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Poetry about Isolation and the Sanatorium : Resisting Hatred toward People in Sickness

        사카사이 아키토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2 No.1

        This paper considers the issue of isolating people in sickness by referring to an ideological view over disabilities that is presented by the offender of the Sagamihara care center massacre in 2016 and criticisms from researchers toward such a view. To build my own discussion, I will refer to the literary work by residents of a Hansen’s disease care center, who are also zainichi Koreans(resident Koreans in Japan) who had to remain in the care center even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Empire after the end of World WarII. The literary activities of two figures, Kim Ha-il and Koyama Sueko, are targets of literary analysis in this paper. I will trace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ir self-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of isolation through creating tanka(Japanese poetry) and poetry. I will especially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wn bodies and languages and how they understand their surrounding discrimination that were structured through the modern history of Japan. This paper discusses not only the internal psychological world of the two poet/poetess but also how their expressions were inevitably tangled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were forced to stay against their will by the government eugenic policies and societal prejudices. A goal of this paper is to get a clue from such an experience of isolation to reflect on hatred in the age of the pandemic. 본고에서는 2016년에 발생한 사가미하라 장애인 시설 살상 사건에서 범인이 드러낸 ‘장애’관과 그러한 관점이 연구자들에 경종을 울린 것을 계기로 하여 ‘병자’를 ‘격리’하는 것에 대해 고찰한다. 이때 참조하는 것이 일본제국주의 붕괴 후에도 일본에 남을 수밖에 없던 재일조선인 한센병자의 문학작품이다. 본고에서는 김하일(金夏日), 가야마 스에코 (香山末子)라는두사람의문학적영위를분석대상으로삼아그들이노래/시 짓는행위 를 통해 재구축하는 자기인식과, ‘격리’라는 상황에 대한 이해방법을 더듬어본다. 특히 식민지조선 출신인 한센병요양소의 입소자가 교차성(intersectionality)을 가진 구조적차 별 속에서 자신의 신체와 언어의 관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그리고 자신의 ‘삶의 장소(居 場所)’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살펴본다. 본고가 그러한 문학표현을 통해서 도출한 것은 병자 개인의 내적인 정신세계만이 아닌, 병자 스스로가 자신의 표현을 획득해가는 과정 으로, 그것은 자신이 놓인 환경이 어떻게 구축된 것인지를 이해하는 과정과 불가분의 관 계가 있다는 점이다. 거기에서 그려지는 ‘격리’라는 현실을 통해 ‘팬데믹 시대의 혐오’에 대해 생각할 실마리를 얻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