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고사리삼을 중심으로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

        선병윤,백태규,김영동,김찬수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3

        Phy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and a phylogenetic position of Mankyua were estimated through analyses of chloroplast rbcL gene sequences and spore morphology. Sequence analysis of the rbcL gene clearly indicated that there are two major lineages in the family Ophioglossaceae: Botrychioid lineage and Ophioglossoid lineage. The Botrichioid lineage is composed of three distinct clades: Botrychium, Helminthostachys and Mankyua, where Helminthostachys and Mankyua were placed as sister groups to the Botrychium. Within the genus Botrychium, subgenera Septridium and Botrychium were monophyletic, while taxa of subgen. Botrypus branched as sister of the two, successively, thus making a non-monophyletic group. Ophioglossum formed the Ophioglossoied lineage, where the subgen. Ophioglossum is monophyletic, while subgen. Cheiroglossa and Ophoderma formed a sister relationship with subgen. Ophioglossum. In terms of external morphology and spores, Mankyua is most similar to Helminthostachys, however, patristic distance in the cladogram and trophophor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enera are distinct. Therefore, Mankyua is a well defined genus within the family in terms of morphology as well as molecular phylogeny which places it in basal position of the Botrychioid lineage on the gene tree. 엽록체 rbcL gene의 염기서열과 포자의 형태를 바탕으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과 제주고사리삼속의 계통학적 위치를 추정하였다. 엽록체 DNA rbcL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고사리삼과는 뚜렷하게 고사리삼계보 (Botrychioid lineage)와 나도고사리삼계보 (Ophioglossoid lineage)의 두 군으로 구분되었다. 고사리삼계보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Mankyua)은 Helmintostachys속과 함께 분계의 기저에서 고사리삼속(Botrychium)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으나, 이들 고사리삼속(Botrychium), 제주고사리삼속(Mankyua), 및 Helmintostachys속 사이의 계통적 유연관계는 결정되지 못했다. 고사리삼속의 경우 Sceptridium아속과 Botrychium아속이 뚜렷한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나, Botrypus아속에 속한 분류군들은 고사리삼속의 기저에서 다른 고사리삼속 분류군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면서 단계통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나도고사리삼계보를 형성하는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의 경우, Ophioglossum아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Ophioglossum아속에 대해 Cheiroglossa아속 및 Ophioderma아속이 차례로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다. 염기서열 계통수, 포자의 형태 및 외부형태의 고찰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은 Helminthostachys와 유사하지만, 계통수에서 patristic distance 뿐 아니라 포자소엽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이들 2속은 독립된 속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