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배임호 한국교정학회 2013 矯正硏究 Vol.- No.60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s study, people in Korea think that a crime is the biggest factor that threatens the social safety. The yearly average of criminal cases occurred for the recent five years is 1,890,000, approximately 2,130,000 were arrested per year. For reducing criminal problems, above all, preventing re-offending is required . It is reported that about the half of convicted offenders had previous criminal records in 2011. Most importantly, the effective rehabilitation activities have to be practiced for the released prisoners to prevent their re-offending. Korea has about 70 years of history of rehabilitation activities, but still has problems to be solved. First, current rehabilitation activities are focused, mainly on material assistances. Secondly, present rehabilitation activities are related very much to the released offenders while their families are ignored in spite of the families' importance for successful rehabilitation. Thirdly, there are strong social prejudice against the released prisoners in the society. This study show that the released prisoners need urgently relationship restoration in various dimensions. First of all, they need to restore their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Second, they should rebuil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 children, parents, and others in their family. Third, they are in need of restoring their relationships at work places, schools, and with friends. These recommendations and directions are considered to get keen interest and enough concern for advanced rehabilitation practice. In addition other suggestions and thoughts for fostering rehabilitation activities are provided in the study. 2012년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사회의 안전에 가장 큰 불안요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범죄’였다. 실제로 최근 5년간 범죄발생건수는 평균 189만 건이고, 검거인원은 약 213만 명이었다. 범죄예방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은 재범을 막는 것이다. 2011년에 검거된 범죄자 가운데 약 절반은 전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범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출소자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이 철저히 이루어 져야한다. 우리나라는 70여 년의 갱생보호역사를 지니고 있는데 문제점들은 여전하다. 첫째, 현재의 사업들은 물질적인 지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둘째, 현재의 갱생보호사업들은 범죄자 개인 중심으로 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출소자의 복귀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그의 가족에 대한 접근은 아주 미흡하다. 그리고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심하다. 연구결과 출소자는 몇 가지 차원에서의 관계 회복이 요청된다. 우선, 출소자 자신과의 관계가 회복이 절실하며, 그 자신의 배우자, 자녀, 부모 등 가족의 관계가 회복되어야 한다. 아울러 출소자의 직장, 학교, 친구가 있는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회복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갱생보호사업의 방향이 출소자와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의 안정적인 복귀로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출소자의 갱생을 위한 여러 가지 개선방안들과 정책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의 배경, 발전과정, 주요프로그램 그리고 선진교정복지

        배임호 한국교정학회 2007 矯正硏究 Vol.- No.37

        The history of correction depends heavily upon ‘how the people understand a crime and criminal offender’ in a society or country.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overseas as well as domestically is fundamentally based on retribution or the justice model in its practice. Researches have pointed out that typical model has shown its limitations and problems including the lack of correctional effectiveness, astronomical amount of correctional expenses, overcrowding issues, and others. Thes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justice system are the starting points to think differently about ways of dealing with criminal issues and the parties affected by crimes such as a crime victim, the offender, their families, and their community. Since the early 1970s, restorative justice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in North America, and now in many countries in Oceania, Europe, Africa, and Asia. In 2000, the United Nations Congress on Crime Prevention developed a draft proposal for UN Basic Principles on the Use of Restorative Justice Programs in Criminal Matters, which encourages the use of restorative justice by UN members. This international recognition is a huge step forward toward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new paradigm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developing process, and main programs, such as Victim Offender Mediation, Family Group Conferencing, and Circles. Some thoughts about advanced correctional welfare have also been presented.

