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교정환자 보호자들의 의삭에 관한 설문조사

        소유려,백병주,김재곤,양연미,이용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최근 치의학의 눈부신 발전과 소득의 증가에 따른 일반인의 의식 변화로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병원에 내원한 동기와 교정치료를 시작하게 된 동기,치료방법 및 치료기간을 파악하여,이를 토대로 보호자와 보다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를 파악하고,보호자들의 교정치료에 대한 기대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교정환자의 보호자 150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병원의 소아치과를 찾게 된 이유 중 대학병원이 좋을 것 같아서가 52.1%. 친지나 아는 사람의 권유가 25%. 다른 치과병원의 소개가 16.7%로 나타났다. 2. 내원 전 예상하였던 치료기간 중 2년 이상이 37.5%. 12∼18개월이 12.5%로 나타났다. 3. 교정치료를 받으려는 이유 중 부모가 부정교합을 발견하고 걱정스러워서가 58.3%, 주위사람들의 지적이 12.5%로 나타났다. 4. 소아치과 내원 환자의 치료방법은 구강 내 고정성장치가 41.7%, 가철성장치가 29.2% 구외 장치가 2.1%를 차지했다. 5. 예약 후 치료를 위해 기다리는 시간 중 5∼10분이 39.6%, 15∼30분이 4.1%로 나타났으며,기다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까지 괜찮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 5∼10분이 60.4%, 15∼30분이 2.1%로 나타났다. Recently, in proportion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dentistry and income increases it is growing more and more a concern about changed awareness in appearance, In this study, it had a grasp of the purpose for university hospital visiting, the motive of the commence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 method of the treatment as well as term. Based on the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keep more of the information between parent and doctors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for the needs of orthodontic treatment. In order to conduct researches, there has made a survey of 150 persons among orthodontic patients' parents who visit CBNU hospital, the pediatric dentistry. The study has found the results like these. 1. There was a question about the reason to visit CBNU hospital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for orthodontic treatment. 52.1% of respondents, the survey found, were more likely to receive a good medical service. 25% of them were counselled from a relative or an acquaintance. 16.7% of them were recommended by another dental clinic. 2. There was a question about the expected orthodontic treatment period, when at first hospital visiting. 37.5%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a 'more than 2 years', 12.5% of them said 'from 12 months to 18 months'. 3. There was a question about the reason to receive orthodontic treatment. 58.3% of the respondents, the survey found, answered the reason was parents' concern about the malocclusion of their children, 12.5% of them said a the orthodontic problem pointed out by entourages. 4. There was a question about the method of orthodontic treatment for patients who visit the department in pediatric dentistry. 41.7%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used as 'an intra-oral fixed appliance', 29.2% of them said 'an intra-oral removable appliance', 2.1% of them said 'an extra-oral appliance'. 5. There was a question about the waiting time for treatment after a dental appointment. 60.4% of the respondents said 'from 5 minutes to 10 minutes', 4.1% of them said 'from 15 minutes to 30 minutes'. There was a question about the extent of an acceptable waiting time. It was answered to 'from 5 minutes to 10 minutes' by 60.4% of them, 2.1% of them said 'from 15 minutes to 30 minutes'.

