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문도 백도산 다모환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백의인 한국수산학회 197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2 No.1

        한국산 다모환충류의 분류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1978년 남해수역의 중심지역인 거문도와 백도에서 채집한 저서성 갯지렁이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11과 19속 24종의 다모환충류를 얻었기에 그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과와 종의 분류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이 가운데 Syllis sclerolaema 흰점염주발갯지렁이, Amphitrite cirrata 유령꽃갯지렁이, Salmacina dysteri 가는관덮개꽃갯지렁이, Dexiospira foraminosus 동그라미관덮개꽃갯지렁이등의 3과 4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우리나라 동물상에 최초로 기재된다.

      • 한국 담수산 납작거머리과(거머리강 : 인두거머리목) 2미기록종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白義人,朴相來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2 基礎科學硏究論集 Vol.1992 No.1

        한국 담수산 거머리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89년 3월부터 9월까지 경상북도 일대에서 채집 동정된 종류중 납작거머리과의 Glossiphonia weberi 납작거머리와 Hemiclepsis japonica 곤봉납작거머리는 한국미기록종이었다. The taxonomic study of freshwater leeches were conducted on materials collected in Kyungsangbuk-do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September, 1989. Two species of leeches in Glossiphoniidae are identified and they are new records to South Korea; Glossiphonia weberi, Hemiclepsis japonica.

      • KCI등재

        굴 양식장 수하연에 부착하는 다모환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백의인 한국수산학회 198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3 No.1

        부착 생물에 관한 연구는 선박, 해수 이용시설, 수산 양식업 등의 방제대책과 관련하여 부착 생물의 종류, 부착 량, 성장도 및 계절적 변화 등의 연구가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특히 양식시설이 밀집한 진해만 해역의 굴 양식 시설에 부착하는 대부분의 생물들이 Ascidicea, Crustacea, Cirripedia, Bivalvia, Bryozoa, Polychaeta, marine algae 등이며, 이들 가운데 피해가 심한 다모환충류에 관하여 분류학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던 바 수하연의 양식 굴 사이에서 많은 양의 갯지렁이류를 얻었기에 보고 한다. 수하연에 서식하는 갯지렁이류는 제2부착성(Kazihara, 1964)의 갯지렁이류로서 왕관 모양의 큰 아가미 혹은 몸앞 부분에 실모양의 감각 촉수를 가지고 굴에 피해를 입히는 짧은수술갯지렁이 Loimia medusa, 미끈꽃갯지렁이 Myxicola infundibulum와 제1부착성으로서 굴 패각, 양식 시설 등에 석회질의 집을 형성시켜 피해를 입히는 우산관덮개꽃갯지렁이 Hydroides ezoensis, 둥근구멍관덮개꽃갯지렁이 Dexiospira alveolatus 등의 7과 12속 13종을 보고한다. 이 가운데 새날개갯지렁이 Chaetopterus variopedatus와 둥근구멍관덮개꽃갯지지렁이 Dexiospira alveolatus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 한국산 다모환충류의 분류학적인 연구

        白義人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82 연구논문집 Vol.24 No.3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make a monographic work on thetaxonomy and classification of the benthic polychaetous annelids of Koreanwaters. The diagnostic characters are presented in the specific keys, as well as in thegeneric keys. Twohundred-one species representing onehundred-thirty-two genera are descri-bed. Of these, seventy-one species representing forty-four genera are newly addedto the polychaetous annelids fauna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산다모환충류 5미기록종에 관하여

        백의인 한국수산학회 197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2 No.1

        Examining the polychaetous annelids collected from the Yellow Sea(35°20′ N Lat. 124°35′ E Long), Jinhae Bay, Yeocheon Bay, Jeju Do and Weolpo. I found five species which should be added in the list as new to the polychaetous annelids fauna of Korea. In the present study five species are report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Consquently, a total 125 species of polychaetous has been reported(Kamita and Sato 1941; Paik 1972, 1973a, 1973b, 1975a, 1975b, 1976, 1977, 1978, 1979; Lee 1976; Rho and Song 1974, 1975) in Korea.

