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휴대전화 사용 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게임그룹 간 자율규제 동기의 차이

        서강훈(Gang Hun Se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모바일 폰 이용의 심리적 특성 중 내적요인과 이용 동기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내적요인에서는 자기조절력, 이용 동기에서는 대인관계, 즐거움, 현실회피 성취 욕구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018년 인터넷과 모바일폰 중독의 장기 추적 자료 중 자기제어 및 이용자 동기대책에 근거한 568건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윈도우 23 버전을 사용했고, 수집된 데이터는 피험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이었다, 또한 인체모형 변수를 분석하여 그룹 간 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독성은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SNS) 집단보다 모바일 폰 게임 집단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이용 동기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SNS) 집단이 대인관계 욕구가 높게 나타났고. 현실회피 욕구에서는 모바일 폰 게임집단이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SNS) 집단보다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즐거움 및 성취욕구 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모바일 폰 사용의 컨텐츠에 따라 모바일 폰 과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 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th mobile phone use. Internally, we want to find out about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leasure, and desire to achieve reality. For the research,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utilized 568 data based on self-control and user motivation among long-term tracking data of Internet and mobile phone addiction in 2018. The SPSS window 23 ver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s to identify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between group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dummy variable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ddiction was slightly higher in mobile phone game groups than in social network service (SNS) groups, but in the same period of use, social network service (SNS) groups showed a higher desire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desire to avoid reality, mobile phone game groups showed a higher gap than social network service (SN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pleasure and desire to achiev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mobile phone use differed in factors affecting mobile phone overuse,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 노지 생육 모니터링을 위한 이동형 영상 취득 시스템 제작

        서강훈 ( Gang-hun Seo ),이철우 ( Chul Woo Lee ),강예지 ( Yeji Kang ),이상호 ( Sangho Lee ),김국환 ( Gookhwan Kim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국내 노지 재배 면적은 최근 3년 기준 약 74,565 ha로 전체 재배면적의 약 93%를 차지하고 있다(KOSIS, 2023). 또한, 최근 인구의 고령화와 농업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의 해결책으로 노지 자동화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제초, 방제, 관수, 수확 등의 생육 모니터링 모델 개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작물의 생육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양한 작물과 생육 및 비표준화 된 고랑 등의 다양한 환경조건으로 인해 데이터 취득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지에서 안정적으로 작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영상 취득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이 시스템은 영상 시스템, 가변형 시스템 그리고 이동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첫번째로 영상 시스템은 안정적으로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짐벌을 설치하였다. 또한 두 번째 가변형 시스템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된 직육면체 형태의 프레임을 사용하였으며, 가로, 세로 그리고 높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프레임의 가로, 세로, 높이는 각각 1000mm, 1100mm, 1800mm이고, 세로 길이를 제외한 가로, 높이는 각각 400mm, 600mm로 가변 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세 번째 이동 시스템은 노지에서 이동하기 위해 고무바퀴를 설치하였다. 이 시스템의 기초 실험을 위해 다중분광 카메라를 설치하여 고추, 콩 등의 영상을 취득하였으며 노지에서 영상 취득 시스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노지에서 추가적으로 실험을 수행할 계획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미디어 음란물 노출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훈(Gang Hun Se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음란물 경험이 있는 전국 시도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대상으로 인터넷 음란물 경험과 자기조절력이 성범죄 유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목적적 유의할당 추론 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넷 패널 설문조사를 하였다. 기간은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약 한달 간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246부의 설문지를 얻을 수 있었고 그 중 음란물 경험이 없는 36부를 제외하고 총 210부를 자료 분석 하였고, 성폭력 유해행동 경험이 있는 응답자(85명)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분석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석도구는 SPSS WIN 20.0 프로그램 버젼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음란물이 청소년에게 있어 부정적 영향이 있음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들의 생활에 있어 인터넷을 많이 접함으로 인하여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음란물을 접촉할 수 있어 성폭력 문제 행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개연성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성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자기 조절력은 본 연구 결과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청소년 본인 의지만으로 가해행동을 이루어 지는게 아니라 즉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자기 조절력은 인터넷 음란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화시켜주는 조절변인으로써의 역할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시사점과 제한점 제언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nationwide city with experience in Internet pornography, we would like to find out the impact of Internet pornography experience and self-regulation on sex crime harmful behavior. For this study, an Internet pane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purposeful method of significant allocation inference. During the period, 246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or about a month from May to June 2018 and 210 parts were analyzed except for 36 parts with no experience of pornographic material, and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on 85 respondents with experience in harmful behavior of sexual violence. To this end, analysis tools used the SPS WIN 20.0 program ver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uld find that Internet pornography has a negative effect on teenagers. This shows the probability of developing sexual violence into behavior as people can experience pornographic material regardless of their will due to the high Internet access. Second, the self-regulation of sexual violence behavior is found to have no direct impact. This is not just the adolescent"s will to do so, but it is aff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hird, self-regulation has proven its role as a modulator to mitigate negative perceptions of Internet pornography. Based on this, the proposal for limiting current prices was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미디어 음란물 노출이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훈(Gang-Hun Se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2 No.3

