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모음에 관한 연구

        사공환(Sa gong Hwa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4 일본연구 Vol.22 No.-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음성 습득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은 항목의 하나로 모음의 장단 구분을 들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습자에 의한 일본어 모음의 장단 지각시 나타나는 오류 경향에 대해, 학습자의 학습기간, 단어 내 장음 위치, 악센트형, 단어 길이라는 네 가지 요인을 관점으로 하여 이들이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방언 화자 88명을 학습기간에 따라 A군, B군, C군으로 나눈 피조사자군를 대상으로 청취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취조사에서 학습자에게 단어 내 요인을 고려한 단어 음성을 듣고 단어 내 장음의 유무와 장음이 있는 경우 그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먼저, 한국인 학습자는 학습 기간이 늘어날수록 일본어 모음의 지각변별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 단어 내 장음 위치를 잘못 판단하기보다 장음을 단음으로 잘못인지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둘째로, 한국인 학습자의 단어 내 장음 위치의 판단은 어두나 어중 보다 어말에서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생성면에서도 장음 발음이 어말에서 어렵다는 결과가 있어 지각면과의 상관성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악센트형에서는 피치가 높은 HH형이나 LH형 장음의 청취가 용이하고 LL형 장음의 청취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음에서의 높은 피치가 학습자의 지각 판단에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장음의 지각보다는 단음의 지각이 더 용이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Korean students who are learning Japanese perceive long and short vowels in Japanese. Eighty-eight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testing. The grouping was made according to the learning period. The perception of each student is measured with a listening test of 68 words that have different pitches, long vowel positions, and accent types. From this test, the following results emerged. First, as the learning period becomes longer, learners are able to perceive vowels better. This result should be obvious. But it is somewhat surprising that students have more trouble in perceiving the difference between long and short vowels than the positions of long vowels. Moreover, the factors boundary dividing the long and short vowel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ative speakers. Second, it is more difficult to perceive long vowels when they are in a final position compared to in the initial or middle positions. Third, students can perceive more accurately in the HH accent type or LH accent type than the LL accent type. Finally, students have more difficulty perceiving long vowels than short vowels.

      •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에 의한 일본어 모음의 장단 구분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사공 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10 통합인문학연구 Vol.2 No.2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에 의한 일본어 모음의 생성에 단어 내 위치와 음절구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모어화자 음성과 비교하며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모음 음성의 음향적 특성에 관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 낼 수 있었다. (1) 단어 내 위치에 관계없이 한국인 학습자가 발화한 일본어 단모음의 길이가 일본인화자의 단모음보다 긴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어휘적인 오류를 제외한 모음의 장단에 관한 오류는 장모음을 짧게 발음함으로써 발생하기보다는 단모음을 길게 발음함으로써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어두 위치에서보다 어말 위치에서 장모음과 단모음의 시간 간격이 더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2) 음절구조와 모음의 길이와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한국인 학습자의 어두 위치의 단음절의 모음은 직후에 장음절이 올 때보다 단음절이 올 때 더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말에서는 단음절 모음의 길이에 음절구조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장모음에 있어서는 음절구조와 관련해 어떤 위치의 장모음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ffection of word position and syllable structure in the production of Japanese long and short vowels by Korean L2 learners. Subjects performed pronunciation tasks and the experimental sounds recorded were analyzed acousticall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acts : (1) Regardless of word posi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duration of Japanese short vowels by Korean learners was longer than those of Japanese. This result suggests that errors in the production of vowels by Korean learners may be caused by lengthening the duration of short vowels rather than the shortening of long vowels. The duration interval between the long vowel and short vowel in the word final position was shorter than in the initial word position. The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yllable structure and vowel length showed that the duration of short vowels in initial word position were longer before light syllables than before heavy syllables. In word final position and in long vowe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syllable structure were ob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