      • KCI등재

        15. 한국산 다모환충류의 분류에 관하여 : 16과 21종 1아종의 한국미기록종

        백의인 한국수산학회 197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8 No.4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된 표본을 同定分類한 結果 16科 21種 1亞種의 韓國未記錄種을 얻었기에 보고한다. 이로써 現在까지 報告되는 多毛環蟲類는 모두 26科 47屬 58種 1亞種이 된다. Sigalionidae 1. Sthenelais fusca Phyllodocidae 2. Eumida sanguinea Syllidae 3. Trypanosyllis (T.) zebra Nereidae 4. Perinereis vancaurica tetradentata Nephtyidae 5. Nephtys polybranchia Glyceridae 6. Glycera rouxii Onuphidae 7. Diopatra sugokai Eunicidae 8. Eunice indica 9. Marphysa tamurai Orbiniidae 10. Haploscoloplos elongatus Spionidae 11. Boccardia proboscidea 12. Prionospio japonicus 13. Pseudopolydora antennata 14. Spio filicornis Chaetopteridae 15. Mesochietopterus japonicus Cirratulidae 16. cirriformia tentaculata Opheliidae 17. Armandia lanceolata Maldanidae 18. Asychis gotoi Terebellidae 19. Terebella ehrenbergi 20. Thelepus toyamaensis Serpulidae 21. Hydroides ezoensis 22. Pomatoleias kraussii

      • 韓國産 多毛環충類 4未記錄種

        白義人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84 연구논문집 Vol.28 No.2

        Examining polychaetous annelids collected from Suyeong Bay and Ulreung Isaland, I found four species sich should be added in the list as new to the polychaetous annelid fauna of Korea. In the present study four species are reported with morphological descriptions.

      • Preliminary Survey of the Polychaetous Annelids from Gogeum lsl., Korea

        白義人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78 연구논문집 Vol.20 No.1

        韓國産 多毛環蟲類의 分類에 관한 硏究의 계속으로서 1977년부터 1978년까지 사이에 採集된 古今島産을 調査한 結果 10科, 17屬, 19種을 報告한다. 이 가운데서 Notomastus latericeus 버들가지갯지렁이, Loimia medusa 짧은수슬갱지렁이는 韓國末記錄種이다.

      • KCI등재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TEMMINCK et SCHLEGEL)의 먹이 조사