      • KCI등재

        범죄예방책으로서의 갈등해결을 위한 중재(mediation) 활용에 관한 고찰 : 지역사회내 갈등을 중심으로

        배임호 한국교정학회 2015 矯正硏究 Vol.- No.67

        Korean society has already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while millions of foreigners live in South Korea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ever increasing, and that nearly twenty eight thousand North Korean defectors live in South Korea. As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the society in Korea continue to increase, various types of social conflicts are expressed and recognized and they have drawn social attention because they often result in crimes such as serious violence, even murders. Despite the necessity for increased attention and strong measures, daily conflicts within a community have been ignored. Consequences of conflicts among neighbors such as floor noise, parking space, animal, trash, offensive odor etc. produce negative factors degrading the quality of life by causing stress, distrust, psychological and mental dysfunctions. Most existing studies, however, on social conflic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social policy or systems,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more specifically deal with conflicts in the community that have direct impacts on the citizens. This paper, as a main purpose of this study, deals with applying mediation, a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for resolving conflicts in a community as a crime prevention measure. An example of mediation case in practice was presented and analyzed. Mediation seems to show its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for those community conflicts. Finally, it suggests that a center for community conflict resolution center be set up and discuses possibiliti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give an appropriat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conflict resolution and mediation, and others to provide them with a licence and eventually to be a professional mediator. It is highly important to create and develop such a systematic curriculum and well-organized intern procedure. Thirdly, community conflict resolution is a mechanism to prevent conflicts from leading to a resolution through the legal system. Therefore, it is very appropriate for a community conflict resolution center to work collaboratively by networking of an University, governmental offices including police and legal offices, and neighboring institutions at the level of NGOs. 한국사회는 이미 다문화사회가 되었으며 수백만 명에 이르는 외국인이 살고 있으며 다문화가정은 그 어느 때보다도 증가하고 있고, 28,000여명의 북한이탈주민이남한에 살고 있다. 우리사회가 복합적이고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사회갈등들이 표출되고 있는데 이들은 폭행과 심지어는 살인과 같은 범죄로 나타나기도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큰 관심이 되고 있다. 이러한 지대한 관심과 강한 조치가 필요한데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내 일상적인 갈등들은 등한시 다뤄지고 있다. 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이웃사이에 일어나는 층간소음, 주차 공간, 동물, 쓰레기문제, 악취등과 관련된 갈등들은 그들 사이에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불신과 심리적ㆍ정신적인 역기능을 일으켜 주민의 삶의 질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회적 갈등에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사회정책과 제도, 체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지역주민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내 갈등에 대한 구체적인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주목적인 범죄예방책으로서 지역사회내 갈등을 위하여 중재(mediation)를 활용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실제적으로 대체갈등해결(ADR)로서 중재가 활용된 현장 케이스를 제시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 중재는 지역사회내 갈등해결을 위하여 활용가능성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갈등해결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며 그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둘째로, 갈등해결과 중재 등 관련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여 자격증을 수여하고 이들이 전문 갈등중재사가 될 수 있도록체계적인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철저한 인턴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셋째로, 지역사회갈등해결은 기존의 법체계를 거치지 않고, 갈등을 해소하고자 하는메카니즘이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갈등해결센터는 대학 그리고 경찰과 사법기관들을포함하는 정부기관들, 또한 지역사회 민간기관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하여 협력활동을 펼치는 것이 매우 적절하다.

      • KCI등재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에 근거한 교정복지 실천으로서 갈등중재 사례연구: Sycamore Tree Project를 중심으로

        배임호,박일연 한국교정학회 2018 矯正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에 근거한 교정복지 실천 방법으 로 실시된 Sycamore Tree Project를 중심으로 효과성을 분석한 갈등중재 사례연구 이다. 국내 최초로 실시된 본 프로젝트는 인테이크(intake) 단계, 준비 단계, 직접만남 단계, 보고 단계, 모니터링 단계, 그리고 사후조치 단계에 근거하여 시행되었으며, 직접만남의 단계는 회복적 사법정의에 입각한 7회기의 집단 활동으로 재소자 7명과 범 죄피해자 5명이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양적 연구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참여한 재소자와 범죄피해자 모두 집단 활동 실시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집단활동 참가자들은 활동 전에 비하여 범죄에 대한 태도, 그들의 생각, 그리고 행동 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에 근거한 갈등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명하였으며, 특히 피해자와 그 가족의 심리사회적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토대로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is a case study of the conflict mediation through Sycamore Tree Project grounded on restorative justice as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 The project is the first project implemented in this country, composing of phases of intake, preparation, direct encountering, reporting, monitoring, and follow-up. For the direct encounter, seven sessions of group activities with 7 inmates and 5 crime victims were carried out.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group activities was shown in changes of the participants such as inmates and crime victim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o put it specifically, the attitudes toward crime,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of those participants were changed meaningfully and positively after taking parts in the group activities. This study show the effective results of conflict mediation program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particularly provides a basis for help the crime victims restore from their psychosocial trauma.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ever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 KCI등재

        회복적 사법정의(Restorative Justice)에 근거한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교정복지실천 개입에 관한 연구 - 17년 동안 교정복지실천 케이스를 중심으로 -

