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 첨가에 의한 김치의 발효조절

        서현선(Hyun-Sun Seo),김선화(Seonhwa Kim),김진솔(Jinsol Kim),한재준(Jaejoon Han),류지훈(Jee-Hoon Ryu)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5

        본 연구에서는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들을 탐색한 후, 선별된 식물추출물들의 항균력을 실험실배지(MRSB)에서 규명하였다. 이후, 우수한 항균력을 보인 식물추출물들을 김치에 직접 적용하면서 김치의 발효지연 효과를 확인하였다. 식물추출물 2,117종을 대상으로 agar well diffusion assay를 수행한 결과,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15종의 식물추출물들이 선별되었다. 선별된 15종의 식물추출물의 L. plantarum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한 결과, 자몽종자 추출물(0.0313 ㎎/mL), 소목열수추출물(0.2500 ㎎/mL),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1.0 ㎎/mL)이 L. plantarum에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들 식물추출물들의 김치 발효조절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1, 0.5, 그리고 1.0%)을 개별적으로 김치에 첨가하여 10℃에 20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pH 변화와 총균 및 젖산균의 개체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저장 5일만에 적숙기에 도달한 반면,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그리고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5와 1.0%)을 첨가한 김치는 적숙기에 도달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총균과 젖산균의 개체수의 변화에서도 관찰되었다. 즉,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그리고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5와 1.0%)을 첨가한 김치는 총균과 젖산균의 개체수가 식물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와 비교하여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들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자몽종자 추출물, 소목추출물,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을 김치에 직접 첨가함으로써 김치의 발효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We investigated the delay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Fifteen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activity aginst Lactobacillus plantarum by using an agar well diffusion assay, and determine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al lethal concentration (MLC) were determined. The lowest MIC for grapefruit seed extract (GFSE; 0.0313 ㎎/mL) was determined, followed by Caesalpinia sappan L. extract (CSLE; 0.25 ㎎/mL), and oregano essential oil (OREO; 1.0 ㎎/mL). GFSE, CSLE, and OREO were individually added to kimchi, and incubated the samples at 10 for up to 20 days.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GFSE (0.3 and 0.5%), CSLE (0.1, 0.3, and 0.5%), or OREO (0.5 and 1.0%)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H of kimchi, and als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Taken together,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can delay kimchi fermentation.

      • SCOPUSKCI등재

        한국산 벌꿀의 밀원별 단당, 이당 및 삼당류의 정량 특성

        장은숙(Eun-Sook Jang),김인숙(In-Suk Kim),이은진(Eun-jin Lee),서현선(Hyun-Sun Seo),이혜정(Hye-joung Lee),김은(Eun Kim),김경태(Kyung-Tae Kim),김종배(Jong-Ba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1

        한국에서 생산 및 유통되고 있는 서로 다른 밀원의 45개 벌꿀(아카시아꿀 15, 잡화꿀 15, 밤꿀 10, 사양꿀 5)을 대상으로, 단당류, 이당류 그리고 삼당류를 TMSO 및 TMSMe 유도체화를 만들어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카시아꿀, 잡화꿀, 밤꿀과 사양꿀에서 전화당의 총 함량은 각각 69.3±2.86, 66.4 ±3.28, 62.4±2.24와 68.0±2.32%였고, F/G 비는 1.61, 1.46, 1.90와 1.13이었다. 벌꿀시료에서 이당류는 약14종을 분리하였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보고된 cellobisoe와 melebiose는 모든 벌꿀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주요 이당류로는 turanose, maltulose, maltose, trehalulose, kojibiose, isomaltose, nigerose였으며, 꽃꿀에서 미량으로 존재하는 이당류로는 sucrose, α-trehalose, α,β-trehalose, laminaribiose, palatinose, gentibiose 등으로 나타났다. 이당류의 총 함량은 maltulose, turanose, trehalulose의 함량이 높은 밤꿀에서 14.2±2.43%로 가장 높았으며, 아카시아 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8.79±1.76%였다. 밀원별 벌꿀에서 7종류의 삼당류를 정량분석하였으며, 그 중 erlose는 사양꿀에서 4.59±1.28%로 가장 높았으며, 꽃꿀에서는 0.79-1.75%의 함량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당류와 삼당류의 총 함량은 maltulose와 turanose, trehalulose, isomaltose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밤꿀에서 16.0±2.03%로 가장 높았으며, 아카시아, 잡화꿀과 사양꿀에서는 각각 9.70±1.75%, 11.5±3.07%와 15.1±3.19%의 평균함량 분포를 보였다. Sugar profiles of 45 Korean honey samples (15 acacia, 15 multi-floral, 10 chestnut, and 5 artificial honey samples),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Korean market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rough TMS-oxime and TMS-methoxime derivatization. The average invert sugar contents in acacia, multi-floral, chestnut, and artificial honey samples were 71.2±1.05, 68.7±3.26, 63.2±1.85, and 68.0±2.10%, respectively. Fourteen disaccharides were detected from the samples, and the average content of major disaccharides was higher in order of turanose, maltulose, maltose, trehalulose, kojibiose, isomaltose, and nigerose. The average content of total disaccharides was highest in chestnut and lowest in acacia. Seven trisaccharides were detected from the samples, and the average content of trisaccharides was the highest in artificial honeys, which had high erlose content. The total content of disaccharides and trisaccharides was highest (16.0±2.03%) in chestnut honey and lowest (9.70±1.75%) in acacia honey.

