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두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에서 기본소득은 제20대 대선을 통해 공론화되고, 성남시 청년배당이라는 이름으로 실험이 이루어지는 등 정책의 도입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본소득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이론적 논의나 제도모형을 구상하는 데 치중되어있어 실제 정책을 시행하는데 중요한 정책대상자의 태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정책대상자의 태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단순히 찬반을 묻는 것보다 쟁점별로 태도를 묻는 것이 더 유용하다. 기본소득의 경우 이론적 측면에서‘일하지 않는데도 기본소득을 줘야 하는지(조건성 쟁점)’, ‘어떤 인구집단이 가장 먼저 필요한지(대상자 쟁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지(재원마련 쟁점)’, ‘기본소득이 기존 복지제도보다 효과적인지(효과성 쟁점)’등의 쟁점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쟁점은 정책 설계의 실용적 차원에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태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기본소득에 관한 문헌들을 토대로 구성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했다. 자료 수집은 부산광역시 소재 6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 3학년 학생 1,2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51일 간 진행하여 모두 1,069부의 설문지를 회수했고 그 중 응답이 부실한 64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005부를 분석에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지정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년기본소득의 조건성, 대상자, 재원마련, 효과성 쟁점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지 정도에는 사회복지전공 유무, 주관적 등록금수준, 정치이념의 진보성, 빈곤원인인식, 증세태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봉사활동경험 유무, 주관적 취업가능성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건성 쟁점에는 가구주의 교육수준, 사회복지전공 유무, 정치이념의 진보성, 정치효능감, 빈곤원인인식, 증세태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봉사활동경험 유무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원마련 쟁점에는 사회복지전공 유무, 정치이념의 진보성, 빈곤원인인식, 증세태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효과성 쟁점에는 주관적 등록금 수준, 정치이념의 진보성, 빈곤원인인식, 증세태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취업가능성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소득에 관한 기존연구들이 대부분 이론적 논의나 제도모형 구상에 치중돼있는 반면, 본 연구는 청년기본소득의 정책대상자가 될 수 있는 대학생의 태도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논의를 확장했다. 둘째, 기본소득에 대한 지지 정도뿐만 아니라 쟁점별 태도까지 구체적으로 조사함으로써 향후 정책을 설계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를 제공했다. 셋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최초의 학술적 조사로써 큰 의의를 가진다. In recent years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a heightened debate on the basic income as one of alternative measures alleviating the agonies of the youth. In one locality, “Youth Dividend”, the first partial basic income for the youth in this country has been experimented and has received nationwide attentions. The basic income came to the fore as one of important agenda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held on May 9 2017. These shows the necessities and possibilities to introduce the basic income for the youth. However, existing studies on basic income have focused on developing theoretical discussions and institutional models, and despit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ttitudes of target people for introducing any policy,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attitudes of youth, the possible target group of the basic inco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attitude of the youth, and it may be more useful to inquire young people's attitudes to basic income by its issues than merely to examine whether they are for or against the basic income. In this study, issues of the basic income are classified into as follows: firstly, reciprocity issue, which is represented with following question like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income even if you do not work', secondly, target group issue, which is represented with following question like 'what kind of population is needed first', thirdly, financing issue, which is represented with following question like 'whether you can provide necessary financial resources', and finally, effectiveness issue, which is represented with following question like 'The basic income is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welfare system'. These issues has been approached in terms not only of theoretical perspectives but also of practical dimensions of policy design. This paper aimed to examine what the young people think about four issues of the basic income for th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the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towards the basic income and analysed factors influencing their attitudes. The study us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was compiled based on literature on basic income for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or 1,200 sophomore or junior students studying at six universities in Busan from September 11, 2017 to October 31, 2017. Totally 1,06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005 of them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SPSS 22.0. Below are the summaries of this study's result. First, The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for youth basic income was relatively high. Second,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youth basic income issues of reciprocity, subject, financing, effectiveness were shown to be positive. Thir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cial welfare major, subjective level of university tuition, political ideology, causes of the poverty, attitude on tax increa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for youth basic income. The presence or absence of volunteering and subjective employment possibil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for youth basic income. Fourth, householder's education level,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cial welfare major, political ideology, political efficacy, causes of the poverty, attitude on tax increa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ciprocity issue. The presence or absence of volunteer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reciprocity issue. Fif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cial welfare major, political ideology, causes of the poverty, attitude on tax increa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financing issue. Sixth, subjective level of university tuition, political ideology, causes of the poverty, attitude on tax increas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ffectiveness issue. The subjective employment possibil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ffectiveness issu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research on basic income is mostly focu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nd institutional modeling.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expanded the theoretical discussion by analyzing the attitud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can be the policy subject of the youth basic income and its influential factors. Second, it provided important reference materials for designing future policy by examining not only the degree of support for basic income but also attitude by issue. Third, it has great significance as the first academic survey to examine the attitudes toward youth basic income for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