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자아방어기제 및 학업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

        성에스더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Korean teenagers' somatization symptoms and find out the effects the factors have by examining, targeting on teenagers, the influence of self defense mechanism and schoolwork stress by gender on somatization symptom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92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who go to 3 senior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s a study tool, to measure defense mechanism, a scale used by Jang Suk-hui by her supplementing and revising Park Gyeong-hwa(1991)'s Ewha defense mechanism inspection was used, and to measure schoolwork stress, the factor scale developed by O Mi-hyang and Cheon Seong-min(1993)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Hye-ja(2006) was used. To find out somatization symptoms, the scale used by Ham Ja-young by selecting only somatization questions among simple spirit diagnosis inspection(SCL-90-R) manufactured by Kim Gwang-il, Kim Jae-hwan, Won Ho-taek(1984) was used. . The collected materials was analyzed by using SAS statisti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self defense mechanism and schoolwork stress according to teenagers' gender, and no difference in somatization symptoms. Second, in teenagers' somatization symptoms, in case of male teenagers, the total subordinate factor of self defense mechanism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school record, test, learning and class stress of schoolwork stress, and in case of female students, a self intoxication, an immature and a nervous stage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self defense mechanism,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school record, test, learning, class, course stress of schoolwork stress. Third, as to the influence of teenagers' self defense mechanism on somatization symptoms, it was found that, in case of both male and female teenagers, an immature stage and a nervous stage affect somatization symptoms. Fourth, as to the influence of teenagers' schoolwork stress on somatization symptoms, in case of male teenager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school record stress and class stress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schoolwork stress, the higher somatization symptoms, and in case of female teenagers, it was found that it affects somatization symptoms in the order of class and test stress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schoolwork stress. Fifth, regard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 defense mechanism and schoolwork stress on teenagers' somatization symptoms, in case of male teenagers, as an element significantly explaining somatization symptoms, the explanative power of 'immature stage', a subordinate factor of self defense mechanism, was largest, followed by school record, nervous and course stress. Also, in case of female teenagers, as an element significantly explaining somatization symptoms, like male teenagers, the explanative power of 'immature stage', a subordinate factor of self defense mechanism, was largest, followed by class stress.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for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eenagers' somatization symptoms, which is yet to be studied more, was recognized and relation between self defense mechanism and schoolwork stress and somatization symptoms was examined.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signifiant as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somatization mechanism.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남, 녀에 따라 자아방어기제와 학업 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한국 청소년들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그 요인들이 가진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의 1,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92명 이었다. 연구 도구는 방어기제를 측정하기 위해 박경화(1991)의 이화방어기제 검사를 장숙희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업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오미향과 천성문(1993)이 개발한 학업스트레스 요인 척도를 김혜자(2006)가 수정·보완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신체화 증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1984)이 제작한 간이 정신 진단 검사(SCL-90-R)중 함자영(2005)이 신체화 문항만을 채택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최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 하였다. 또한 자아방어기제, 학업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 하였다. Pearson's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대해 자아방어기제와 학업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대해 자아방어기제와 학업스트레스가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자아방어기제와 학업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었고 신체화 증상은 차이가 없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자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해 성숙단계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여자 청소년은 자아방어기제의 하위요인인 미성숙한 단계와 신경증적 단계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학업스트레스에서는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 보다 성적 스트레스가 높았고,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 보다 시험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 남녀간에 차이를 보였다. 반면 신체화 증상에서는 남녀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은 남자 청소년의 경우 자아방어기제의 전체 하위요인과 학업 스트레스의 성적스트레스, 시험 스트레스, 공부 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자아방어기제의 하위 변인인 자아도취 단계, 미성숙 단계, 신경증적 단계와 학업 스트레스의 성적스트레스, 시험 스트레스, 공부 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방어기제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 녀 청소년 모두 미성숙단계와 신경증적 단계가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자 청소년의 경우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성적스트레스와 수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의 경우,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수업스트레스와 시험스트레스의 순으로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대해 자아방어기제와 학업스트레스의 상대적 영향에서는 남자 청소년의 경우, 신체화 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자아방어기제의 하위요인인 ‘미성숙한 단계’의 설명력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성적스트레스, 신경증적 단계, 진로 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서는 신체화 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해주는 요인으로 남자 청소년과 동일하게 자아방어기제의 하위요인인 ‘미성숙한 단계’의 설명력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수업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아방어기제의 미성숙한 단계가 남,녀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아직 연구가 부족한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아방어기제와 학업스트레스가 신체화 증상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신체화 기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 동ㆍ서양 영화의 화면구성 특성 연구 : 한국영화 원작과 할리우드 리메이크영화를 중심으로