        백의인 한국수산학회 196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 No.1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TEMMINCK et SCHLEGEL)의 식성 조사와 먹이생물 상호간의 생물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낙동각 유역의 선암, 가락, 성산, 하단의 4개 지점에서 총 1,295개의 풀망둑을 월별로 채집하였다. 위 내용물은 3가지 방법에 의해 구분하였으며, 이 방법은 수정된 Nilsson의방법 (Dahl 1962)을 다시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Table 2). 1) 위 내용물의 각 먹이종목별 수를 계산하여 한 계절동안 전체 풀망둑이 먹은 먹이생물의 총 개체수에 대해 Percentage를 낸 것을 Table 2에 $quot;N$quot;(Numerical)로 표시하였다. 2) 한 계절동안 채집한 풀망둑 수에 대한 각 먹이종목(Food Item)이 발생하는 굴망둑수의 출현빈도수를 Table 2에 $quot;O$quot;(Frequncy of Occurrence)로 표시하었다. 3) Predominant한 먹이종목을 선택하여 그것의 총 개체수에 대한 각 Predominant한 먹이수의 Percentage를 $quot;D$quot; (Dominance)로 표시하였다. 먹이생물은 50개의 먹이 종목으로 되고 이것을 13가지의 Main Group로 나누고 (Fig. 2-1), 이것을 다시 먹이생물을 제공하는 Habitat내의 Animal Community의 조건에 따라 Obligatory Bottom Animal, Organic Drift와 Actively Swimming Form로 나누었다. 풀망둑의 식성은 Table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먹이생물의 평균 94.6%가 Obligatory Bottom Animal인 것으로 보아 풀망둑은 전형적인 Bottom Feeder였다. 그리고, 이들의 먹이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살고 있는 Habitat 내의 Benthic Fauna의 Local Composition에 의해 Dominant Food Organism이 결정되고, 계절별로 먹이생물들 사이에 생물학적 상호 작용으로 인한 Seasonal Rhythm을 나타내고 있었다. 선암 지역과 가락 지역은 동일한 먹이생물들 사이에 Habitat의 종적 (縱的) 구분에 의해 그 Population의 천이가 반대 현상으로 나타나는 Locality Variation을 보이며, 성산, 하단 지역은 먹이생불의 계절적 변화와 하구성 생물상이 동일한 점으로, 동일한 조건의 Habitat로 생각된다. 이상의 것을 간추려 보면, 1) 풀망둑은 주로 저생동물을 먹이로 하며, 그 먹이생물은 Habitat 내의 Food Composition에 의해 결정된다. 2)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는 Population내의 생물학적인 변화의 상호 작용에 의해 Seasonal Rhythem을 나타낸다. 3) 풀망둑의 식성은 비편식성이고 먹이생물의 종류 변화가 많다. 4)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Polychaeta, Palaemon modestus, Isopoda, Gammaidea, Insecta (Nymphs, Larvae), Ilyoplax deschampsi, Paratya compressa로 나타난다. 5) 성산, 가락, 선암의 Community내에서 먹이생물은 종적천이 (Longitudinal Succession) 현상이 나타난다. 6) 풀망둑은 수온이 상승(20℃ 이상)하는 4월경부터 하구로 이동하고, 9월부터 상류로 이동하는 Seasonal Movement를 하는 어류이다. A goby,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food consumed and the biological change of the food organisms, and the fish were sampled from the closed tributary and the lower part of the Naktong River, near Pusan,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of 1967 to December of 1968. The fish were sampled from four stations (Fig. 1), the total number of fish being 1, 295 and they were grouped and analysed monthly. The content of the alimentary canal was analysed in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modified Nilsson's method (Dahl 1962) with a slight alteration: 1) The number of each item of stomach contents was counted and the percentage of each item in proportion to the total number of food organisms is indicated by the letter $quot;N$quot; representing numerical percentage in Table 2. 2) The percentage of fish which contained any items of food organisms in proportion to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in a given season is indicated by the letter $quot;O$quot; representing frequency of occurrence. 3) Dominant groups of food items were selected and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each dominant item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he food organisms belonging to the dominant groups is indicated by the letter $quot;D$quot; representing dominance. All food organisms were classified in 50 food item categories and then they were grouped in 13 main groups (Fig. 2-1), and they were further divided into 1) obligatory bottom animals, 2) organic drifts and 3) actively swimming form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animal communities within the habitat. Since the majority of its food was composed of the obligatory bottom animals (94.6%), the fish appeard to be a typical bottom feeder. And the dominant food organisms of the fish i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local composition of the benthic fauna within the fish habitat. And their seasonal rhythm occurs among the food organisms in the stomach by the biological interaction. Locality variation in the population of the same food organism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of food organisms in the habitat of the fish at Seonam and Garak, and at Seongsan and Hadan the condition of the niche for the fish in the both regions seems to be the same since the composition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organisms were tire same.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oby mainly feed on the animals of bottom fauna, and the food organisms are determined by the food compositions within the habitat. 2) Seasonal variation of the stomach content shows the seasonal rhythm due to the biological variation of the population and their interaction. 3) The goby shows no preference on specific food, and the food is composed of a variety of animals. 4) Major food items of the goby are Polychaeta, Palaemon modestus, Isopoda, Gammaridea, Insecta (nymphs and larvae) , Ilyoplax deschampsi, and Paratya compressa. 5) Logitudinal succession on the population of the food organisms is apparently recognized within the community of Seongsan, Garak and Seonam. 6) The goby begins to descend toward the estuary and sea around April when the water temperature reaches 20℃, and they begin to return to river waters in Septem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