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택정책 소고

        변영진 대한건축학회 1985 建築 Vol.29 No.6

        주택문제에 관련하여 정부의 역활은 무엇이며, 주택정책의 수혜자는 누가 되어야 하고, 무슨 목적으로 어느정도의 공공재원이 쓰여져야할지 등의 논의는 차라리 뒤로쳐져 있다고 보인다. 물론 이러한 기본적인 [이슈]에 관한것들이 여러 가지의 주택문제와 자주 거론되는 것을 보기는 하나, 자세히 뜯어보면 표피의 미화단장이거나 좋게보아도 도덕적 관심의 표명에 불과하다는 느낌을 버릴수 없다.

      •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자율성

        변영진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18 No.2

        I think, ‘the autonomy of logic’ Wittgenstein says in the 5.473 of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means ‘the autonomy of linguistic logic(Sprachlogik)’. In my position, the autonomic logic consists of two types of linguistic logic. The first linguistic logic is ‘the syntax of the logical constants’, by which Wittgenstein determines the tautology of logical proposition without the aid of primitive propositions. The second linguistic logic is ‘the syntax of names’, by which the meaningfulness of elementary proposition is determined. Therefore, ‘Wittgenstein’s autonomy of logic’, i.e. ‘the autonomy of linguistic logic’ would mean ‘the autonomy of linguistic grammar’. In addition, I will argue that ‘the grammar of logical constants’ is essentially necessary, but ‘the grammar of names’ is arbitrary. The point of the difference is that the former is dependent on the world, more accurately on the scaffolding of the world, and the later is independent of all reality. 이 글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이 『논리-철학 논고』 5.473에서 말하는 ‘논리 자율성’이 ‘언어 논리(Sprachlogik)의 자율성’을 뜻함을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자율적 논리를 두 가지의 언어 논리로 구분할 것이다. 그 첫 번째 언어 논리는 ‘논리상항들의 구문론’인데, 비트겐슈타인은 그를 통해 논리적 명제의 동어 반복을 근본 법칙의 도움 없이 규정한다. 그리고 두 번째 언어 논리는 ‘이름들의 구문론’으로, 그를 통해 요소 명제의 뜻 있음이 규정된다. 이에 따라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자율성’ 즉 ‘언어 논리의 자율성’은 ‘언어 문법의 자율성’을 의미할 것이다. 나아가 ‘논리상항들의 문법’이 본질적으로 필연적인 반면, ‘이름들의 문법’은 자의적임을 논증할 것이다. 그 차이점의 핵심은, 전자가 세계, 보다 정확히 말해 세계의 틀에 의존하지만, 후자는 모든 실재로부터 독립적임에 있다.

      • 특집 - 주상복합건축 : 주상복합건축 정책의 목표와 효과 ( Objectives and Effects of the MXD Building Policies )

        변영진 대한건축학회 1994 建築 Vol.38 No.7

        주상복합건축이 90년대에 들어 새로 새워지는 건축형태는 아니다. 퇴계로3가에서 종로4가까지 관통하는 세운상가는 이미30년이 넘었다. 세운상가가 들어선 때에는 주상복합건축을 따로 규제할 법령이 전혀 없었으므로 다만 건축가를 창의적 작업과 행정가의 충만한 의욕이면 어디고 가능한 건축형태이었다.

      • KCI등재

        흄의 자연주의와 덕 윤리

        변영진 한국윤리학회 2023 倫理硏究 Vol.140 No.1

        Hume’s ethics begins with the assertion that all human perceptions are either impressions or ideas. And since virtue and vice are not discoverable merely by reason, it must be by means of some impression or sentiment. Therefore Hume thinks that morality is more properly felt than judged of. To have the sense of virtue is nothing but to feel a satisfaction of a particular kind from the contemplation of a character. The very feeling constitutes our praise or admiration. Furthermore, he divides virtue into natural virtue and artificial virtue. 흄의 윤리학은 인간의 모든 지각이 인상과 관념으로 이뤄진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그런데 도덕성, 즉 덕과 악덕은 이성을 통해 인식될 수 없으므로 오직 인상을 통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그는 도덕성이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느껴지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덕(또는 악덕)을 감각하는 것은, 어떤 성격(품성)에 대해 특정한 만족감(또는 거부감)을 느낌에 다름 아니다. 바로 이 느낌이 칭찬(또는 비난)을 구성한다. 나아가 그는 덕을 자연적 덕과 인위적 덕으로 구분했다.