        성에스더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Differences in viewpoint stem from different ways of thinking, which are originated from cultural differences. During the 15-19th century,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West took the form of paintings, while they are now shown through films that transform three-dimensional reality of space in front of the camera into two-dimensional images on the screen. Movie researchers like Paul Schrader, Noël Burch and Angela Dalle Vacche argue that paintings, created in a distinctive angle that is emerged from each country's cultural background, have helped establish mise-en-scéne in modern film. In other words, culture determines how things are portrayed in films. Recently, Hollywood studios have bought copyrights to Korean hit movies and remade them. But it turned out that characte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ose remake films were changed from its original Korean setting. This change is partly due to preferences of each director and genre feature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national cultural differences brought such changes in remakes, and employed Edward T. Hall's “high and low context” and “proxemics”, and Geert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as theoretical bases to prove that point. The dichotomous cross-culture comparisons of Hall and Hofstede have been used in many researches as the useful tools to understand foreign cultures, despite limitations due to errors in the assumption that one country's culture is largely homogeneous and cultural distinctiveness of one group can be fitted into each individual and group in the nation. Based on those theorie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Korean movies and their Hollywood remakes in terms of storytelling and composition of the picture as follows. The result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of all, narrative structures of Korean films and their Hollywood counterparts showed their own national cultures through power distance, and individualism or collectivism but exhibited inconsistent tendencies to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avoidance of uncertainty. Next, distinctive national cultures were reflected in mise-en-scéne of Korean films and their Hollywood remakes. First, families in Korean films, which have longer power distance, took the linear and centralized forms, while their Hollywood counterparts brought forth families in the horizontal and decentralized forms. When it comes to delivering information, Korean movies made known it in a subjective point of view, while their Hollywood counterparts did it in a objective point of view with over-the-shoulder shots. Second, on individualism/collectivism, collectivism in high-context cultures and individualism in low-context culture were expressed through character's emotions. Korean movies appeared to be high context, because emotions were embedded in the background by long shots and extreme long shots. By contrast, Hollywood remakes were in low context because they showed emotions directly by taking close shots on faces and inserting scenes that are in contrast to the character's emotion. To sum up, in mise-en-scene, different levels of power distances were expressed in the forms of linear versus horizontal angle, close versus medium shot, diagonal versus horizontal angle, subjective versus objective point of view, and high/low angle versus horizontal angle. Second, individualism/collectivism is manifested through extreme long shots versus close shots, long take versus montage, and fixed versus moving camer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se two levels, it was found out that features of national cultures could be shown in mise-en-scen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since the modern times, the East has begun to embrace Western-style learning, but their cultural distinctiveness still appears in mise-en-scéne even though they see the world with the same eye - the camera. 시각의 차이는 사고(思考)의 차이에서 비롯되고, 사고의 차이는 문화의 차이에서 근본적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동·서양 문화 차이가 15-19세기에는 회화를 통해 나타났다면, 현재는 카메라 앞의 공간이 지니는 3차원적 현실을 화면 위의 2차원적 재현으로 옮기는 영화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Paul Schrader, Noël Burch, Angela Dalle Vacche 등 영화연구자들은 회화는 각 나라의 문화 배경에서 나온 독특한 구도로 그려진 것으로서 그것이 영화 특유의 미장센을 확립하게 했다고 주장한다. 즉, 문화 차이에 따라 그 시각화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최근 한국영화의 원작 판권을 할리우드 제작사들이 사들여 리메이크하고 있다. 그런데 리메이크영화에 등장하는 인물과 인간관계가 원작과 다르게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양상은 감독 성향과 장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이런 현상을 국가 문화 차이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보고 Edward T. Hall의‘고맥락과 저맥락’, ‘프록세믹스 proxemics’와 Geert Hofstede의‘문화 차원’을 차용했다. Hall과 Hofstede의 이분법적 문화 비교는 한 국가 문화는 동질적이라는 가정과 특정집단의 문화 특성을 개인과 집단 모두에게 적용할 수 없다는 점이 한계로 작용하지만 문화와 문화를 쉽게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틀로서 최근까지 많은 연구에서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것을 토대로 한국영화 원작과 할리우드 리메이크영화의 서사구조와 화면구성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영화 원작과 할리우드 리메이크영화의 서사구조는 권력거리와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에서 국가 문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으나 남성성/여성성과 불확실성 회피 성향에 대해서는 혼재된 양상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영화 원작과 할리우드 리메이크영화의 화면구성에서도 국가 문화 특성이 나타났다. 첫째, 권력거리가 큰 한국영화 원작에서는 가족의 모습이 수직적이며 중앙 집중적인 형태로, 할리우드 리메이크영화에서는 수평적이고 분산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정보 전달에 있어서 한국영화 원작은 인물의 주관적 시점으로, 할리우드 리메이크영화는 인물이나 사물을 걸쳐 찍는 방식을 사용하여 좀 더 객관화된 시점으로 보여주었다. 둘째, 개인주의/집단주의에서 집단주의의 고맥락 문화와 개인주의의 저맥락 문화가 감정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한국영화 원작은 롱 쇼트나 익스트림 롱 쇼트로 촬영하여 배경에 인물의 감정을 이입하는 고맥락적인 모습이 나타난 반면, 할리우드 리메이크영화는 얼굴을 클로즈 쇼트로 잡거나 인물의 감정과 대립되는 화면을 교차 편집하여 감정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저맥락적인 모습이 나타났다. 정리하자면, 화면구성에서 첫째, 권력거리의 크고 작음은 수직 대 수평구도, 클로즈 쇼트 대 미디엄 쇼트, 대각선 구도 대 수평구도, 주관적 시점 대 객관적 시점, 하이앵글-로앵글 대 수평앵글로 나타났고 둘째, 개인주의/집단주의는 익스트림 롱 쇼트 대 클로즈 쇼트, 롱 테이크 대 교차 편집(몽타주), 고정 카메라 대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이 두 차원의 분석 결과로 화면구성에도 국가 문화 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근대 이후, 동양에서 서구적 영화 학습이 이루어진 가운데 바라보는 도구―눈, 카메라―는 같지만 동·서양의 사고와 문화의 차이에 따라서 영화의 화면구성에도 서로 다른 문화적 특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밝혀낸데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