        This study intends examine the relevance of factors with negative influences on anti-social sexual awareness formation in adolescents as per the concern of the parents of families with adolescents, as internet pornography exposure in adolescents lead to excessive indulgence in pornographic photographs, cartoons, videos, or fictions, or in video chatting with exposure of one"s own body parts. For this, the factors of internet pornography exposure in the study subjects of adolescents were constructed into a multilateral model,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First, the most powerful factor influencing the anti-social sexual awareness in adolescents was, contrary to the concern of many, not the exposure to pornography through internet media, but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nsation-seeking tendency and soc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 of differential association. Second, it is worth noting that the most major factor influencing intentional internet pornography exposure by adolescents is another form of pornography exposure. Third, whether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the internet-related variable influencing the internet pornography exposure was found to be the amount of internet usage. Fourth, the unintended internet pornography exposure was found to have no direct influence on the sexual awareness of adolescents, but it did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sexual awareness mediated by intentional internet pornography exposure and existing-media pornography exposure.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conclusion was drawn regarding the influence of internet pornography on sexual awareness in adolescents.

      • 작물인식 인공지능모델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토마토 분할 Annotation 방식 비교

        서강훈 ( Gang-hun Seo ),김용현 ( Yong-hyun Kim ),손민하 ( Min-ha Son ),권경도 ( Kyung-do Kwon ),홍영기 ( Youngki Hong ),김경철 ( Kyoung-chul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농업인구 감소 추세와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농업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화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을 활용한 작물 인식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농작물 데이터는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Annotation 방식에 따라 모델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토마토 영상의 Annotation 방식을 규명하기 위해 두 가지 Annotation 방식으로 라벨링된 데이터 셋을 각각 학습하고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토마토 영상은 국립농업과학원(Wanju, Korea)의 첨단온실에서 취득하였다. 영상 데이터는 RGB-D 카메라(D435, Intel, CA, USA)를 활용하여 취득하였으며, 총 269장의 영상에 1,990개의 과실 정보가 포함된다. Annotation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식은 영상에 노출 되어있는 토마토만을 Annotation하는 방식으로, 폐색으로 인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부분을 제외한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토마토의 부분만 Annotation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영상에 노출 되어있는 토마토에 폐색이 있는 경우,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폐색 뒤의 토마토 과형을 예측하여 Annotation하는 방식이다. 앞의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 데이터 셋은 YOLACT 알고리즘을 통해 각각 학습되었으며, Epoch과 Batch size 및 학습율은 각각 300, 16, 0.001로 설정되었다. 그 결과, 두 가지 학습방식에서 Total Loss의 최종 수렴 값은 각각 1.0616 및 1.0728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두 방식 모두 Total Loss 값이 높은 이유는 데이터 수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에는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여 인식 모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생육 모니터링 개발을 위한 근접, 광역 촬영 투입비용 비교 연구

        강예지 ( Yeji Kang ),이철우 ( Chul Woo Lee ),서강훈 ( Gang-hun Seo ),이상호 ( Sangho Lee ),김국환 ( Gookhwan Kim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농작물에 발생하는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초강력 태풍 발생, 지구 연평균 기온 상승에 따른 해수면 상승, 가뭄과 홍수 발생 빈도 증가, 곤충 생태계 붕괴 등 기후변화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야기하며 최종적으로는 식량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 노지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은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충이 급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분광카메라를 이용하여 근접, 광역에서 농작물을 촬영하고, 취득한 이미지를 분석 후 생육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근접은 가변형 플랫폼에 다중분광카메라를 수직으로 거치하여 1m씩 이동하며 촬영하였다. 촬영 높이는 1.9m로 한 프레임당 1.7m*1.3m 면적이 촬영되며 플랫폼의 폭과 높이는 작물별 두둑 폭과 최종생육상태를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광역의 경우 동일한 다중분광카메라를 드론에 장착하여 촬영하였다. 25m 높이에서 촬영하였으며 한 프레임 안에 약 22.3m*16.7m 면적이 촬영된다. 근접, 광역 촬영은 촬영 높이 차이로 GSD(Ground Sample Distance)는 150배 이상 차이 난다. 따라서 생육모니터링 항목에도 차이가 있다. 투입비용 비교산출은 하드웨어 구축비용과 소요시간에 따른 인건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광역촬영이 효율적이었다. 하지만 생육모니터링 측면에서는 근접촬영에서만 가능한 절대적인 항목이 다수 있었다. 따라서 목적에 따라 촬영 방법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값은 앞으로의 생육모니터링 개발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향후 근접 플랫폼 개발의 경제성 분석 비교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다중분광 멀티 카메라를 이용한 노지 식물 영상 기반 영상 정합 및 객체 분할