      • KCI등재

        시판되는 생수 내 무기물 함량에 관한 연구

        소유려,백병주,김재곤,양연미,김하나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3

        생수 내에는 많은 미네랄이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불소는 생수통에 반드시 표기해야 할 무기물이다. 칼슘, 마그네슘, 불소와 같은 무기물은 치아형성에 관여하며, 적절하게 섭취시 치아우식증을 예방할 수 있다. 현행 먹는 샘물 수질기준에 따르면 무해무기물질인 칼슘과 마그네슘에 대한 기준치는 없으며, 유해무기물질인 불소와 같은 무기물은 2 mgF/L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생수 15종을 대상으로 칼슘, 마그네슘,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생수 내 무기물 함량의 표기 여부 및 무기물 농도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5개의 생수 중 1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칼슘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칼슘농도는 34.68±31.84 mg/L, 최대 12.891±1.85 mg/L, 최소 2.0±0.02 mg/L이었다. 2. 15개의 생수 중 2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마그네슘 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마그네슘 농도는 9.22±11.06 mg/L, 최대 30.43±0.75 mg/L, 최소 0.0 mg/L이었다. 3. 15개의 생수 중 4개의 생수를 제외하고 모두 불소 함량을 표기하였다. 평균 불소 농도는 0.25±0.33 mg/L, 최대 1.13±0.04 mg/L, 최소 0.01±0.03 mg/L이었다. 모두 생수는 현행 먹는 샘물 기준치인 2 mgF/L 이하에는 만족시켰다. Drinking water has lots of minerals, especially calcium, sodium, kalium, magnesium, and fluoride must be labelled on the bottle about their contents. Minerals like calcium, magnesium, and fluoride have influence to the tooth development. Appropriately taking some minerals, dental caries can be prevented somewhat degree. There is no guide line about innoxious minerals like calcium and magnesium, however, noxious mineral like fluoride, should be contained less than 2 mgF/L according to the current drinking water standard. Hereup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in drinking water, so I studied 15 samples of domestic drinking water on sale about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and magnesium, fluorid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14 drinking waters in 15 samples showed various Ca concentration. The average Ca concentration is 34.68±31.84 mg/L. the highest is 128.91±1.85 mg/L and the lowest is 2.0±0.02 mg/L. 2. 13 drinking waters in 15 samples indicate the Mg concentration. The average concentration is 9.22±11.06 mg/L. the highest is 30.43±0.75 mg/L and the lowest is 0.0 mg/L. 3. 11 drinking waters in 15 samples indicate the F concentration. The average concentration is 0.25±0.33 mg/L, the highest is 1.13±0.04 mg/L and the lowest is 0.01±0.03 mg/L. All samples are satisfied the current drinking water standard, 2 mg F/L.

      • KCI등재

        5% EMLA cream과 20% Benzocaine gel의 도포마취 효능 비교

        이대우,백병주,김재곤,양연미,소유려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opical 5% EMLA cream versus 20% Benzocaine gel in reducing pain from intra oral needle insertion alone as well as injection of anesthetic. The 2 topical anesthetics were tested against each other bilaterally using a randomized, controlled, single blinded, split mouth design. Phase I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apidity of onset action of the two agents on anterior/posterior vestibules and anterior/posterior palatal mucosa. Phase II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two topical anaesthetic agents in reducing the pain of intraoral injections. The agents were left in anterior/posterior vestibules and anterior/posterior palatal mucosa for the amount of time recorded in phase I. Subjects recorded pain on a 100-mm modified visual analog scale(VAS). A pulse oximeter was used to record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ulse rates. In phase I of the study, two topical agents showed the longer onset of action at anterior part and vestibules than posterior part and palatal mucosa. EMLA cream showed the rapidest onset of action compared to benzocaine gel except on anterior palatal mucosa. In phase II of the study, the VAS grading of the pain for anesthetic administration showed EMLA cream was significantly(P<.05) better in elimination or reducing the pain on the anterior/posterior palatal mucosa. In conclusion, EMLA cream showed the rapidest onset of action compared to benzocaine gel except on anterior palatal mucosa. EMLA cream was found to be superior to Benzocaine gel with regards to pain reduction for anesthetic administration especially on anterior and posterior palatal mucosa. 이 연구의 목적은 도포마취제로서 5% EMLA cream과 20% Benzocaine gel의 구강 내 주사침 자입 및 마취제 주입시 전 /구치부 전정부와 구개부에서의 작용시간과 동통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두 가지 도포마취제는 양측성 무작위 단일 맹검법 분할 디자인으로 평가되었다. Phase I은 전/구치부 전정부와 구개부에 도포마취제를 도포한 후 각각의 도포마취제의 작용시간을 평가하였다. Phase II는 Phase I에서 측정된 시간을 기초로 각각의 도포마취제를 부위별로 적용하여 주사침 자 입 및 마취제 주입시 동통 감소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해 100-mm modified visual analog scale(VAS)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동통 수치를 기록하였고, 맥박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사용하여 주사침 자입 및 마취제 주입 전후의 맥박수 를 관찰하여 객관적인 동통 감소 효과를 비교하였다. Phase I 실험결과 두 가지 도포마취제는 전치부가 구치부보다, 구개부가 전정부보다 더 긴 작용시간을 보였다. 전치부 구 개부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EMLA cream이 Benzocaine gel보다 더 빠른 작용시간을 보였다. Phase II 실험결과 마취제 주입시 부위별 그룹에 따른 VAS Score를 보면 전치부와 구치부 구개부에서 EMLA cream이 Benzocaine보다 동통 감소 효 과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EMLA cream은 Benzocaine보다 전정부와 구개부 모두에서 빠른 작 용시간과 더 좋은 유지력을 나타냈다. 또한 EMLA cream은 Benzocaine보다 주사침 자입시 전치부 구개부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마취제 주입시 전치부와 구치부 구개부에서 Benzocaine에 비해 더 좋은 동통 감소 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아의 임상적 치험례

