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데거의 언어론

        배상식 새한철학회 2001 哲學論叢 Vol.25 No.3

        하이데거의 철학적 근본과제는 존재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 곧 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일이다. 그렇지만 존재의 의미를 분석 · 해명하려는 그의 사유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될것 중의 하나가 바로 '언어'개념에 관한 것이다. 흔히 하이데거에 있어서 언어의 문제는 그의 후기 사상에서만 드러나는 것으로 간주하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그의 사상 초기 때부터 언어는 존재의 문제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던 문제이다. 비록 그의 초기 저작 속에서는 존재와 언어의 관계문제가 명확하게 드러나지는 않을 지라도, 언어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관심을 파악하기에는 결코 부족하지 않다. 특히 그는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하는 전기사유에서, '언어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인간 현존재의 본질(실존)과 근원적인 실존범주인 말을 연관지어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전회이후, 『존재와 시간』에서 말에 대한 이해가 철저하지 못했음을 깨닫고, 현존재가 언어를 가지고 있다는 입장을 단념하고, 현존재는 단지 언어가 말하는 현장(Da)이라는 견해를 수립하고자 한다. 따라서 그의 후기사유에서는 언어에 대한 통찰이 전기사유와는 완전히 다르게 전개된다. 그것은 바로 인간이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언어의 근원인 (존재)언어가 말하는 것이며, 인간이 언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인간이 언어에 속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후기 입장에서는 존재에 대한 물음, 곧 존재에로의 접근방식으로서 예술, 그 중에서도 특히 詩作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더욱이 언어에 대한 그의 존재론적 해석은 언어를 존재자로서가 아니라 그것에 의해 모든 것이 개시되는 하나의 지평으로 규정한다. 그러므로 이제 언어는 존재의 집이자 인간 본질의 거처가 된다. 이와 같이 하이데거에 있어서 존재의 비밀은 바로 '언어의 본질'에 있으며, 또한 이러한 언어의 본질은 곧 존재의 언어를 말하는 것이다. Diese Arbeit betrachtet das Wesen der Sprache vom pha‥nomenologische Standpunkt aus das spielt eine wichtige Rolle in Heideggers Philosphie. Nach zwei Standpunkte der Heideggers Philosophie, im Erste Standpunukt betrachtet diese Arbeit die Rede als das ontologisch-existenziale Wesen der Sprache und im Spa‥t erla‥utert das Wesen der Sprache als Seinsort in dem Sein sick zeigt. Erste, dem existenzialen Wesen der Spache gibt Heidegger einen eigenen Terminus. Die Wurzeln der verlautenden Sprache, das Wesen der Sprache, das existenziale Sprachwesen, nennt er in "Sein und Zeit", Rede. D. h. Das existenzial-ontologische Wesen der Sprache, das seinen Ort in der existenzial aufgeschlossen-heit hat, faβt Heidegger terminologisch als Rede. Rede ist somit ein ontologisch existenzialer Terminus. Nach Heidegger, Mensch herstellt nicht die Sprache, sondern allein ist Einer der dem Rufe des Seins folgt. Deshalb, das menschlich Sprechen ist nicht einfach der menschlich Ausdrucksakt, sondern die Antwort vom Anspruch des Seins als das Gela‥ut der Still. Hier hinweist Heidegger darauf daβ die gela‥ufig Auffassung von der Sprache nicht das urspru‥nglich Wesen der Sprache erreichen kann, und verlangt den verschieden Bezug zu der gela‥ufig Auffassung von der Sprache.

