마련’의 우선순위에서는 차이를 나타냈다. 대학 구성원의 과업별 요구도를 분석하여, 시스템 구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연구, 적용/환류, 정책연구 측면에서 과업의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집중영역 및 중요도, 수행도가 모두 높은 유지영역의 과업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 교육 질 관리의 성공적인 활동이 대학 경쟁력 강화에 필수적임을 인식하고 질 관리 활동을 내실 있게 수행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by conducting a perception survey on university members and experts to establish a data-driven educational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analyzing the needs of university members. To this end,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157 faculty members of W University and 6 experts who were in charge of data-driven quality management practice, and ranking response analysis,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W University members and experts recognized understanding,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university members as important, and indicated differences in priorities in setting department s goals and preparing a platform for data analysis results sharing .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through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data-driven quality management task for members of W University, the tasks in the concentration area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and the maintenance area with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derived in terms of system construc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search, application and feedback, and policy resear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cognizing that successful activities of data-driven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are essential to strengthening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suggesting a direction for performing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in a substantial way.

      • KCI등재

        학교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수경(Son, Sookyoung),이현정(Lee, Hyunjung),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학교 학습활동 및 교우관계가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에 질적으로 달라지는지 확인하고,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 학습활동, 교우관계의 각 변인별로 변화 양상을 검토한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초4∼초6)과 후(초6∼중3)의 기울기를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초등학교 시기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다가 중학교 시기에는 점차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은 두 시기 모두에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시기보다 초등학교 시기에서 그 감소율이 다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우관계는 두 시기 모두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시기보다 초등학교 시기에서 그 증가율이 다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초기치 간 관계에서는 초 4시점의 학습활동이 높고 교우관계가 원만할수록 같은 시기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 간의 관계에서는 같은 교급 내에서 학습활동의 감소가 작은 학생일수록 그리고 교우관계가 더 크게 증가하는 학생일수록 같은 시기의 삶의 만족도의 감소 추세가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교급 간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에서의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종단적으로 유의하게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s upon school on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years. A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ifferent patterns of change patterns the two school-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patterns of change in learning activities, friendships, and life satisfaction,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ing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methodology in that change patterns were estimated differently for the former period (elementary school 4th grade∼6th grade) and the later period (elementary school 6th grade∼middle school 3rd grade). Second, higher levels in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s on the par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led to a higher satisfaction levels in the same grade. Third, increases in learning activities and/or in friendships in each school-period influenced an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levels generally. Findings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s had longitudinal effects upon th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학교 학습활동 및 교우관계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이현정(Lee, Hyunjung),손수경(Son, Sookyoung),홍세희(Hong, Se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과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 학습활동, 교우관계와의 양방(nonrecursive) 관계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초4 패널 자료의 1차년도~6차년도 (초4-중3)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세 변인 간의 관계성에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만족도, 학습활동, 교우관계의 각 개념은 초등학교 4학년에서부터 중학교 3학년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측정 동일성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만족도와 교우관계, 학습활동과 교우관계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다음 시점의 교우관계에, 이전 시점의 교우관계는 다음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시점의 학습활동은 다음 시점의 교우관계에, 이전 시점의 교우관계는 다음 시점의 학습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학교 학습활동은 다음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다음 시점의 학습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세 변인 간의 관계성은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non-recursiv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activities and friendship.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applied, using the dataset taken from the 1st to 6<SUP>th</SUP> year of the 4<SUP>th</SUP>-panel data of the KCYPS.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nstructs of life satisfaction, learning activity, and peer relationship satisfi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with time from the 4<SUP>th</SUP> to the 9<SUP>th</SUP> grade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was found to have a reciprocal effect.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ctivity and peer relationship also showed a reciprocal effect. Specifically, the life satisfaction experienced previous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riendships created later and vice versa. The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ed in the pas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er friendships and vice versa. Third, previous lear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ater life satisfaction in one direction only, not in reciprocal way. Finally, according to our multi-group analysis,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onstructs during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연구동향

        홍세희(Hong, Sehee),조기현(Jo, Kihyun),이현정(Lee, Hyunjung),손수경(Son, Sookyoung),김효진(Kim, Hyojin),윤미리(Yoon Miri),강윤경(Kang, You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전체 구조를 확인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국내 모든 학술지에서 주제에 ‘resilience’를 포함하는 논문을 수집하여 청소년 대상의 연구만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성은 학교적응, 사회 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높았다. 이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연구에서 학교와 또래, 가족, 교사 관계가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클러스터 분석 결과, 23개로 분류되었고 이 중 5개의 클러스터 집단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주로 학교적응과 가족과 사회적 지지와 심리, 문제행동, 학업성취와 학업중단, 청소년활동과 긍정적 심리변인, 시설청소년과 탄력성으로 분류되었다. 구조적 공백은 자아존중감인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별 분석은 문제행동, 개인내적 심리요인, 개인외적 환경요인으로 중심성과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결과, 문제행동의 핵심 주제어는 비행과 문제 행동, 개인내적 심리요인은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개인외적 환경요인은 학교적응, 학교 탄력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파악하였다. 시기별 분석은 2001-2009년에는 보호 요인, 2010-2018년에는 학교 적응이 중심성이 높았고 구조적 공백은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으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과 관련한 핵심 연구주제의 특징과 지식 구조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방법론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핵심 주제를 분석하여 청소년 실천 및 연구 분야의 발전에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resilience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network analysis, journal articles that presented “resilience” as a keyword were use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entrality was high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 soci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dicating that school, peer, family, and teacher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topics in the resilience research amongst adolescents. In terms of cluster analysis, 23 clusters were classified and 5 major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structural hole was found to be self-esteem. The thematic analysis focused on problem behavior, individual internal psychologic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oreover, the flow in research trends is grasped at the macro level through ego network analysis. During the periods of 2001-2009 and 2010-2018, protective factors and the school factor showed high levels of centrality, and life meaning and self-esteem represented structural hole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