      • KCI등재

        스미스의 공감과 공정한 관망자: 흄과 칸트의 사상과 연관하여

        변영진 한국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7 No.1

        In this article I interpret Smith's sympathy and impartial spectator in relation to thoughts of Hume and Kant. Smith's ethical thought is similar to that of Hume in a broad context. Smith thinks like Hume that moral judgment is caused by the moral sentiments, namely the feelings of approval or disapproval, and also that the moral sentiments are formed through sympathy(or antipath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ectator. However, his sympathy and impartial spectator which form moral judgment and moral sentiment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ey can't be understood in Hume's thought. Above all, Smith doesn't think unlike Hume that the sympathy is established by the perspective of utility. It is the ground in which I examine Smith's sympathy and impartial spectator in connection with Kant's thought. The impartial spectator which is the point of view of sympathy, takes the human dignity of Kant's moral law as its conten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uman dignity of ​​both is revealed through the overcoming of self-deceit in similar way. 이 글은 스미스의 ‘공감’과 ‘공정한 관망자’에 대해 흄과 칸트의 사상과 연관하여 고찰한다. 스미스의 윤리사상은 우선 흄의 사상 틀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흄과 유사하게 도덕 판단이 시인감과 부인감이라는 도덕 감정에 기인하고, 도덕 감정은 관망자의 관점에서 공감(또는 비공감)을 통해 형성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도덕 판단 그리고 도덕 감정을 이루는 스미스의 ‘공감’과 ‘공정한 관망자’는 흄의 생각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고유한 특징을 갖는다. 무엇보다도 그는 흄이 생각하듯이 유용성의 관점에서 공감이 성립된다고 보지 않는다. 이에 따라 흄과 상반된다고 평가되는 칸트의 사상과 연계하여 접근할 수 있다. 공감성립의 관점인 공정한 관망자는, 칸트의 도덕법칙이 말하는 인간존엄을 그 내용으로 삼는다. 그리고 양자의 인간존엄 사상은 자기기만의 극복을 통해 유사한 방법으로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흄의 행복과 화가의 윤리학

        변영진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2 초등도덕교육 Vol.- No.79

        Hume’s anthropology, i.e., ‘anatomy’ reveals which principles of human nature operate in fundamental beliefs and moral ideas. Therefore, happiness cannot be the subject of inquiry in anthropology because it lacks a common belief. His four happiness essay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draw(express) beautifully’ this very fact. With the help of ‘anatomy’, the ‘painter (Hume)’ presents four seemingly convincing possibilities for happiness, but none of them were actually set forth as truth. His ‘practical happiness’ like this will provide an educational method in school so that students can find their own happiness. 흄의 인간학, 즉 ‘해부학’은 인간의 근본신념, 도덕관념 등에서 어떤 인간본성 원리가 작동하는지 밝히고자 했다. 그런데 공통적인 믿음이 형성되지 않은 행복(관념)은 ‘해부학’의 탐구주제가 될 수 없다. 그의 네 편 행복에세이는 바로 이와 같은 사실을 ‘아름답게 그리고자(표현하고자)’ 한 시도로 볼 수 있다. ‘해부학’의 도움으로 ‘화가’ 흄은 설득력 있게 보이는 네 가지 행복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사실 그 중 어떤 내용도 진리로 내세우지 않았다. 이와 같은 그의 ‘실천적 행복’은 도덕과 학교현장에서,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행복을 찾는데 적절한 교육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과 윤리

        변영진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7 No.1

        이 글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과 연관하여, 그 전·후기 윤리관에 접근한다. 우선 그의 언어사상이 일관적으로 철학적 문법론에 있다고 볼 것이다. 전기의 철학적 문법론은 논리적 구문론이고, 후기의 그것은 언어놀이인데, 필자는 후기의 철학적 문법론이 전기사상의 오류극복 결과라 생각한다. 그리고 각각의 언어사상이 적용된 전·후기 윤리관의 특징과 그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후기의 윤리관이 전기의 그것에 비해 우월함을 지적할 것이다. 전기 논리적 구문론에 따르면 ‘좋음’에 대해서는 다만 소극적으로 침묵에 머물러야 한다. 하지만 후기 언어놀이에 따르면 ‘좋음’에 관해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의 『논리-철학 논고』와 후기의 『철학적 탐구』에서 드러나는 언어사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윤리관에 적용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강의록들을 분석한다. 전기의 윤리관은 “윤리학 강연”으로, 후기의 윤리관은 “강의 1932/33”의 해석으로 밝히겠다.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 the early and late ethics of Wittgenstein from the view of his philosophy of language. First of all, the premise is that his thoughts of language are constantly in philosophical grammar. I think, the philosophical grammar of the early period is logical syntax, and the later one is language game. And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of the pre and post ethical views to which both language thoughts of Wittgenstein are applied. In particular, I insist that later ethics points out superiority to that of the first. According to the logical syntax, you should passively silent on the goodness. However, according to the language game, you can actively express the goodness. In the research method, the lectures a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thoughts of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and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re applied to ethics. The early ethics is revealed in the "A Lecture on Ethics", and the latter in "Lecture 1932/3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