      • SCOPUSKCI등재

        GC 및 GC/MS에 의한 벌꿀 중의 이ㆍ삼당류 정성 및 정량 특성과 개선된 동시분석방법의 확립

        김종배(Jong-Bae Kim),장은숙(Eun-Suk Jang),김인숙(In-Suk Kim),이희진(Hee-Jin Lee),이혜정(Hye-Jeong Lee),서현선(Hyun-Sun Seo),박남표(Nam-Pyo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벌꿀에 함유되어 있는 이·삼당류를 정성 및 정량하기 위하여 벌꿀분석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20개의 표준당류를 대상으로 TMS, TMS-oxime, TMS-methoxime 당류를 조제한 다음 GC 및 GC/MS에서 그들의 분리특성과 분리능을 조사하여 정성과 정량이 가능한 완전히 분리된 하나의 당류 피크를 선정하여 이를 벌꿀시료의 이당류와 삼당류 분석에 이용하는 것이다. 실험결과, 세가지 유도체화 당류들의 GC 및 GC/MS 분석에서 당류들은 정성 및 정량이 가능한 한 개 이상의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인 당류들의 피크 분리능은 GC보다 GC/MS에서 좀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최적 기기분석조건은 DB-5MSUI 컬럼을 사용하여, 초기 oven 온도를 175oC에서 5분간 두고 3℃ 씩 증가시킨 후 245℃에서 20분간 머무르다가 7℃씩 증가시킨 다음 315oC에서 10분간 등온 분석할 때였다. 각각의 유도체화 조건에서 완전한 분리로 정량이 가능한 당류는 TMS 당류에서 sucrose, maltose (1), (2), cellobiose (1), (2), palatinose, α,β-trehalose, kojibiose (2), melibiose (1), (2), gentibiose, isomaltose (1), (2), raffinose, 1-kestose, erlose, melezitose였고, TMS-oxime 당류에서 sucrose, α,α-trehalose, α,β-trehalose cellobiose (E), maltulose (E), turanose (Z), nigerose (Z), kojibiose (Z), palatinose (E), melibiose (Z), isomaltose (E), (Z)와 삼당류 전체였으며, TMS-methoxime 당류는 sucrose, cellobiose (E), maltulose (E), cellobiose (Z), turanose (E), maltose (Z), α,α-trehalose, nigerose (E), (Z), kojibiose (E), (Z), gentibiose (E), melibiose (Z), isomaltose (Z) 등과 삼당류 전체로 나타났으며, 실제 벌꿀시료의 분석에서는 TMS-oxime과 TMS-methoxime 당류만으로도 이·삼당류의 정량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분석방법은 몇개의 당류들이 동시 용출 또는 유사한 tR을 가짐으로 해서 분석자체에 애로가 있거나 분석 후 다중회귀분석프로그램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 기존의 분석방법과는 달리, 한 개의 capillary 컬럼과 한가지 GC 온도 프로그래밍 조건으로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완전히 분리된 하나의 피크를 정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벌꿀을 연구하는 기관이나 관련 실험실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improved analytical method with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was established to identify and quantify disaccharides and trisacchrides in honey. In this method, the analysis of trimethylsilyl (TMS), TMSoxime and TMS-methoxime sugars takes into account the determination of a single peak of complete separation on the chromatogram. The number of possible peaks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MS, TMS-oxime, and TMS-methoxime sugars was 17, 22, and 25, respectively. This new analytical method allowed for the determination of diand trisaccharides in honey by TMS-oxime and TMS-methoxime derivative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mproved method is more suitable and precise than the other analytical methods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ugars in hon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