        배임호 한국교정학회 2019 矯正硏究 Vol.29 No.1

        This is a study on the participant in the Victim-Offender Mediation Program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in early 2001. From the time to the end of 2018, examining changes in his life for the 17 years is the research purpose. The served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 activities and his various life changes during the 17 period of time were analyzed i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changes in his behaviors and social adjustment were analyzed ‘within’ and ‘after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the time of ‘after the institution’ was divided into two further: ‘right after the institution’ and ‘the current time’. The results of available data collected during the 17 years show very positive changes in the released person in terms of his perception-thinking-behaviors, and he leads a normal and stable life now. This implies that a proper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 involvement is essential for the offenders both ‘within the institution’ and ‘after the institution’ for the significant amount of time to meet their needs and to deal with their facing problems. Secondly, the forum for victim-offender meeting and dialogue is needed for their sincere corrections stimulated by realizing their own wrong doings and for facilitating their positive changes in their behaviors and lives. For this, the appropriate environments both ‘within the institution’ and ‘in the society’ were required. The ecosystemic perspectives for the released persons' dynamic surrounded situations are very useful for an effective intervention into the clients of the correctional welfare fields. Multi-dimensional approach and services such a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if necessary, spiritual services for the clients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a positive way. In addition, other suggestions and research limitations are presented at the end. 본 논문은 2001년 초 회복적 사법정의에 근거한 피해자-가해자 중재프그램에 참여한 수용자에게, 당시부터 2018년 말 현재까지 17년 동안에 있었던 그의 삶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그 기간동안 어떤 교정복지실천 개입활동들이 이루어졌고 그의 생활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질적으로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그의 삶의 변화는 교정시설내와 교정시설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출소후 기간은 출소 직후의 사회적 적응과 현재의 시점으로 세분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17년 동안의 활용가능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출소자는 그의 인식-사고-행동에 있어서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고, 그 결과 현재는 정상적이고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다. 이는 범죄자에 대한 교정복지실천의 적절한 개입이 수용시설내에서는 물론이고 출소 후 상당기간동안 지속되어 그의 욕구와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해가는데 필수적임을 시사해준다. 둘째, 진정한 교정은 범죄자 혹은 출소자가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진심으로 깨닫고 그의 행동과 삶의 긍정적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피해자/피해자가족과의 만남과 대화하는 장(forum)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를 위한 교정시설내와 사회내 환경의 조성이 요청된다. 또한 교정복지 실천현장에서 교정대상자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서는 그를 둘러싸고 있는 역동적인 상황을 접근하기 위하여 생태체계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다차원적인 관점을 활용하여 범죄자의 심리, 정서, 그리고 필요한 경우 영적인 측면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아울러 다른 제언들과 연구의 한계점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정시설 내 종교프로그램이 재소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임호 한국교정학회 2008 矯正硏究 Vol.- No.41

        The problem of crime and correction varies according to people’s perspectives. In Korea which is experiencing unprecedented social change, there is a complicated range of causes of social problems. Recent kidnapping cases, murders, group sexual assaults among young students of both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have raised people’s anxiety levels. In this situation, correctional programs related to spirituality and religion may be considered as a means of tackling the issues of recidivism and the ineffectiveness of existing correctional programs. The discussion about the function of spirituality and religion in relation to social services has already been began abroad and domestically, and will become even more relevant with the opening of a private prison, privatized religious prison, which is expected to open in year 2010. A survey questionnaire of prison inmates who were participants in a religious program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s a pilot study, in particular to gauge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fellow inmates, and prison guards. The result of research indicates that the religious program seems to be effective in raising the inmates’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ionship with fellow inmates and family members/relatives. Interestingly, undereducated inmates, who were categorized as ‘up to senior high school level’ in this research appeared to benefit the most. In particula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religious faith and self-esteem,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djustment to the prison life. 범죄와 교정의 문제는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가 그 어느 때보다도 역동적인 변화를 겪게 되면서 사회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나고 그 원인들 또한 복잡해졌다. 최근 잇따른 납치사건들과 살인사건들, 초·중학교생 집단폭행사건들은 국민의 우려의 증가시키고 기존 교정프로그램들의 효과를 논의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성(spiritualiy)과 종교 관련 교정프로그램들이 높은 재범률과 교정프로그램들의 비효과적인 측면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려될 수 있다. 영성과 종교가 관여된 사회적 서비스가 국제적으로나 국내에서 이미 논의를 되어오고 있다. 특히, 교정분야에서는 2010년 개소될 민영교도소에서 종교프로그램이 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어서 이러한 논의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서 재소자들이 종교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종교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자신에 대하여, 동료재소자에 대하여, 가족/친지에 대하여, 교도관에 대한 생각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시설내 종교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가족관계, 동료관계 등의 변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변화가 발견되었다. 특히 심리적 안정감에 있어서 재소자들에게 의미있는 변화가 감지되었다. 이는 종교프로그램이 재소자들의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가족관계수준, 동료관계수준을 높여주었고, 그중에서도 종교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재소자가 자신을 찾아가고 동료재소자와의 관계와 가족과의 관계를 유지 발전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특히 저학력의 경우 이러한 효과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참가자의 신앙성숙도와 자아존중감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참가자의 신앙성숙도와 자아존중감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어 신앙성숙이 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질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재소자의 영적 영역생활 즉, 영적 안녕감과 신앙성숙도가 깊어질수록 교정시설내의 적응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