      • 하이데거 사유에서의 '근원(Ursprung)' 개념

        배상식 慶北大學校 出版部 2002 人文 科學 Vol.16 No.-

        This study aims to crarify Heidegger`s concept of origin (Ursprung). The question of 'origin' has been raised incessantly within the philosophical tradition in such a way as where the ground of being is. In fact as the beginners of Western philosophy had sought the arche, that is, the ground of every things in the world, we human beings have been destined to internalize the question of what our ground into ourselves. Heidegger also took this issue of 'origin', that is the question of being, as the primary question in his thinking. Especially he used 'origin' or 'original' many times in his extensive works. Then we can raise questions, first what the word 'origin' means and second for what purpose it is used. This is the focus of our discussion. For this, first of all, we have to scrutinize the 'origin' of thinking by way of raising the question of 'what is the thinking?'. Then, through the concept of ground (Grund), we will clarify the fact that the being is the ground and origin. Finally, it will be revealed that for Heidegger the language is always nothing but the language of being and the being is alway the origin.

      • KCI등재
      • KCI등재

        M.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언어론

        배상식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1 No.-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of M. Merleau-Ponty, a leading French philosopher in the 20th century. As in Western traditional philosophy, Merleau-Ponty attempted a new approach to clarify the language problem from the ‘perception’ of the body, rather than simply developing it in human reason or mind. So, he asserted that all expressive actions including ‘language (speech)’ are based on the expressive function of the body, and argued that language expression by the body itself creates some kind of ‘meaning’. In other words, for him, ‘language’ is not simply a sign for conveying pre-determined thoughts or concepts, but a lively physical expression that contains primitive meanings.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order to explain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First, we examined the positions of empiricism and intellectualism and their linguistic views, which is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how Merleau-Ponty overcam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linguistic views. Next, in order to clarify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linguistics in detail, first, we examine the conceptual explanation of the bod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body and perception in Merleau-Ponty,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body ‘perception’ and the body. The concept of ‘language’, which is an expression activity, was examined. And I tried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his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language and what the original word (Parole) is. Finally, this discussion was concluded by briefly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이 논문은 20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철학자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현 상학적 언어론에 대해 해명해 보는 것을 근본 목적으로 삼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메를로- 퐁티는 서구 전통철학에서처럼, 언어 문제를 단순히 인간의 이성이나 정신에서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지각’으로부터 해명해 보려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시도하였다. 그래 서 그는 ‘언어(말)’를 포함한 모든 표현 작용이 신체의 표현적 기능에 근거함을 주장하면 서, 신체에 의한 언어표현은 그 자체가 모종의 ‘의미’를 생성한다고 주장하였다. 말하자면 그에게 있어서 ‘언어’란 단지 이미 결정된 사유나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기호가 아니라 원 초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생동적인 신체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언어론을 해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 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경험주의와 주지주의의 입장과 그들의 언어관에 대해 살펴보았 는데, 이것은 전통적인 언어관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메를로-퐁티가 어떻게 극복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예비적 고찰인 셈이다. 이어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언어론을 구체적으로 해명하기 위해 우선,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신체에 대한 개념적 설명과 이러한 신체와 지각 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고, 또한 이러한 그의 신체 ‘지각’과 신체(몸)의 표현활동인 ‘언어’개 념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그가 주장하는 언어의 의미와 원초적인 말(파롤)이 무엇인지에 대해 해명해 봄으로써, 그가 주장하는 현상학적 언어론의 본질적 의미를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메를로-퐁티가 주장하는 현상학적 언어론의 기본내용을 간략히 정리 하면서 본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 KCI등재