        이대우,양연미,김재곤,백병주,소유려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2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은 골조직, 신경계, 연부조직, 피부 및 내분비계 장애를 수반하며 상염색체 우성을 보이 는 유전질환으로 제17번 염색체의 장완에 위치한 종양 억제 유전자의 변성에 의해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진단에 도움을 주는 특징적인 소견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신경섬유종(neurofibroma)이고 그 외에 밀크 커피색을 띠는 밀크 커피색 반점(cafeau- lait spot)과, 홍채결절(Lisch nodule)이 있다. 신경섬유종증이 비교적 구강 내에서 발현하는 비율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부분의 경우 단독 혹은 다수의 신경섬유종이 존재하는 연조직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최근 전북대학교 병원에서 제1형 신경섬유종증으로 진단받고, 치아우식증 치료를 위해 본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만 4세의 남아와 그의 아버지에게서 제1형 신경섬유종증의 특징적인 치과적 소견을 발견하였기에 치료 경과와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eurofibromatosis is known as an autosomal dominant disorder caused by a mutation of a tumor suppressor gene on the long arm of chromosome 17 that affects the bone, nervous system, soft tissue, skin, and endocrine system. The most characteristic finding, which is helpful for clinical diagnosis as well, is the neurofibroma. Likewise brown macules called Cafe-au-lait spots with color of caffee latte, and Lisch nodules found around iris are useful to diagnose the disease. As known, the possibility of the neurofibromatosis occurred in oral cavity is relatively rare, and in most of cases it is related to soft tissue changes with single or multiple neurofibromatosi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present characteristic dental findings which were found in a 4-year-old male and his father, both diagnosed as neurofibromatosis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fore visiting our department, pediatric dentistry.

      • KCI등재

        제1대구치의 석회화와 맹출 양상

        정해경,양연미,김재곤,백병주,소유려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3

        Among the permanent teeth, the first permanent molars play the greatest role in occlusion and function. So, early diagnosis for congenital missing, abnormal eruption and abnormal formation is very important to the first permanent molars in the course of arch develop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first permanent molar's formation and eruption and between upper and lower one. A total of 545 children were selected am ong children who had visited our clinic, investigate eruption and calcification stage of permanent first molar, based on Gleiser and Hunt criteria for this study. 1. Gingival emergence of mandibular first molar is faster than maxillary first molar by 0.75~0.8 years, gingival emergence of maxillary first molar in girls faster than boys by 0.45 years, and that of mandibular first molar in girls faster than boys by 0.5 years. 2. There i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first molar on the eruption score and the calcification stage ; 5 year old children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ruption score. 7 year old children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both the eruption score and calcification stage. 3. It shows the most active eruption movement of crown on the maxilla while the root is rapidly widening its furcation and completing root formation to 2/3, on the other hand, the most active crown emerging on mandible is shown when the root formation completed to 1/4 to 1/2. 제1대구치는 치열의 교합 및 발육에 중요하게 관여하며 기능적, 형태적으로 건전한 교합의 발육 및 유지에 필수적인 치아이다. 치열의 발육과정에 있어서 제1대구치의 형성, 맹출 및 형태의 이상이나 선천결손의 발생여부를 조기에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1대구치의 맹출과 석회화 양상에 대해 조사하여 형성과 맹출의 상, 하악과 좌, 우 차이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2007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촬영한 545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제1대구치의 맹출 위치와, Gleiser and Hunt의 석회화단계의 분류를 이용하여 제1대구치의 석회화에 대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1대구치의 구강내 출은은 하악 제1대구치의 구강내 출은이 상악 제1대구치의 출은보다 0.75~0.8년 빠르게 일어났으며,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상악은 약 0.45년, 하악은 약 0.5년 먼저 출은했다. 2. 제1대구치의 석회화단계와 맹출 정도의 좌, 우 차이는, 5세에서 상악 좌, 우측 맹출 정도와, 7세에서 상악 좌, 우측 맹출정도, 하악 좌, 우측 석회화단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상악은 치근 분지부의 급속한 확대단계와 치근 2/3완성단계 사이에서, 하악은 치근 1/4완성단계와 치근 1/2완성단계 사이에 가장 많은 맹출 이동량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