        이상호 ( Sangho Lee ),강예지 ( Yeji Kang ),서강훈 ( Gang-hun Seo ),이철우 ( Chulwoo Lee ),김국환 ( Gookhwan Kim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식물 영상에서 객체 분할은 식물 표현형 특징의 식별/분류 및 정량화를 위한 컴퓨터 비전에서 중요한 작업이다. 분할은 영상을 분석하기 쉽도록 단순화시킨 표현으로 변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노지에서 다중분광 멀티 카메라로 식물을 촬영하는 환경에서 각 밴드별 영상을 정합하고, 식물을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촬영에 사용한 카메라는 micasense Altum-pt로, red, green, blue, red-edge, NIR 5개 파장과 panchromatic, IR까지 촬영이 가능하다. 해당 카메라는 7개의 렌즈로 각각 단일 파장의 영상을 취득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분석을 위해서는 영상을 정합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하나의 파장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4개 파장의 영상을 정합하는 방식으로 적용하였다. 영상 정합 방법으로는 각 영상들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매칭시키는 ORB (Oriented Fast and Rotated BRIEF)가 사용되었다. ORB를 이용한 특징점 매칭의 대략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특징점 검출 알고리즘인 FAST를 사용하여 각 영상에서의 keypoint를 추출한다. 그리고 BRIEF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앞서 FAST 알고리즘으로 추출한 keypoint를 이진 특징 벡터로 변환한 descriptor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feature 매칭을 통해 영상 간의 대응점을 찾아서 매칭시킨 후 정합한다. 다음으로 식물의 잎이 가진 색의 특성을 이용하여 배경으로부터 분할한다. 식물의 잎은 일반적으로 가시광 영역에서는 red, blue 채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green 채널에서 높은 픽셀값을 가지며, 적외선 영역에서도 높은 밝기값을 가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픽셀값에 대한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영상에서 식물만 분할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다중분광 멀티 카메라로 촬영한 각 파장의 영상들을 정합하여 분석 및 활용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이를 통해 식물분할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등 활용할 계획이다.

      • 토마토 인식을 위한 효율적인 학습데이터 가공 방법 연구

        손민하 ( Min-ha Son ),권경도 ( Kyung-do Kwon ),김원경 ( Won-kyung Kim ),홍영기 ( Young-ki Hong ),서강훈 ( Gang-hun Seo ),김경철 ( Kyoung-chul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현재, 국내 토마토 생산의 대부분이 시설재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토마토 재배면적은 6,010ha로 전체 시설작물 재배면적의 약 7.26%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생산량 증가, 생산비 감소 및 상품화율 증가 등으로 인하여 일반 시설재배에서 스마트 온실로 전환하는 농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와 관련하여 수경재배 방식으로 재배되는 토마토의 방제, 수확 등의 전반적인 작업을 농업용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특히, 작물인식은 농업용 로봇의 필수적인 요소기술로써, 작물 인식 시에 잎이나 줄기 및 다른 과실에 의해 가려져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 중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로봇의 작물 인식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작물의 가려진 부분을 고려하여 라벨링 한 학습모델과 고려하지 않고 라벨링한 학습모델의 인식 정확도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학습데이터 가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모델학습에 이용된 데이터셋은 총 269개의 이미지와 1,990개의 어노테이션 데이터로, 국립농업과학원(전라북도 완주군)의 스마트 온실에서 RGB-D 카메라(D435, In tel, CA, USA)로 촬영하였다. 또한 bounding box 기법을 사용하여 라벨링 하였으며, 75% 이상 가려진 토마토와 뒷 배지의 토마토는 제외하였다. YOLOv4 모델을 활용하여 기계학습을 진행한 결과, IoU50 (Intersection over Union)에서 최고 mAP (mean Average Precision)는 가려진 부분을 고려한 모델과 고려하지 않은 모델이 각각 74.86%, 72.06%로, 가려진 부분을 예측하여 라벨링 한 학습모델의 정확도가 2.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모델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낮은 정확도로 판단되므로, 추후 연구에서 더 많은 양의 데이터셋를 적용하여 모델의 정확도를 향상 시켜 두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