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당류 간식 선호도와 섭취빈도가 스트레스, 분노,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서호찬 ( Hochan Seo ),김호진 ( Hojin Kim ),강창수 ( Changsoo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당류 간식 선호도와 당류 간식 섭취빈도가 스트레스, 분노,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북 김천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30명으로 당류 선호도, 당류 간식 섭취 빈도, 스트레스, 분노, 공격성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당류 간식 선호도가 스트레스, 분노,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부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학업관련 스트레스, 분노의 하위영역에서는 분노 억제, 분노 표출, 분노 통제, 공격성의 하위영역에서는 반응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 주도적 공격성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나타나 당류 선호도에 대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류 간식 섭취빈도에서는 분노 표출과 관계적 공격성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당류 간식 섭취가 초등학생들의 스트레스, 분노, 공격성과 밀접한 관계 있음을 확인하였고 당류 섭취가 심리적, 정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올바른 당류 간식 섭취의 선택과 당 저감화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ugar snack preferences and frequency of sugar snack intake on stress, anger and aggres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330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based in Gimcheon, Gyeongsangbuk-do, used questionnaires on sugar preference, frequency of sugar snack intake, stress, anger and aggression. Multi-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sugar snack preferences on stress, anger, aggression has shown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ent-related stress, friend-related stress, academic stress, anger suppression, anger control, aggression. The frequency of sugar snack intak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anger expression and relative ag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ugar snack consumption was closely related to stress, anger, and aggres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at sugar consumption affected them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Based on this, it is intended to present basic data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elect the right sugar snack intake and reduce sugar.

      • KCI등재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관계에서 에너지전환, 거버넌스, 개인복지의 군집별 조절효과

        김민지 ( Minji Kim ),서호찬 ( Hochan Se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경제성장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관계에서 에너지전환, 거버넌스, 개인복지의 조절효과를 경제·사회적 발전수준에 따른 군집별로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130국이며, 분석 방법은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에너지전환은 고발전형과 중발전형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거버넌스 지표 중에서는 ‘발언권과 책임성’만 모든 군집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고, 개인복지는 저발전형에서만 유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서는 경제성장 속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보다 적극적인 에너지전환 노력이 요구되며, ‘발언권과 책임성’의 거버넌스는 모든 국가에서 강화될 필요가 있다. 최빈국의 경우에는 특히 개인복지 향상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경제·사회·환경의 실증적 관계성과 사회발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다만, ‘발언권과 책임성’의 거버넌스 강화에 기여하는 변인 규명은 본 연구의 한계이자 후속 연구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Energy conversion, Governance, and Personal welf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by Cluster according to the level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subject of the study is 130 countries, and the analysis method is General Linear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nergy conversion showe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High and Medium level Cluster. Among the Governance indicators, only ‘voice and accountability’ showe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in all Clusters and Personal welfar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Low level Cluster. In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Carbon dioxide, more active Energy conversion efforts are required in countries with high Economic growth rates. In particular, Governance of ‘voice and accountability’ needs to be strengthened in all countries. Also, in the case of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the improvement of Personal welfare should be given prio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development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However, identification of specific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trengthening of Governance of ‘voice and accountability’ is left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as follow-up research tasks.

      • KCI등재

        노인대상 우울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김일식(Kim, Ilsik),신혜숙(Shin, Hyesook),서호찬(Seo, Hochan)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우울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노인우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노인 우울 프로그램의 종류 및 운영진행요소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2010년부터 수행된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들 중에서 82편을 메타분석하여 통계적으로 효과크기를 요약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체평균효과크기는 -1.119으로 높게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유형별 평균효과크기는 예술치료가 가장 높았다. 회기 수에 대해서는 총회기수가 31회이상, 주당회기 수는 2회, 회기 당 활동시간에서는 91분 이상이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혼성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경우보다 비교적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향후 노인 우울 프로그램구성 시 첫째, 창의적인 활동을 통한 정서적인 측면을 다루는 예술치료의 요소를 반영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집단크기는 20명 이하, 주회기 수는 2회, 실시장소는 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활동시간에 있어서는 91분 이상 실시하는 것이 효과가 가장 컸으나 신체활동을 필요로하는 경우에는 노인들의 체력상태나 집중도를 고려할 때 60분을 넘지 않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총 회기 수에 있어서는 연구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고는 있으나 20회 정도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본 연구는 증가일로에 있는 노인 우울에 있어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노년기 정신건강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programs using meta-analysis of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n depression program of the elderl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ypes and execution factors of elderly depression programs, this study reviewed 82 precedent research among various depression Programs that have been conducted since 2010 in Korea by applying a meta-analysis and summarized the effects statistically. Looking at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ntire average effect is high in -1.119 and the arts therapy is the most effective in average effect by program types. When it comes to the number of sessions, it is very effective to hold sessions more than 31 time of totally, twice a week, and for longer than 91 minutes of activity hours. In case of gender, combined cases were relatively high than those for fema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hen developing the depression program of elderly, first, it will be much more effective to include the components of the art therapy dealing with the emotions aspects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econd, it is advisable to organized a group less than 20 persons, hold a session twice a week, use facilities. Third, it is most effective to act for more than 91 minutes in each session. But if it needs a physical activity, it may be appropriate to do less than 60 minutes considering health and concentration of the elderly. At last, although the studies has showed different results for total sessions, I suggest that the program should have about 20 tim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which is need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 for ever-increasing elderly depression,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mental-health for the elderly.

