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노인의 적응 및 물질사용에 미치는 효과

        백승영 ( Seungyoung Bae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적응 및 물질사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G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알리고 대상자 총 20명을 모집하였다. 노인 행동평가 척도(OABCL)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은 65세-85까지의 노인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9일부터 2020년 7월 8일까지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15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3회, 6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은 SPSS for Win 24.0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적응 및 물질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일반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on the elderly's adaptation and substance use. A total of 20 subjects were recruited to inform the elderly living in G metropolitan city about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The Elderly Behavioral Assessment Scale (OABCL) was conducted,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y 9, 2020 to July 8, 2020 for the elderly aged 65-85. A total of 15 sessions were conducted, including pre- and post-examination, and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SPSS for Win 24.0 was used for the study analysis,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was verified 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lderly’s adaptation and substance us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will be activated and generalized.

      • KCI등재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및 자존감 향상연구 음악치료메타분석

        백승영 ( Seungyoung Bae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음악치료 중재가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0-2021년까지 총 632편 중 배제논문을 추출한 결과 최종논문 8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메타분석을 위해 R 4.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체 평균의 효과크기는 g=1.71로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으며, 음악치료 중재가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둘째, 중재에 미치는 특성에서 중재기간은 6주, 중재 회기는 12회기, 중재 시간은 40분 실시할 때 가장 효과가 있었다. 셋째, 출간 편의 분석을 시행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출간 편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치료 중재 방법이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메타분석을 통한 통합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임상현장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performed a meta-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elf-esteem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by music therapy intervention. As a result of extracting exclusion papers from a total of 632 papers from 2010-2021, 8 final papers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R 4.0.3 program for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g=1.71, which was a large effect size, and music therapy intervention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Secon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it was most effective when the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was 6 weeks, the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was 12 sessions, and the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was 40 minutes. Third, as a result of the publication bia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ublication bias a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method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ity and self-esteem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 clinical field if integrated research through meta-analysis is continued.

      • KCI등재

        청소년 대상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연구동향 -음악중재를 중심으로-

        백승영 ( Seungyoung Bae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대상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음악중재를 실시한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학술지 논문(19편), 석사논문(22편), 박사논문(11편)의 논문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배제논문을 추출한 결과 최종논문 21개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 연구 동향에서는 석사학위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둘째, 청소년들의 정서·행동문제의 특성은 학교부적응 및 품행, 비행문제, 우울, 불안, 공격성, 학업스트레스, 게임중독, 자기통제 및 자기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회기 및 연구유형에서는 8-10회기와 실험연구가 가장 높았으며 13회기 이상, 11-13회기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 중재 프로그램에 사용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노래부르기 및 악기연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통합음악활동, 송라이팅, 음악합주, 음악감상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서·행동문제가 있는 청소년들에게 음악중재의 효과성과 정서·행동 문제 변화를 목적으로 한 음악중재의 특성을 분석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필요한 기초자료와 음악중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r adolescents, from 2010 to 2021,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papers on music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thesis, Academic journal paper (19 articles) master’s thesis (22 articles), and doctoral thesis (11 articles) among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excluded papers, 21 final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irst, master's degree theses were the most frequent in research trends by year.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school maladjustment and behavior, delinquency problems,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academic stress, game addiction, self-control and self-awareness appeared in order. Third, in terms of research session and research type, the 8-10 and experimental studie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more than 13 sessions, followed by the 11th and 13th session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used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singing and playing instruments appeared the most, followed by integrated music activity, songwriting, music ensemble, and music appreci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usic intervention are presented to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intervention for the purpose of chang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we intend to present the basic data and direction of music intervention necessary in the actual clinical field.

      • KCI등재

        그룹 음악치료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

        백승영 ( Seungyoung Bae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본 연구는 그룹 음악치료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연구내용 및 방법으로는, 초등학교 1학년~3학년까지 학생 총 1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을 구성하여 그룹음악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5월 20일~2019년 9월 30일까지 주 1회에 60분씩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총 15회기를 실시하였다. 아동들의 정서행동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였으며, 그룹음악치료프로그램이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를 비모수 검정인 Wilcoxe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그룹음악치료가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룹음악치료가 정서행동문제가 있는 아동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며, 다양한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증대시켜 보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on emotional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Nine experimental groups and nine control groups were administered to a group of 18 students from grades 1 to 3 in elementary school.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from May 20, 2019 to September 30, 2019 and Including the pre-test, the conducted a total of 15 sessions. The Child and Youth Behavior (K-CBCL) Rating Scale was used to verify the emotional behavior of children a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was analyzed by Wilcoxen signed rank test, a nonparametric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 music therap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group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to develop various group music therapy programs and to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및 균형에 대한 메타분석

        백승영 ( Seungyoung Bae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을 2010-2020년까지 추출하였다.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1475편 중 배제논문을 추출한 결과 최종논문 6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메타분석을 위해 R 4.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균형의 전체 효과크기는 0.78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각각 분석한 결과 MMSE는 0.84, BBS는 0.74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중재 방법이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및 균형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치매환자들을 위한 사회적인 정책방안이 임상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papers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in dementia patients were extracted from 2010-2020. As a result of extracting excluded papers from a total of 1,475 journals and dissertations, six final papers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 of individual research was calculated using the R 4.0.3 program for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effect size of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dementia patients with a moderate effect size of 0.78.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dementia patients, MMSE was 0.84 and BBS was 0.7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tervention method based on virtual re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dementia patients. In order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of dementia patients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be social policy measures should be practically implemented in the clinical field.

      • KCI등재

        ADHD 아동에 관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동향 2005-2020년

        백승영 ( Seungyoung Bae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ADHD 아동에 관환 음악치료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5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 발표된 ADHD 아동 관련 음악치료 논문을 분석하였다.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82편 중 배제논문을 추출한 결과 최종논문 22개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 동향에서는 석사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둘째,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일반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자는 초고보다 초저가 더 많았다. 셋째, 연구회기 및 연구방법에서는 2단계(12-14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는 68.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 중재 프로그램에 사용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노래 부르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추후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보다 심화시키고 전문성을 확보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music therapy papers related to ADHD children published in Korea from 2005 to 2020 to find out the trends in music therapy related to ADHD children. As a result of extracting excluded papers out of a total of 82 journals and dissertations, 22 final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earch trend by year, master’s thesis was the most, and secon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very low than the first high school students. Third, in the research session and research method, the second stage (12-14 sessions) was the most common,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highest at 68.16%.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used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singing was the most common. In order to prepare effective music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with ADHD in the future,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by deepening the program and securing expertise.

      • KCI등재

        청년 1인 가구의 특성이 가족관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미 ( Hyemi Kim ),백승영 ( Seungyoung Bae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의 특성이 가족관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2021년 2월 15일부터 2021년 4월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1인 가구 청년을 대상으로 총 211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1인 가구 청년의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신체적 건강은 성별, 경제 수준, 1인 가구 만족 정도에 따라서 신체적 건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심리적 건강은 성별, 경제 수준, 1인 가구 만족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청년 1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정책이나 사회적 서비스를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보다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youth households on family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 15, 2021 to Apr. 15, 2021, and a total of 2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ingle-person household youth aged 20 to 39.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rel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second, physical heal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health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level, and single-person household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relationship of one young man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a specific plan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needed rather than applying both policies and social services equ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