        가다머의 해석학적 언어론

        배상식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7 No.-

        본 논문은 가다머의 ‘해석학적 언어론’을 구체적으로 해명해 보는 것을 기본목적으로 삼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가다머는 진리와 방법 제3부에서 ‘해석학적 경험 매체로서의 언어’와 ‘해석학적 존재론의 지평으로서의 언어’에 대해 다루면서 자신의 언어론을 구체적 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해석학적 언어론을 해명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 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언어와 사유의 관계 문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된 단일설적 입장의 사상가, 즉 훔볼트, 카시러, 하이데거 등의 입장을 소개하면서 이에 대한 가다머의 비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것은 이들 사상가들이 단일설 적 입장을 동일하게 취하면서도 그 근본 언어사상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밝히기 위함 이다. 이어서 3장에서는 가다머의 해석학적 언어론에 대해 구체적으로 해명해 보았다. 여 기서는 크게 세 가지 접근주제, 즉 ‘해석학적 경험 매체로의 언어’와 ‘이해와 언어성의 관 계’ 그리고 ‘언어의 사변성’으로 구분하여 그 본질적 의미를 해명하였다. 끝으로, 4장에서 는 가다머의 해석학적 언어론에서 드러나는 몇 가지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면서 본 논의를 맺고자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Gadamer’s ‘hermeneutic linguistics’ in detail. As is well known, Gadamer shows his linguistic theory in detail by dealing with ‘language as a medium of hermeneutic experience’ and ‘language as a horizon of hermeneutic ontology’ in Part 3 of Truth and Method(Wahrheit und Methode). In order to elucidate his hermeneutic linguistics, this paper developed the discussion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n Chapter 2, I looked into Gadamer’s critique of this by introducing the views of the monotheistic thinkers, namely Humboldt, Cassirer, Heidegger, etc. This is to reveal that while these thinkers take the same monotheistic posi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ir fundamental linguistic thought. Next, in Chapter 3, Gadamer’s hermeneutic linguistic theory was explained in detail. In this chapter, the essential meanings were elucidat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main approaches: ‘language as a hermeneutic experience medium’,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and linguistics’, and ‘speculative nature of language’. Finally, in Chapter 4, I tried to conclude this discussion by critically examining some problems revealed in Gadamer’s hermeneutic linguistics.

      • KCI등재

        하이데거의 ‘根’ 개념에 대한 고찰

        배상식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3 No.-

        이 글은 하이데거의 사유 속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개념인 ‘근원(Ursprung)’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사실 서양 철학사에서 ‘근원’의 문제는 모든 존재자의 존재근원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물음의 방식으로 철학적 전통 안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던 것이다. 서양에서 최초로 철학함을 시작한 사람들도 만물의 근원, 곧 ‘아르케(arche)’를 찾고자 하였듯이, 우리 인간은 누구나 마치 타고난 운명과도 같이, 거부할 수도 그렇다고 피할 수도 없는 ‘근원’에 대한 호기심과 정열을 간직하고 있다. 하이데거 또한 그의 사유의 중심에는 바로 이러한 ‘근원’ 혹은 ‘시원’에 대한 물음이 자리하고 있다. 잘 알려져 있듯이, 그의 많은 저서 속에는 ‘근원’이나 ‘근원적’이라는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그가 사용하고 있는 ‘근원’이라는 말은 과연 어떤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명이 우리 논의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사유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으로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근원’의 본질적 의미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이어서 우리는 ‘근거율’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을 통해 ‘근거(Grund)’가 근원으로서의 존재와 결코 다르지 않음을, 즉 근거가 바로 ‘존재’이자 ‘근원’임을 해 보이고 있으며, 끝으로 그의 후기사유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 중의 하나인 ‘언어’를 통해, 이 언어가 바로 고대 희랍의 로고스(logos)와 같이, 근원적시원적 의미를 담고 있는 ‘존재의 언어’이자 또한 하나의 ‘근원’임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Heidegger's concept of origin(Ursprung). The question of 'origin' has been raised incessantly within the philosophical tradition in such a way as where the ground of being is. In fact as the beginners of Western philosophy had sought the arche, that is, the ground of every things in the world, we human beings have been destined to internalize the question of what our ground into ourselves. Heidegger also took this issue of 'origin', that is the question of being, as the primary question in his thinking. Especially he used 'origin' or 'original' many times in his extensive works. Then we can raise questions, first what the word 'origin' means and second for what purpose it is used. This is the focus of our discussion. For this, first of all, we have to scrutinize the 'origin' of thinking by way of raising the question of 'what is the thinking?'. Then, through the concept of ground(Grund), we will clarify the fact that the being is the ground and origin. Finally, it will be revealed that for Heidegger the language is always nothing but the language of being and the being is alway the ori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