      • KCI등재

        한국노인의 자아통합감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김일식(Kim, Ilsik),김계령(Kim, Gyeryung),서호찬(Seo, Hochan)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3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56 studies published in Korea until April 2017 to systematically integrate factors of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The variables related to ego integrity were divided into 6 groups of variable, and the effect sizes were computed for each variable of their group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showed the middle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variable group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followed by the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 the physical variable, the familial variable, the social variable and the demographic variable. Second, the largest effect size of the sub-variables on the each individual variable group showed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 was life quality,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 was depression, physical variable was health behavior, familial variable was children relationship, social variable was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variable was economic status. As described above, suggesting that these variables may have a strong influence on ego integrity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ego integrity because the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ere shown as the largest effective variables related to ego integrity. 본 연구는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2017년 4월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56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통합감 관련 변인들을 6개의 변인군으로 나누고 각각 변인군에 대한 하위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였고, 변인군에 따른 효과크기는 긍정심리적변인군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부정심리적변인군, 신체적변인군, 가족적변인군, 사회적변인군, 인구통계적변인군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변인군에 대한 하위변인들의 효과크기는 긍정심리적변인군은 삶의 질, 부정심리적변인군은 우울, 신체적변인군은 건강행위, 가족적변인군은 자녀관계, 사회적변인군은 사회적지지, 인구통계적변인군은 경제상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자아통합감과 관련된 변인들 중 삶의 질,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남에 따라 이러한 변인들이 자아통합감 향상에 영향력이 클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뇌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김일식 ( Ilsik Kim ),김계령 ( Gyeryung Kim ),신혜숙 ( Hyesook Shin ),서호찬 ( Hochan Se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유아에서부터 노인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뇌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종속변수 및 활동요소들에 대한 효과크기를 통합적으로 분석 하였다. 1998년부터 2016년 4월까지 18년간 국내에서 연구된 논문 47편을 선별하여 CMA로 분석한 결과, 첫째, 전체평균효과크기는 1.072로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종속변수 유형 중에는 ‘인지’가 1.356으로 가장 컸으며, 연구대상별로는 유아 대상이 2.108로 가장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활동요소 중에서는 총회기수 24회(2.022), 주회기수 2회(1.783), 회기 당 활동시간 10-20분(1.940), 집단의 크기 31-60명(1.749)이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나 총회기수, 주회기수, 활동시간 및 집단의 크기와 효과크기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출판유형은 학술지논문(1.156)이 학위논문(0.927) 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향후 뇌교육 프로그램 구성은 총회기수 24회, 주회기수 2회, 집단의 크기 31-60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며, 활동시간에 있어서는 비교적 짧은 10-20분 정도 만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이 국내에서 수행된 뇌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종속변수와 활동요소들에 따른 효과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ynthetically analyzed effect size of dependent variables and activity factors on a brain education program carried out with learners in diverse age groups from kindergarteners to an elderly using a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electing and analyzing 47 domestic papers from 1998 through April 2016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0(CMA), I found 2 major distinction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1.072, which was great.Also, depending on the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cognition`` was 1.356, which was the greatest, and by the research subject, kindergarten children had the highest effect size which was 2.108. Secondly, concerning the activity factors,whe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was 24 times, the effect size was 2.022. The effect size was 1.783 with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twice, it was 1.940 with the activity time went for 10 to 20 minutes per session. When the group size was 31 to 60 persons, it was as high as 1.749; however, there were no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i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he activity time, and the group size. Among the types of publications, articles in journals (1.156)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size than dissertations (0.927). Likewi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in the future, if a program is to be composed of 24 sessions, twice per week, 31 to 60 persons in a group, and for shortly like 10 to 20 minutes, its effectiveness can be expec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by examining the brain education programs carried out in South Korea and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garding diverse activity factors of th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